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8/05/15 10:42:48
Name   알탈
Subject   보드게임 "쓰루 디 에이지스" 신판 후기
안녕하세요, 보드게임 사는 남자 알탈입니다. 물론 산 건 아직 몇 없지만...

비주기적으로  보드게임에 대한 후기를 올려볼까 하는데, 일단 스타트는 가장 최근에 한 게임인 "쓰루 디 에이지스" 신판 (문명의 새 이야기) 로 해보고자 합니다.

1. 쓰루 디 에이지스 신판 : 문명의 새 이야기 소개 (https://boardgamegeek.com/boardgame/182028/through-ages-new-story-civilization )

보드게임긱 (https://boardgamegeek.com )에서 현재 긱 레이팅 3위에 올라 있는 작품입니다. 물론 긱 레이팅이 매니아적인 측면이 있고 대중적인 재미와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작품을 사서 플레이 할 때의 만족도와는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참조할 만 합니다. 특기할만한 것은 작품의 진입 장벽, 혹은 복잡한 정도를 의미하는 weight가 4.37/5 라는 점인데, 능수능란해 져서 재미를 느끼며 플레이 하기에는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2. 개봉하면서

쓰루 디 에이지스 신판 : 문명의 새 이야기의 한글화 및 유통은 보드피아 (http://boardpia.co.kr )에서 담당하고 있습니다. 내용물 중 카드가 약 330장 정도 되는데 보드피아에서 전용 카드 슬리브 (52mm*75mm)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한 뭉치에 200장이니 두 뭉치가 필요합니다.
개봉하면서 느낀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각 플레이어들을 위한 나무 마커가 존재. 각각의 마커에는 양면으로 스티커 작업이 필요.
* 자원을 나타내는 마커는 육면체의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음.
* 하드보드로 된 게임 상황 판과 개인 보드 판이 존재.
* 튜토리얼 플레이 설명서가 따로 있는데 20페이지가 넘어감.

진입장벽이 있다 보니 입문자를 위한 튜토리얼 플레이 설명서가 따로 있고, 이게 정규 규칙 안내서보다 더 두껍습니다. 일단 컴포넌트에 대한 느낌은 매끈하나 약간은 아쉬웠습니다. 아무래도 나무 마커의 양 면 스티커는 왠지 시간이 지나면 접착력이 떨어지고 끈적해질 수 있고, 비슷한 장르의 다른 게임들과 비교하여 카드의 비중이 높다 보니 나무/플라스틱 컴포넌트가 적어 손 맛이 조금 약했습니다.
하지만 각각의 컴포넌트들은 불량이 없고, 플라스틱 마커는 손 맛은 떨어질 지 몰라도 그 외의 다른 점에서는 나무 마커보다 훌륭합니다. 그래서 부품에 대한 점수는 평균보다 후하게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부품 : 4/5

특기할 만한 사항으로, 상당히 카드가 많습니다. 크게 두 가지 분야의 카드가 있고 각 분야는 179장 / 150장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카드덱이 오픈되는 순서는 플레이어가 관여할 수 없기 때문에 겉으로 보기에 '운'의 요소가 크게 작용하는 것 처럼 보일 수 있지만, 오히려 사용하는 카드의 범위가 넓기 때문에 오히려 플레이어의 '선택'을 강조하게 됩니다. 이 부분은 매 플레이마다 다른 상황이 주어 질 때 플레이어가 어떤 선택을 하는지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면서 게임의 리플레이성도 좋아지는 결과를 낳게 됩니다.

볼륨 : 5/5

3. 튜토리얼 플레이

어떤 보드게임에 익숙해져서 고득점을 하기 위해서는 수학적인 사고력이 더 많이 필요할 수도 있겠지만, 일단 입문하기 위해서는 언어적인 사고력이 더 많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안타깝게도 쓰루 디 에이지스의 튜토리얼 플레이는 튜토리얼임에도 불구하고 글자가 빼곡했습니다. 그러나 다행히 카드의 언어는 간략하고 비언어적인 표기가 많아 접근하는 것은 용이했습니다. 보드게임 긱의 4.37 weight 라는 평가에 비해, 튜토리얼 1회를 플레이 하고 난 뒤의 난이도는 의외로 평범한 수준이었습니다. 게임의 복잡도와 비교한 직관성은 상대적으로 높게 쳐줄 수 있지만 첫 문턱이 꽤나 높다 보니 크게 고평가 할 수 는 없었습니다.

