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1/01/04 16:36:59수정됨
Name   거위너구리
Subject   정신과 진료랑 심리치료 받은 것이 그렇게나 안좋은 경험인가요?
티타임에 쓴대로 저는 정신과 진료를 받았고 심리치료를 받은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정신과 진료랑 심리치료를 경험했다는게 비용도 비용이지만 한국에서 살기에는 사회적인 낙인이 찍혔다는 죄책감이 들어 자꾸만 진료 경험을 감출 수밖에 없습니다. 저는 온라인에서나 오프라인에서나 장애는 드러내도 심리치료나 정신과 진료 경험은 철저히 감춥니다. 홍차넷에서는 솔직히 밝혔다는 것 자체가 저에게는 굉장히 특별한 경험이네요.

현실에서 저는 심리치료와 정신과 진료를 받았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유산상속에서 제외되었고 결혼비용과 독립비용도 제가 하고 싶다면 혼자서 모든 것을 다 마련해야 합니다. 위로와 격려를 받지는 못할망정 가족에게 도태되었죠. 정확히는 심리치료랑 정신과 진료비용을 안 썼으면 아파트 전세값 정도는 마련할 수 있지 않았느냐 라는 핀잔을 자주 듣습니다.

한국에서 정신과 진료 받는 것이나 심리치료 받는 것이 그렇게나 안좋은 경험입니까?
저는 정말 너무 속이 답답합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심리치료나 정신과 진료를 받는 것이 나쁘다는 생각이 안듭니다. 누구보다 사람답게 살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1


험하게 말해서 정신과치료나 상담에 받은 사람을 안좋게 보는 사람들은
미친놈들이죠. 그놈들이..
상식적으로나 전혀 낙인찍혀야 하지 말아야 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치 좀 힘든 병 앓았었다고 사람 낙인 찍는거랑 같지요.
괘념치 마시기 바랍니다 모쪼록
잘살자
우리 사회가 아직 그런 부분을 잘 알지 못 할 뿐아니라 편견과 선입견도 가지고 있는 거 같습니다.

그런데 그런 경험이 있거나 혹은 그런 상태라는 것이 유산 상속과 무슨 상관관계가 있기에 제외되었다는 건가요?
잘살자
저는 마지막에 말씀하신 '사람답게 살기 위해 노력한 흔적' 이라는 부분에 격하게 공감합니다.
거위너구리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T_T
거위너구리수정됨
돈을 쓸데없는(정신과 진료랑 심리치료비)에 물쓰듯이 썼다 -> 저는(거위너구리는) 돈을 관리할 준비가 전혀 안되어있는 것이 확실하다 -> 그러므로 돈은(유산은) 돈관리 능력이 충분한, 돈을 허투루 쓰지 않는 동생들이나 어머니에게 가는 것이 마땅하다
입니다(...)
잘살자
아이고 맙소사!
일단 너무 상처 받지 마시고 본인의 마음을 건강하게 지키는데 집중하셨으면 좋겠네요.
거위너구리님 마음이 가장 비싸다고 말씀 드리고 싶네요.
알료사
아뇨. 저도 홍차넷에 밝혔습니다. 주변에도 아는 사람들 많구요.
거위너구리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ㅠㅠ 뭔가 속이 풀리는 기분입니다.
문제의 원인을 잘 살펴봐야할것 같네요. 아무래도 가족이, 특히 재산을 쥐고 있는 보호자가 글쓴분한테 심하게 가스라이팅을 하고 있는 듯한데요 그래서 정신과 진료도 받으신 상황인데, 그 보호자는 정신과 진료까지 약점으로 잡아서 더더 가스라이팅을 신나게 즐기고 있는 모양새로 보입니다. 정신과 까지 갈정도면 자존감이 몹시 바닥이실듯한데, 낮은 자존감은 학습능력을 저하시킵니다. 생각하는 힘이 바닥이라는 건데요. 그래서 더욱 자신을 신뢰하기 힘들어서 부정적인 보호자(가해자)한테 매달리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글쓴분한테 필요한건 보호자에 ... 더 보기
문제의 원인을 잘 살펴봐야할것 같네요. 아무래도 가족이, 특히 재산을 쥐고 있는 보호자가 글쓴분한테 심하게 가스라이팅을 하고 있는 듯한데요 그래서 정신과 진료도 받으신 상황인데, 그 보호자는 정신과 진료까지 약점으로 잡아서 더더 가스라이팅을 신나게 즐기고 있는 모양새로 보입니다. 정신과 까지 갈정도면 자존감이 몹시 바닥이실듯한데, 낮은 자존감은 학습능력을 저하시킵니다. 생각하는 힘이 바닥이라는 건데요. 그래서 더욱 자신을 신뢰하기 힘들어서 부정적인 보호자(가해자)한테 매달리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글쓴분한테 필요한건 보호자에 대한 환상에서 벗어나셔야 해요. 정신과진료에만 의지하지 마시고 많은 사례들을 찾으세요. 가스라이팅 관련해서는 도움받을 자료들이 많습니다. 유투브나 도서로 찾아보셔도 되구요. 가장 중요한건 글쓴분을 그 자체로 격려해주고 따뜻하게 품어주는 존재에 대해서 경험해야 합니다. 그 첫걸음이 현실을 깨닫는 거에요. 현실을 깨달아야 벗어나는 독립을 시도할수 있겠죠. 부모라고, 가족이라고 너무 믿지 마시고 스스로를 보호할 방법을 찾으세요.
3
kaestro
정신과 진료가 아니라 무슨 일이든 건수가 있었다면 비슷한 일이 있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제 인생에서 가장 잘 했던 선택 중 하나는 학교에서 지원하는 심리 치료 프로그램을 지원한 겁니다. 지금도 정신과 통원 중이구요
감자별
유독 그런 사람들이 있습니다. 으르신들이 많긴 한데 젊은 사람들도 심심치않게 있습니다. 저같은경우는 뒤도 안돌아보고 손절합니다. 10년 가까이 알고 지낸 친구 몇 쳐냈습니다만, 후련합니다.

