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5/01/07 11:46:20
Name   매뉴물있뉴
File #1   25년1월1주차_리얼미터.webp (17.3 KB), Download : 0
File #2   24년_11월4주차_리얼미터.jpg (207.9 KB), Download : 0
Subject   국민의힘 지지율 34.4%, 계엄 사태 이전 회복




국민의힘 지지율 34.4%, 계엄 사태 이전 회복
https://www.khan.co.kr/article/202501060956011
http://www.realmeter.net/에너지경제신문-리얼미터-11월-4주-차-주간-동향-尹-대/

어제도 바빴고, 오늘도 바쁠 예정이었는데 눈이오면서 야외일이 나가리되었읍니다.
어제는 아무도 이 얘기를 안하셨으니까 오늘 제가하는 얘기는 그러니까 음 뭐랄까
과연 헌정질서는 언제 무너졌는가
그리고 그 헌정질서는 언제 회복되는가에 대한 이야기이읍니다.



만약 그 무너진 헌정질서가 계속 무너져있는 상태였다라고 하면
제가 꺼냈을 이야기는 무엇이었을까..
저는 아마도, 법치주의의 완전한 부정 / 무법천지를 혼자 선언하고 있었을것 같습니다.

계엄이 일단 선포되고 나면 검찰 / 법원 그거 다 쓸데가 없읍니다.
그냥 모두 계엄사령부에 귀속되거든요.
총/칼이 앞장서서 펜을 부러뜨리게 되는 상황이 오고
법률쟁이들이 한낱 먹물쟁이로 전락하고 아무 힘도 없어지는 시대가 오죠.
계엄령이라는게 그냥 그런겁니다.
친위쿠테타가 한번 성공적으로 안착되고 나면
아무리 그 계엄이 불법적인 계엄이었다고 한들
법원이 나서서 '그 계엄 불법적인 선언이다'라고 선언해주지 않습니다.



그 계엄이 선포되던날 있잖습니까
그 새벽에, 계엄군은 실제로 국회 / 김어준의 뉴스공장 / 선관위를 찾아갔읍니다만
그때 계엄군 들어오지 말라고 입구에 바리케이트를 쌓은 사람들이 있고 바리케이트를 안쌓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MBC, CBS, 경향, 한겨레, 국회 이런데는 다 바리케이트 쌓았고요
선관위, 대검찰청, 대법원 이런데는 바리케이트 안쌓았읍니다.
저 바리케이트를 그날 쌓았는가 안쌓았는가 여부가
계엄령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고 난뒤의 세상에서
어디가 옳은 곳이고 어디가 옳지 않은 곳인가를 가늠하는 주요한 지표가 됩니다.
그때부터는 법원이 뭐를 어쩌고 선언하고 정부가 뭐를 어쩌고 선언하고 계엄사령부가 2호 3호 포고문을 쓰고 안쓰고가 선악을 가늠짓지 않습니다.
바리케이트가 쌓여야 그곳이 의로운 곳이 되고
바리케이트를 쌓지 않은 곳들은 경멸당하는거죠.



물론 이런 이야기는 헌정질서가 완전히 망가졌을때나 합리적인 이야기일 겁니다.
헌정질서가 망가진 뒤라면 당연히 헌법과 법률을 통해 사고하는 것에 아무런 의미가 없지만
헌정질서가 복구된 뒤라면 당연히 헌법과 법률에 의미가 다시 부여되는 거니까요.
그럼 망가진 헌정질서는 어떻게 다시 복구되는가
1 윤석열이 선언한 계엄령이 국회 결의안을 통해 해제되었을때
2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이 국회에서 가결되었을때
3 최상목 권한대행에 의해 헌법재판관 두사람이 임명되었을때
4 체포영장을 보고 경호처가 군부대와 경찰부대에 대통령 경호를 요청하였으나 군/경이 불응했을 때
5 내란 혐의자들이 모두 압송되고 끌려나갈때
이런 것들이 이뤄졌을때에야 헌정질서가 복구되는 것이고
그때가 되어야 비로소 사람들이 헌정질서라는 틀 안에서 다시 사고하기 시작한다고 봅니다.
그리고 그 지표중 하나가 리얼미터 지표라고 생각합니다.
1 2 3 4 5의 결과로 (구) 국민의힘 지지자들이 도로 국민의힘 정당이라는 깃발 아래로 복귀한 것.