직관성 : 3/5

4. 플레이를 하면서

시드마이어의 문명 시리즈가 공전의 성공을 거둔 이래, 많은 보드게임 디자이너들이 비슷한 주제의 보드게임을 완성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해왔습니다. 그리고 전체적인 게임 디자인에 있어서, 쓰루 디 에이지스보다 높은 완성도를 보이는 작품은 없는 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문명 류 보드게임은 다양한 방법의 승리조건에 대해 밸런스를 맞추지 못하거나, 각 유저들의 플레이 방향에 따른 편차가 큰 것에 비해, 이 게임은 '문화 점수'로 승리 조건을 단일화 하면서도 각각의 플레이 양상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문화 점수'를 만족시킬 수 있게 디자인 되어 있습니다.

테마 : 5/5

이 점이 의외의 강점으로 여겨졌는데, 단적으로 "시드 마이어의 문명 : 보드게임"의 예를 들자면, '컴퓨터 문명 시리즈'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승리 조건을 각자 분류하다 보니 게임 방향성은 너무 파편화되고, 막상 이런 저런 승리 조건들을 채우기 위해 진행하다 보면 문명 특성과는 상관 없이 과학승리의 코 앞에 다가가게 됩니다. 시작은 각자 달라도 중후반의 게임 플레이는 결국 천편일률적이라고 해야 할까요?
하지만 "쓰루 디 에이지스"는 '문명 특성' 같은 개념을 없애고 초기 시작 조건은 동일하게 하면서, 각각의 상황에 따른 플레이어의 선택을 통해 각기 다른 형태의 문명을 이끌어나갈 수 있게 합니다. 때문에 게임이 심화될 수록 각자의 플레이어들은 개인의 선택에 대한 결과에 대해 보다 쉽게 성취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 다른 특징이라면, 다른 문명 류 게임들은 보드게임의 오프라인 플레이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심리전 혹은 '구두 협약'에 대해 크게 의존하는 것에 비해, "쓰루 디 에이지스"에서의 외교는 철저하게 '계약 조건'을 따르게 되며 '구두 협약'을 지양합니다. 문명 류 뿐 아니라 대부분의 보드게임에서 플레이어들 간의 협약에 대해 두루뭉실하게 넘어가는 것을 생각해 보면, 이러한 외교의 시스템화는 상당히 참신한 선택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교는 다른 행동들과 다름 없는 하나의 '선택'이 되면서, 플레이에서 외교가 지나치게 큰 무게를 갖지 않도록 적절하게 배분하였습니다.

성취감 : 5/5

5. 게임을 마치고

게임을 마친 뒤 전반적인 진행 현황, 카드 및 컴포넌트의 구성과 배치들을 보았을 때, 이 게임은 디자인이 잘 되었다고 느낄 수 있었습니다. 예전에 지인들에게 "시드 마이어의 문명 : 보드게임" 에 대해 혹평을 한 적이 있었는데, "시드 마이어의 문명 : 보드게임"이 문명의 이름만 붙었을 뿐 정작 디자인 자체는 그 테마를 온전히 살리지 못했다면 "쓰루 디 에이지스"의 디자이너는 "플레이어들이 원하는 게 바로 이 것 맞죠?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라고 말하는 수준의 디자인을 보여주었습니다. 다른 물건으로 비유하자면, 공산품 옷을 샀는데 맞춤 정장 같이 착 붙는 느낌이라고 표현할 수 있겠네요.

