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5/01/07 22:11:42
Name   카르스
Subject   포스트 계엄 세대의 탄생
(중략)

당연한 일이기도 하다. 권위주의 정권에서 태어나 선생님에게 매 맞아가며 민주주의를 책으로 배운 우리 같은 기성세대가, 민주화 이후 선진국에서 태어나 민주시민 교육을 받은 젊은이들에 비해 민주주의를 더 잘 이해하고 있을 가능성은 없다.

그런 의미에서 비상계엄이 선포된 지난 한 달 동안 우리 청년층이 보여준 압도적으로 높은 수준의 정치 참여와 발언들을 이해할 수 있다. 기성세대가 ‘계엄’이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처음 느끼는 감정이 두려움이라면, 청년세대가 계엄이라는 현실에 대해서 처음 느끼는 감정은 싸늘한 경멸의 분노일 것이다. 이들은 결코 두려워하지 않는다. 격분하지도 않는다. 다만 대한민국이 선진국일 때 태어난 사람들로서 어느 날 나라를 후진국으로 만든 사람들을 경멸할 따름이며, 이러한 차가운 분노는 식지도 않을 것이다.

또 다른 젊은이들이 있다. 그날 국회에서 실시간으로 중계됐던 몸싸움에서 완전 무장을 한 채 민간인들에게 이리 밀리고 저리 밀리던 앳된 계엄군도 이들과 같은 교과서로 공부한 세대이다. 어쩌면, 우리 같은 기성세대가 이해하지 못하는 수준에서, 폭력과 유혈은 반드시 피해야 한다는 암묵적 합의가 한국 민주주의의 교과서에 피로 아로새겨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5·18의 역사, 혹은 백남기 농민의 희생으로 쌓아 올리고, 촛불시위를 통해 드러났던 강력한 비폭력의 원칙은 계엄군의 머릿속에 남아 있었고, 어떤 갑작스러운 계엄령과 명령 체계로도 깰 수 없었던 것 같다.

그러나 미국의 허버트 후버 전 대통령이 남긴 섬뜩한 경고를 이 자리에서 다시 적지 않을 수 없다. “전쟁을 선포하는 것은 노친네들이지만, 싸우고 죽어 나가는 것은 젊은이들이라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라도 자신의 지지자들과 “끝까지 싸우”자고 A4 용지 한 장의 메시지를 통해 제안한 대통령의 죄가 가볍지 않다.

설마 그런 일이 절대로 있어서는 안 되겠지만, 시위대와 경찰이, 혹은 공수처와 경호처가, 혹은 그 어떤 누구라도, 명령과 명령이 대치하고 조직과 조직이 맞부닥칠 때, 단 한 사람, 단 한 번의 오판, 단 한 발의 총성, 그 찰나의 스파크가, 모든 것들을 한꺼번에 태워서 잿더미로 만들 것이라는 사실을 알았으면 한다. 이런 상황을 빨리 해결하지 않는 것은 그 스파크가 일어나는 것을 기다리는 것과 같으며, 역사에 영원히 씻을 수 없는 죄를 짓는 것과 같다. 왜냐하면 그곳은 당신의 앳된 딸들과 아들들이 서 있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이 무사히 지나간다면, 그래도 우리가 얻은 소득이 있지 않을까. 그것은 우리의 청년세대가 얼마든지 우리 공동체를, 기성세대 못지않게 잘 이끌어갈 수 있게 훌쩍 성장했다는 사실이 아닐까. 혹여 당신이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이나 민주화에 약간씩 기여한 바가 있다고 할지라도, 그것이 얼마나 신기루 같은 것인가를 이번에 새삼 깨닫지 않았겠는가. 그래서 이 ‘포스트 계엄 세대’는 우리 공동체의 가장 큰 고비를 넘긴 세대라고, 그래서 이들에게 이제는 나라를 믿고 맡겨도 괜찮겠다고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출처: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50106/130802901/2
=======================================================================
안녕하세요. 포스트 계엄 세대입니다.
당사자로서, 기성세대가 계엄령에 대해 첫 느낀 감정이 '두려움'이라면, 청년세대는 '싸늘한 경멸의 분노'라는 비평에 더없이 동의.

