-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1/07/17 15:16:06수정됨
Name   私律
Subject   레이더에 전파를 쏘아서 속일 수 있을까요?
제가 좀 무식해서 황당한 질문이긴 합니다만...

레이더는 전파를 쏴서, 물체에 튕겨 돌아오는 전파를 읽어 탐지하쟎습니까?
스텔스기는 전파가 튕겨서 돌아가지 못하게 하여 탐지를 피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러면 거꾸로, 레이더에서 쏘는 전파와 같은 전파를 레이더로 쏘아서 레이더를 속일 수도 있을까요?
그러니까 적 레이더에 그 레이더가 쏘는 전파를 쏴서, 사실은 아군기가 없는데 아군기가 많이 접근하는 것으로 속이는 겁니다.
이게 될까요?



0


레이더를 속이는 가짜 전파를 쏜다는 말은 일단 레이더에 완벽하게 안 잡히는 스텔스를 구현해야 한다는 말이 되죠.
저도 그 생각은 했는데, 만약
레이더 탐지범위 밖에서 쏴주면 어떨까요?
아니면 작은 무인기 한기가 전파를 쏜다면 어떨까요?
아니면 한기가 가면서 십여기가 가는 걸로 속인다면 어떨까요?
스텔스가 필요한 이유는 적에게 탐지되지 않아서 피격당하지 않기 위함이고, 현대전에서 적에게 전력을 속일 수 있는 기술이 있으면 그걸로 완벽한 스텔스 미사일을 만들어서 타격하면 되는 일이라서요.
1
매뉴물있뉴
"엄청 큰 비행기가 날아들고 있다"라고 생각하게 하기는 쉬울것 같은데
"많은 비행기가 날아들고있다"라고 생각하게 하기는 잘 모르겠읍니다??

근데 공습작전에서는 그 어차피
아군기를 다른 지역에 계속 날리면서
내가 정말로 공격할 지역을 숨기는 전술도 있고,
가짜 비행기는 진짜비행기에 비해 더 들통나기 취약하기도 하고 한것 같아서
그런 기술을 굳이 개발을 할 필요가 큰가...? 싶은 생각도 듭니다 ㅎ
다수의 전투기가 오는 걸로 속일 수 있다면 여러모로 써먹을 수 있지 않을까요?
우리의 주공을 속일 수 있다면 정말 좋을 것 같은데요.
매뉴물있뉴
신기술을 개발하는 비용도 있고
신기술을 운용하는 운영비용도 있을텐데
그에 비해서 얻을수 있는 이익이 엄청 적을것 같긴 해요.. ㅋㅋ
T.Robin
전문가도 아니고, 원하시는 답변과도 거리가 좀 있습니다만 몇가지 소소하게 말씀드리자면......

1. 수동식 레이더라는게 있습니다. 내가 전파를 쏘는게 아니라 상대방이 쏘는 전파를 인식해서 상대방이 있는지의 유무를 파악하는 거죠. 요즘은 전투기들도 능동식과 수동식 레이더를 같이 갖추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2. 방범 레이더까지는 아니고, 레이더 유도식 미사일을 속이는 목적으로 개발된 "채프"라는게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금속 쪼가리인데, 공중에 뿌리면 레이더는 이걸 엄청 큰 무언가처럼 인식합니다. 나무위키를 보시면 설명이 잘 되어 있습니다.
... 더 보기
전문가도 아니고, 원하시는 답변과도 거리가 좀 있습니다만 몇가지 소소하게 말씀드리자면......

1. 수동식 레이더라는게 있습니다. 내가 전파를 쏘는게 아니라 상대방이 쏘는 전파를 인식해서 상대방이 있는지의 유무를 파악하는 거죠. 요즘은 전투기들도 능동식과 수동식 레이더를 같이 갖추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2. 방범 레이더까지는 아니고, 레이더 유도식 미사일을 속이는 목적으로 개발된 "채프"라는게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금속 쪼가리인데, 공중에 뿌리면 레이더는 이걸 엄청 큰 무언가처럼 인식합니다. 나무위키를 보시면 설명이 잘 되어 있습니다.
https://namu.wiki/w/%EC%B1%84%ED%94%84

1과 2의 내용을 조합해보면, 말씀해주신 내용 등으로 레이더를 완벽하게 속이는 것은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채프는 저도 아는데, 그건 움직이는 게 느리지 않나요?
T.Robin
채프야 거의 안 움직이다시피하다가 갑자기 휙하고 사라져버릴테니...... 레이더만 뚫어져라 보고 있으면 속이기 쉽지 않을 것 같긴 합니다. -_-;
https://en.wikipedia.org/wiki/Radar_jamming_and_deception

https://h2g2.com/edited_entry/A637634


잘 모르는 쪽입니다만, 여기서부터 시작하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다양한 주파수 대... 더 보기
https://en.wikipedia.org/wiki/Radar_jamming_and_deception

https://h2g2.com/edited_entry/A637634


잘 모르는 쪽입니다만, 여기서부터 시작하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다양한 주파수 대역과 위치의 레이더를 동시에 활용하고, 뛰어난 연산처리 능력을 갖춘 하드웨어와 한 수 혹은 몇 수 위의 알고리즘으로 속이려는 것을 잡아내고, 높은 해상도로 물체를 판별해내는 것이 중요한 기술로 알고 있습니다. 미국이 이쪽에서 엄청나게 앞서 있죠.