다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국민들이 저 '헌정질서'라는 깃발 아래로 다 돌아왔느냐
그렇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보수 유권자들중에 계엄은 정당했다 라고 주장하는 극단적인 돌아이들이 있으며
이 돌아이들은 아직 헌정질서라는 깃발 아래로 돌아오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진보/중도 유권자들중에도 내란혐의자들이 아직 다 압송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국민들이 또 존재하며
이 사람들도 아직 헌정질서라는 깃발 아래로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저 자신도 아직은 헌정질서라는 틀 안으로 복귀하기에는 조금 이르다고 생각합니다.
아직은 헌정질서가 복구되었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윤발롬/내란수괴가 아직도 서울구치소가 아닌, 한남동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죠.
5의 조건이 아직은 불충분하다고 보는 것입니다.



다만 헌정질서라는 깃발 아래로
진보진영의 유권자들 보다는, 보수진영의 유권자들이
좀 더 빠르게, 먼저 복귀한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국힘의 지지율이 계엄사태 이전을 완전하게 회복했으니까요.
물론 공휴일이 앞뒤로 끼어있는 기간에 실시된 조사는 보수 편향이 일부 발생하기 마련인데
그렇게 속단할수 있느냐는 맹점이 있긴합니다만
이미 계엄사태 이전의 지지율(32.3%)을 상회하는 << 국힘 지지율(34.4%)이 나왔다고 하면
국힘 지지자들은 이제 헌정질서의 틀안에서 이 사건들을 해결해야한다는 방향으로 완전히 의견을 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 현 시점에서 대부분의 보수 유권자들은
'이정도면 윤발롬은 충분히 진압되었다.'
'물론 윤발롬이 아직 잡혀들어가지는 않았지만, 저놈은 이미 사실상 가택연금상태이다.'
'그러니까 이제는 법률과 헌법을 갖고 절차를 따져가며 사건을 이해하고 접근해야한다.' 라고 생각하고 계시지 않나 싶어요.
현재 보수 진영에서 가장 중도에 가까운 입장을 대변하고 있는
유승민 전 의원, 김상욱 국민의힘 의원의 인터뷰를 보아도 그러하며,
그리고 지금 공수처의 행보를 보고 짐작해보건대, 공수처도 비슷한 의견인 것으로 보입니다.
헌정질서가 무너진 비상사태는 지났으며, 헌정질서는 이제 회복되어가고 있다.
그러니까 헌정질서 하에서의 정상적인 사고 방식대로 이제는 복귀할 때가 되었다.
이제는 헌법과 법률과 절차를 존중하는 본래의 일처리 방식으로 복귀하자는 것이지요.

(유승민 "내란죄 뺀 尹탄핵, 누가 승복하겠나" - 일요일 프레시안 기사제목)
(김상욱 "시간 걸리더라도 헌재에서 내란죄 여부 판단 해야" - 월요일 조선일보 기사제목)





그럼 그 반대편에서 내란 혐의자들을 진압해야한다는 사람들(저 자신을 포함해서)의 생각은 어떠하냐
아직은 강경하다고 보입니다.
이들은 최상목 권한대행이 경호처장을 직위해제하지 않을 경우 최상목에 대한 탄핵을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유혈사태를 각오하고 윤석열을 체포하기 위해 무장을 갖추고 한남동으로 뛰어들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계엄이 있었던 그 새벽에 올려진 바리케이트를 아직 내려놓지 않은겁니다.

저는 대충 두개의 가늠자를 놓고 고민하고 있습니다.
현재 제 스스로가 갖고있는, 제가 헌정질서의 깃발 아래로 복귀하는 조건은 대충 두개거든요.
A 윤석열이 체포되어 들어간다.
B 내란 특검법이 통과되고 수사/기소권이 모두 그 특검 아래로 모인다.