디자인 : 5/5

6. 총점 : 9/10

전반적으로 매우 만족스러운 구매였고 플레이였으며 소장할 가치가 있다고 봅니다. 치명적인 단점이라면 가족들과 즐기는 다른 보드게임들에 비해 난이도가 묵직해서 같이 할 사람들을 따로 구해야 한다는 것? 그 이외에는 아쉬운 점이 크게 없네요. 만약 홍차넷에서 보드게임 번모를 하게 된 다면 들고 나갈 용의가 있습니다.
이상의 감상 평은 개인의 주관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분들의 의견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나름대로 객관적인 척도를 갖고 평가하고자 하였으니 참조 부탁드립니다.
다른 분들의 감상이나 궁금한 점에 대해서는 댓글로 이야기 해주셔도 감사합니다. 그러면 다음 번에는 또 다른 플레이 후기를 갖고 찾아뵙겠습니다.



3
  • 재밌어보여요~!!


PS. 게임 구매 시 내부에 존재하는 플라스틱 트레이가 상당히 잘 만들어져 있습니다. 카드 프로텍터를 씌워도 내부 적재가 깔끔하고 용적 활용에 이상이 없습니다. 굳이 다른 오거나이저나 다이소 정리함을 구매할 필요가 없습니다.
정모각 ㄷ
보드게임 번개 모임하면 좋겠다 싶네요.
시간만 맞으면 나가볼텐데요 ㅋ (주말은 시간이 안나서 ㅠㅠ)

보드게임의 특성상 번개모임의 주최는 게임을 들고가거나(보드게임카페에서 모일게 아니라면) 설명하시는 분이 해야 하는 상황이 많지요.
근데 모임 주최하는 분들을 힘들게 하는게 지각이나 무단 결석의 문제인데요.
보드게임 모임은 특성상 인원수를 맞춰야 하고 설명을 여러번 하기 어렵기 때문에 시간 약속을 잘 지키는게 굉장히 중요합니다.
만약 번개를 하게 되면 참가하시는 분들이 이런 부분들은 잘 기억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만약 보드게임 번모 하게 되면 한 게임에 참여하는 분들이 각기 다를테니 선착순으로 테이블 만들어서 각기 다른 걸 돌려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그와 별개로 주말이 시간이 안나면...뵙기 힘들 듯 ㅠㅠ
보통 번개모임을 하면 그렇게 대규모가 되지는 않으니 모임 개최할 때 인원수 4~6명 이런식으로 조건 걸고 모집을 하는게 더 낫지 않나 싶어요.

여러 테이블을 돌릴정도면 꽤 준비가 빡세질거 같아서...
아 그렇군요...기억하겠습니다!
기쁨평안
오 재미있을 것 같아요~!
배바지
핸드폰 버전은 사놓고도 해보질 못 했네요... ;;;
인원 제한하고 한다면 저도 시간 맞으면 가보고 싶네요.
쓰루디에이지스는 해보고 싶은 게임이라..
만약 보드모임을 한다면 쓰루에가 최대 4인플짜리 게임이니 4명으로 제한하거나 그 이상으로 오시는 분들은 다른 게임을 하시거나 해야겠어요
Redcoffee
쓰류 신판은 구판에 비해 정말 널널하더군요.. 자원이 남아도는 느낌이더이다. 하고 싶은걸 할수 있는건 좋은데 쓰루 구판의 빡빡한 맛이 없는건 아쉽더라고요
요즘은 추세가 전반적으로 빡빡함을 줄이고 플레이어가 하고 싶은거 다 해 이런 식으로 자유도를 높이는 것 같아요. 우베 로젠버그 작품들도 후기 작품들일수록 널널하고...
마술사
신판은 구판이랑 뭐가틀린거죠? 리더 전술카드 원더만 달라진건가요?
보드라이프에 어떤 분이 변경점 정리하신 것이 있어 링크 드립니다.

http://boardlife.co.kr/bbs_detail.php?bbs_num=7987&tb=board_community&id=&delivery=0&pg=1&game_id=5660&start=&b_category=&game_category=