레이더가 발전하면, 카운터 레이더 기술/전술이 발전하고, 또 카운터 레이더를 잡는 레이더 기술이 발전하고. 스텔스 쪽도 레이더를 피하기 위해 나온 카운터 레이더 기술 중 하나지만, 그 스텔스를 잡는 카운터 스텔스 기술과 전술이 나오고 그런 것 같읍니다.
1
좋은 자료를 찾아주신 것 같습니다만... 죄송합니다. 읽어도 모르겠습니다. 아마 한글로 써 있어도 못 알아볼 것 같네요.
대충 부동산을 사라는 뜻인가 봅니다. ^^;
2
제가 생각했던 게 Electronic jamming 쪽인 것 같은데... 아직은 안되나보군요.
말씀하신 아이디어 자체는 똑같은 것은 아니라도 비슷한 맥락에서 접근 각도나 물체의 크기 등을 속이는 등의 방식으로 1950~70년대에 나왔던 것 같은데, 현재는 거기에 대한 대응책, 장비들이 또 나와 있는 것 같습니다. 그걸 또 속이는 방법도 개발이 계속 되고 있겠죠?
예 그런 듯 합니다. 저는 아무 것도 없는 하늘에 수십기가 몰려오는 걸로 속이거나, 한두기가 가면서 수십기가 몰려가는 걸로 속이는 걸 생각했는데, 찾아주신 자료를 봐도 아직 거기까진 안되나 봅니다. 솔직히 읽어는 봤는데 잘 모르겠네요. 애써서 찾아주셨는데 이해를 못해서 죄송합니다.
아닙니다. 저도 이과가 아니라서, 잘 모르는 분야입니다만, 물리적으로 디코이를 띄우는 형태가 아니면 힘든 것 같습니다. 소형의 무인 드론 같은 것들을 활용하면 어떨까 싶기는 합니다. 드론 기술도 계속 발전하고 있으니. 고가의 전자전기를 띄우는 것보다 그게 가성비가 나을지도 모르겠습니다.
1
매뉴물있뉴
레이더... 부동산... 메모...?!?!
1
별쟁이
스텔스방식중 라팔하고 수호이는 레이다를 일부교란시켜서 위치를 교란하는 방식으로 하거나 다양한 방식으로 교란하는데 말씀하신 방식으로할려면 레이다들이 일반적으로 같은 형태의 신호를 사용하지 않기때문에 그정도의 장비와 노력이라면 전자파로 셧다운시키는게 효과적이라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한겁니다. 결론 보내는 방식에 맞춰서 재밍신호를 보내기는 힘들다.
그게 그렇게 되는군요. 잘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로하이
지나가던 땡땡군번 방공포 추적탐지병입니다.
위에서도 말씀하셨듯이 교란전파를 재밍이라고 하는데, 실제 모의전투에서도 수시로 교란성 재밍조치를 중요시했던 걸로 봐서는 현대 군사기술의 발전성을 고려했을 때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요즘은 탐지 및 식별기술이 워낙 뛰어나서 아마 창과 방패의 싸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제가 운용하던 2차대전에 쓰인 방공체계라는 가정에서는 재밍 충분히 가능할 듯 ㅇㅇ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283 과학곤충 이름 문의드립니다 (사진 첨부) 3 아침커피 22/04/22 2543 0
13171 과학텀블러 교체 시기는 어떻게 판단하시나요? 23 cerulean 22/03/27 5978 0
13093 과학[수학] 소수의 일반식을 밝혀낸다면? 27 OshiN 22/03/10 4595 0
13063 과학인간 관측 기준에서 시간적 연속성이 끊기는 것이 존재할까요? 2 Hard Rock Cafe, 22/03/06 3666 0
13059 과학대협의 존성대명을 여쭙습니다 5 私律 22/03/05 4147 0
12704 과학부스터샷 맞으신분들 증상 있나요?? 19 copin 21/12/18 4320 0
12596 과학차량 및 운전 문제 상담 부탁드립니다 2 INFJ 21/11/20 4200 0
12541 과학풍차로 전기를 만들고 그 전기로 물을 생산할수있나요? 11 수원호두 21/11/08 4671 0
12540 과학비누가 정신 못차리는 이유 6 철든 피터팬 21/11/08 4412 0
12533 과학인공위성 위치에너지 10 moqq 21/11/06 4752 0
12494 과학화학 질문이요. 물은 왜 극성결합인가요? 9 moqq 21/10/31 4149 0
12399 과학탄소 흡수를 위해서 바다를 왜 이용하지 않는 건가요? 4 私律 21/10/08 4046 0
12319 과학문과생이 우주, 양자역학을 취미로 즐길 만한 모임.. 7 봄과여름 21/09/26 4577 0
12318 과학구렁이 뱀 모으는 소리는 뭘까요? 3 私律 21/09/26 3950 0
12194 과학얼음의 융해열로 액체를 0도 이하로 냉각할 수 있나요? 22 심해냉장고 21/09/05 4565 0
12166 과학빤짝이 제거하는 법 10 사과농장 21/08/31 7195 0
12163 과학대협의 존성대명을 여쭙습니다. 21 私律 21/08/30 5549 0
12082 과학(사회적) 관계의 시뮬레이션 2 포말하우트b 21/08/19 3944 0
12055 과학이케아 침대 매트리스 품질 질문 5 아침커피 21/08/15 4816 0
12032 과학압력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0 copin 21/08/09 3834 0
11908 과학레이더에 전파를 쏘아서 속일 수 있을까요? 20 私律 21/07/17 4720 0
11904 과학전기차는 스마트폰 처럼 표준이 될까요? 6 리니시아 21/07/16 4079 0
11845 과학365일 폰 충전기를 꽂아놓고 사용하고 싶습니다 6 똘빼 21/07/05 3761 0
11773 과학삼차방정식 근의 공식에서 x = y - b/3a 6 아침커피 21/06/24 4514 0
11728 과학대협의 존성대명을 여쭙습니다 9 私律 21/06/14 4661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