근데 아마 둘중 하나가 성립하면 나머지 하나도 곧 성립하게 되거나
성립하지 않아도 더이상 중요하지 않게 되거나 할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미 보수진영 유권자들은 헌정질서 안으로 다 복귀한것 같고
진보/중도 유권자들 안에서도 윤의 체포가 이뤄지고 나면
헌정질서 바깥의 틀안에서 사고하며 일을 해결해야한다는 목소리는 빠른 속도로 잦아들 것.
한남동은 정말로 마지노선이고 정말로 끝장이라고 봅니다.
그 이후로는 빠르게 모든 사람들이 헌정질서의 틀 아래로 복귀하지 않을까 생각해요

=========================================================

는 원래는 이번주말 한국갤럽의 데이터가 나온뒤에 적고 싶은 생각이었는데
주말에 별 같잖은 놈들이 괴상한 여론조사로 사람들의 심기를 너무 어지럽혀서
일단은 리얼미터 지표만으로도 헌정질서 이야기를 꺼내보았읍니다만
아무튼 이런 이야기는 한국갤럽의 데이터를 보면서 / 윤석열이 끌려나가는걸 보면서 하고 싶었읍니다만
조금 일찍 하게 되었군요.



8


pk가 단합이 엄청 잘되는 느낌
그들이 오만방자한 개소리를 해도 되는 이유
3
매뉴물있뉴
리얼미터 기준으로 11월 데이터를 보면
윤석열 국정지지율은 25%, 국힘 지지율은 32%라서
이미 윤석열 지지율이 국힘지지율보다도 저조한 상황은 연출되고 있었습니다.
지금은 국힘 지지율은 회복했을지언정 윤석열 지지율은 그 당시보다도 더 추락했을 것입니다.
근데 사실 이걸 정확하게 확인해보려면 금요일 갤럽 조사가 나와야 한다고 봅니다.
제가 말씀 드린 그들은 윤 내각도 있지만
나경원 권선동 등 내란을 옹호하고
시위하는 국민들 중국인 프레임 씌우는
국힘소속 지자체 정치인들입니다 ㅎㅎ
6
노바로마
위기에 따라 결집하는 측면이 있을거라고 봅니다. 물론 일부는 아예 합법계엄을 주장하기도 하겠지만 상당수가 "계엄은 잘못한거지만, 그게 윤석열 잘못이지 국힘 잘못이냐?", "윤석열 실수 한번 때문에 민주당만 재미보는 꼴은 못보겠다." 같은 사람들이 합쳐져서 국힘 지지에 들어가기도 했으리라고 봅니다. 박근혜때는 그런 사람들이 바른정당이라는 대안 선택지라도 있었는데, 지금은 대안도 없으니(개혁신당은 대안으로 보이지 않고) 국힘으로 표가 나오는거 같습니다.

진짜 마음 같아서는 빨랑 국힘 해산 시키고 싶은데, 쉽지는 않군요.
2
매뉴물있뉴
저는 그 '위기에 따른 결집이다'라는 해석이 과연 현 상황을 완전히 설명하는가라는 부분에 의문이 있었던게
'그렇다면 보수는 결집하는데 진보는 결집 안합니까?'라는 질문에 대답하기가 어렵더라고요.
노바로마
전 개인적으로 지금이 결집하고 있는거라고 해석합니다. ㅋㅋㅋㅋ 그리고 국가적으로는 민주당도 대단히 위기상황이었지만, 정무적인 위기상황은 아니거든요. 오히려 정무적으로는 공세적 상황이죠(국가적 위기가 정무적 찬스라는 상황 자체가 아이러니컬 하긴 한데...)
3
당근매니아
윤석열 지키겠다고 의원 44명이 한남동으로 몰려든 정당의 지지율이 35%가 나온 건데, 여기에는 내란혐의자들을 배제하는 걸 '체제의 정상화'로 받아들이지 않는 비율이 매우매우매우 높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글의 요지에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9
매뉴물있뉴
저는 그 44명의 의원들이 국힘 지지자들의 다수의견을 대변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읍니다. 리얼미터 조사에서는 이런 제 생각을 명확하게 뒷받침해주는 근거가 없읍니다만 이번주 금욜에 갤럽이 나오면 거기에는 있지 않을까...... 하고 생각하는 중..
pgr에 이런 글이 있더군요.
https://pgr21.com/freedom/103446
윤석열이 돌아와도 계엄 다시 안할 거라는 믿음 자체는 가련한 기만성 자기합리화에 지나지 않지만, 말씀하신 바와 연결되는 여론조사 결과가 아닐까 합니다.
1
매뉴물있뉴
자기기만에 가깝다고 저도 생각하는데...
그냥 누군가는 윤을 손절치는게 빠른거고 누군가는 느린거지 생각합니다.
근데 좀 너무 많이 느린것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면서도
사실 이제 겨우 임기 절반 지난 대통령인걸 감안하면 매우 빠른 손절일지도 모르겠고...
과학상자
저는 명백하게 반헌법적인 세력을 옹호하는 집단에 지지가 몰리는 이 국면이 더 헌정질서의 위기라고 생각합니다. 저 지지세가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고착된다면 정말 '공화국의 진짜 위기'가 올 것 같아요. 보수 대 진보는 옛날 얘기고 왕당파와 공화파의 대립인 셈인데, 저들도 자신들의 입으로 민주공화국의 헌정질서를 운운하고 있으니 비정상 대 정상의 대립으로 봐도 무방할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이 국면은 진짜 길어지면 안됩니다.
11
매뉴물있뉴
저는 그 비정상과 정상의 경계가 '윤석열은 스스로 걸어나와서 체포영장에 응하라'는 지점에서 갈려있다고 생각합니다. 국힘 지지자들 / 보수 패널들 / 국힘 정치인들 중에서도 상당수는 경찰/공수처의 영장강제집행에 반대하면서도 윤이 스스로 체포되어야한다는 데는 동의하는 사람이 많거든요. 이런 류의 사람들 상당수가 국힘 지지자 34%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을걸로 짐작하고있읍니다. 다만 명백하게 뚜렷한 숫자로 나오는 근거는 갤럽 조사가 나올때까지 기다려볼 생각인데...
cruithne
저 35프로는 "아무리 그래도 이재명은 안된다"가 아닐까요. 극소수를 제외하면 윤가놈 탄핵은 필연적이라는걸 다들 알고있으니 조기대선에 대한 태도가 반영되는거 아닌가 싶습니다.
1
이재명이 피선거권 박탈당하고 우원식이나 김동연 등이 차기 주자로 거론되도 똑같을 겁니다.
4
매뉴물있뉴