아동 혹은 청소년기부터 선진국이었던 나라에 성장해온 사람으로서,
한국이라는 나라가 여러 도전과제와 위기에 직면했지만 그래도 세계에서 제일 눈부신 축의 성취를 이룬 나란데,
이를 정략적 목적으로 망가트리려 한 시도를 용서할 수 없음.



7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0 사회비상계엄이 삼켜버린 사회적 소수자들의 목소리 2 자공진 24/12/17 1652 30
964 사회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항명·상관명예훼손 1심 무죄 선고 17 노바로마 25/01/09 1586 17
206 사회명태균과 박정혜와 소현숙 1 자공진 24/11/01 1642 17
1757 문화/예술가족주의 판타지를 넘지 못한 ‘폭싹 속았수다’ 43 삼유인생 25/03/30 2134 16
998 사회무안공항에 모인 기자들... 언론의 '조별 과제'가 시험대에 오르다 6 카르스 25/01/13 1500 16
857 사회쉼 없이 수선해 멋진 유산 물려줘야 진정한 보수 8 구밀복검 25/01/01 2019 13
517 정치573인의 정치학자 시국선언 10 물냉과비냉사이 24/12/08 1476 13
949 사회키세스 전사들과 함께한 '난방 성당' 삼유인생 25/01/07 1211 12
708 사회대법 "14년간 장애인접근권 개선 입법 안 한 정부, 배상해야" 5 카르스 24/12/19 1464 12
1470 정치극우의 물결 일으킨 더 깊은 뿌리 35 카르스 25/02/28 1584 11
1737 사회애터미, 산불피해지원에 100억 기부…역대 재난재해 성금 최고 16 danielbard 25/03/28 887 10
1155 정치검찰, '내란 혐의' 윤 대통령 구속기소…헌정사 초유 16 매뉴물있뉴 25/01/26 1873 10
840 정치군용차 막아선 김동현씨 “누구든 도와줄 거라 확신했어요” 6 노바로마 24/12/30 1527 10
642 정치탄핵안 가결까지 국회 지킨 우원식 의장···“열흘만에 퇴근합니다” 8 매뉴물있뉴 24/12/15 1580 10
786 정치세상이 킹차넷 뉴게를 중심으로 회전한다는 증거.jpg 7 매뉴물있뉴 24/12/25 1491 9
745 사회왜 이제야...법원, 16개월 만에 KBS이사장 해임 사유 "모두 부당" 6 과학상자 24/12/22 1915 9
526 정치‘내란죄’ 윤석열 탄핵 투표 불참한 국민의힘 105명 16 과학상자 24/12/08 1966 9
505 정치尹 탄핵안 투표한 與 김예지, 의원총회서 찬성 뜻 밝혔다 6 Cascade 24/12/08 1379 9
1201 사회'1등 로펌' 김앤장의 오징어게임 20 자공진 25/02/04 1802 8
1175 정치전광훈은 보수진영 사채업자. 한국 보수가 부도났다는 뜻. 11 기아트윈스 25/01/31 1468 8
1051 사회'강제 재수' 몰린 수험생 구제받았다…DGIST 입학 결정 3 the 25/01/17 1435 8
935 정치국민의힘 지지율 34.4%, 계엄 사태 이전 회복 20 매뉴물있뉴 25/01/07 1371 8
894 사회"너 T야?"가 욕이 된 시대…공감의 신화가 교실을 망친다 9 카르스 25/01/03 1631 8
1502 국제기적의 핏방울…평생 헌혈로 240만명 살린 희귀혈액 남성 별세 5 Leeka 25/03/04 772 7
1312 사회세종호텔 해고노동자 10m 구조물 올라 농성…복직 요구(종합) 1 다군 25/02/13 973 7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