다만 가족이시라니 힘드시겠네요.
저같은 경우 애초에 집안에 돈이 많지 않아서 유산에 대한 기대를 하지 않긴 합니다만... 제가 그런 말을 들었다면 일단 자존심 박살나는 건 당연하고 더 이상 정서적이든 물질적이든 엮여 있는 상태를 참지 못할 것 같습니다. 고시원이라도 하나 잡아서 곧바로 독립할 거고, 혹여 집에서 이런저런 지원 해 준다고 하... 더 보기
유독 그런 사람들이 있습니다. 으르신들이 많긴 한데 젊은 사람들도 심심치않게 있습니다. 저같은경우는 뒤도 안돌아보고 손절합니다. 10년 가까이 알고 지낸 친구 몇 쳐냈습니다만, 후련합니다.

다만 가족이시라니 힘드시겠네요.
저같은 경우 애초에 집안에 돈이 많지 않아서 유산에 대한 기대를 하지 않긴 합니다만... 제가 그런 말을 들었다면 일단 자존심 박살나는 건 당연하고 더 이상 정서적이든 물질적이든 엮여 있는 상태를 참지 못할 것 같습니다. 고시원이라도 하나 잡아서 곧바로 독립할 거고, 혹여 집에서 이런저런 지원 해 준다고 하더라도 쳐낼 것 같아요.

치료나 상담 받는 게 뭐 어때서요. 거기에 돈 좀 쓰면 또 어떻습니까. 속으로 삭히다가 세상 등지는 것보다 낫죠. 어찌됐던 열심히 살아보려고 하는 건데.

보란 듯이 멋지게 살아가셔요.
2
步いても步いても
아프면 병원에 가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감기가 걸리면 내과나 이비인후과 등을 가듯이 심리적으로 이상이 있으면 정신과를 가는 것이지요. 그걸 이상하게 보는 사람이 이상한 겁니다. 용기를 가지시고 대응하세요.
임상심리는 아니지만 심리학 전공자로서 그런 꽉 막힌 사람들 볼 때마다 안타깝습니다.
오쇼 라즈니쉬
이번에 코로나 블루로 인해 정신과가 대박이 났더군요.
이번 기회에 그런 시선들이 좀 없어졌으면 싶읍니다.
키티호크
아픔에 공감과 위로를 보내지 못하는 더러븐...
이 세상에 정말 치료받아야할 사람이 참 많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질문 게시판 이용 규정 11 토비 15/06/19 25671 4
16968 기타중고차로 첫 차 구매 8 + 은하꾸리 25/08/27 355 0
16967 가정/육아20만원 내외 돌 유아용 그림책선물 7 kaestro 25/08/27 216 0
16966 의료/건강선생님들 심장쪽이 아픈데요. 1 활활태워라 25/08/27 282 0
16965 기타프라모델용 도구 추천해 주세요 6 오쇼 라즈니쉬 25/08/27 155 0
16964 기타책 추천을 받고 싶습니다. 24 쉬군 25/08/27 462 0
16963 기타길에 떨어진 돈을 보았습니다. 4 나만한 고양이 25/08/25 502 0
16962 법률내일 부모님 모시고 법원에 갑니다 11 거소 25/08/25 697 1
16961 여행갤럭시 esim활성화 6 치즈케이크 25/08/25 400 0
16960 게임TFT 증강선택? 보는법 10 토비 25/08/24 352 0
16959 의료/건강담관 내시경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2 눈팅중 25/08/24 236 0
16958 경제조직검사 결과통보전에 암보험을 보강/가입 해야될까요..? 6 [익명] 25/08/24 681 0
16957 기타타이어 교체 질문 5 방사능홍차 25/08/23 290 0
16956 기타자전거를 새로 샀는데 1단과 6단이 안됩니다 3 2025 25/08/22 492 0
16955 IT/컴퓨터구글원 요금제 ->구글 AI 요금제 업그레이드? 6 Picard 25/08/22 518 0
16954 의료/건강신발 문의 드립니다 11 2025 25/08/22 385 0
16953 문화/예술노래에서 표절의 기준 1 물리물리 25/08/21 342 0
16952 의료/건강부종에 좋은 발 받침대 추천 요청 7 anna_K 25/08/21 337 0
16951 의료/건강건강검진 결과입니다. 추가적 진료 및 치료가 필요할까요? 21 호미밭의파스꾼 25/08/21 735 3
16950 기타오프라인으로 할수 있는 모바일게임? 17 치즈케이크 25/08/20 600 0
16949 기타레이, 비슷한 차급의 경차를 타시는 분들 계실까요? 8 메리메리 25/08/20 591 0
16948 여행기내용 메모리폼 목베개를 아예 의료용 경추부목으로 사는 건 어떨까요 7 2025 25/08/19 534 0
16945 기타올해 입사한 신입인데 아직도 계속 혼나면서 적응을 못하는 것 같아요.. 29 [익명] 25/08/17 1291 0
16944 IT/컴퓨터챗 gpt 같은 ai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4 어둠달골짜기 25/08/16 611 0
16943 기타광주광역시 맥줏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4 호미밭의파스꾼 25/08/16 425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