전반적인 평가는 밸런스와 룰이 크게 개선되었다고 하고, 아예 다른 게임이라는 의견도 있더라고요.
마술사
링크내용대로라면 제 댓글내용(리더 원더 전술카드)만 수정된게 맞나보네요
원래 구판도 발매국별(한국판엔 세종대왕이 리더로 나오는 식) 리더원더가 다른게 있었어서...그리고 온라인으로 다양한 리더원더중에 랜덤으로 플레이하는방식이 익숙해서인지 리더원더전술만 바뀐걸론 전혀 다른게임이 되었다는건 오바인듯 합니다.
저도 구판은 플레이 경험이 없어서 직접 말씀을 못드리겠네요 ㅠㅠ
Redcoffee
자원 낭비가 구판은 생산후 낭비가 일어나서 버리게 되는 자원이 많아지는데, 신판은 낭비후 생산이 일어나서 자원 관리가 쉬워져서 훨씬 플레이하기가 쉬워요. 인구도 더 쑥쑥늘고 건물도 더 잘 올라가는 느낌이에요.
리더 윈더 전술만 바뀐건 아닙니다.

진행 순서가 바꼈어요.

1 - 기존에 자원 생산 > 낭비 순서였던걸 자원 낭비 > 생산으로 바꿈
2. 그에 맞춰서 저장소 숫자와 페널티가 변경
3. 군사카드 버리는 단계가 행동 전이 아니라 행동 후로 변경
4. 지도자 교체 시 시민행동을 돌려받게 됨
5. 군사카드를 가져오는 단계가 생산단계와 분리되어 폭동과 관련없이 가져오게 됨
6. 공용 전술 추가.
7. 침략시 군사유닛 희생이 없어지고, 군사카드를 버려서 군사력을 올리는 방식 추가.
8. 전쟁에서 희생 불... 더 보기
리더 윈더 전술만 바뀐건 아닙니다.

진행 순서가 바꼈어요.

1 - 기존에 자원 생산 > 낭비 순서였던걸 자원 낭비 > 생산으로 바꿈
2. 그에 맞춰서 저장소 숫자와 페널티가 변경
3. 군사카드 버리는 단계가 행동 전이 아니라 행동 후로 변경
4. 지도자 교체 시 시민행동을 돌려받게 됨
5. 군사카드를 가져오는 단계가 생산단계와 분리되어 폭동과 관련없이 가져오게 됨
6. 공용 전술 추가.
7. 침략시 군사유닛 희생이 없어지고, 군사카드를 버려서 군사력을 올리는 방식 추가.
8. 전쟁에서 희생 불가.

위에 룰들이 기본 룰 자체를 바꾼 거라서..
리더윈더전술만 바뀐거랑은 다르죠.
마술사
세부사항 설명 감사합니다
기쁨평안
한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사람들 끼리 모여서 진행을 해도 어려움이 없을까요?
내부에 튜토리얼 플레이를 위한 설명서가 있습니다. 타인에게 배우는거보단 시간이 좀 걸려도 문제되지 않습니다.

다만 잔룰이 많은 게임 특성상 초보끼리 에러플 안일어나게 서로 봐주는 것이 좋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899 7
15403 생활체육소마틱스 운동 소개 4 + 바쿠 25/04/24 198 7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210 3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3 큐리스 25/04/23 367 10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흑마법사 25/04/22 306 17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700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792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728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602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591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577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742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59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162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61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660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69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69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290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682 10
15383 일상/생각평범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 1 큐리스 25/04/15 600 8
15382 음악[팝송] 테이트 맥레이 새 앨범 "So Close To What" 김치찌개 25/04/14 165 0
15381 IT/컴퓨터링크드인 스캠과 놀기 T.Robin 25/04/13 558 1
15380 역사한국사 구조론 9 meson 25/04/12 879 4
15379 오프모임날이 좋아서... 날이 좋지 않아서... 5/4 난지도벙 15 치킨마요 25/04/11 997 3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