계엄 직후 기간에는 '아무리 그래도 이재명은 안된다'라는 생각 그 잡채 마저도 설득력을 잃었던 시기가 있었으니...
지금은 그 선까지는 돌아오는것 같기도 합니다.
고기먹고싶다
국힘이 윤석열이랑 완전히 선을 그었다면 동의가 되는 말씀이신데 지금은 동의가 좀 어렵네요 ㅠ
매뉴물있뉴
국힘 지도부에서도 최고위원중 한사람인 임이자 의원이 어제 한남동 관저를 찾았다가
어제 있었던 최고위원회의에서 항의를 받는 일도 있었습니다.
당 지도부는 지금 한남동과 자신들 사이에 선을 그으려는 생각을 갖고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것이 제대로 통제가 안되고 있는 것아닌가... 하고 저는 해석했습니다.

물론 같은 현상을 두고서도
통제가 안되고 있으니 선을 그은게 맞지 않나 vs 통제가 안되는 것인데 선을 그은게 아니지
라는 해석차이는 있을수 있읍니다만...

[단독] 한남동 찾은 임이자…여당 지도부 회의서 "우려"
... 더 보기
국힘 지도부에서도 최고위원중 한사람인 임이자 의원이 어제 한남동 관저를 찾았다가
어제 있었던 최고위원회의에서 항의를 받는 일도 있었습니다.
당 지도부는 지금 한남동과 자신들 사이에 선을 그으려는 생각을 갖고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것이 제대로 통제가 안되고 있는 것아닌가... 하고 저는 해석했습니다.

물론 같은 현상을 두고서도
통제가 안되고 있으니 선을 그은게 맞지 않나 vs 통제가 안되는 것인데 선을 그은게 아니지
라는 해석차이는 있을수 있읍니다만...

[단독] 한남동 찾은 임이자…여당 지도부 회의서 "우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937234
1
복귀라는 표현을 반복하신 데에서 알 수 있듯, 선생님께서 개념화하시는 '헌정질서'는 계엄 선포 직전, 혹은 한두 해 전의 상태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 시기는 계엄 선포를 낳은 시기입니다. 그 시기로 돌아가는 건 혼돈을 겪고 나서 다시 무질서를 배양하는 시기로 퇴보할 뿐이라고 생각해요.
구체제가 깨져야 헌정질서가 바로 서는 거죠. 구체제를 옹호하는 이들이 사라져야 가능합니다. 아직 요원한 길이죠.
8
퓨질리어
전두환, 노태우가 천수를 누리다 간 사회다 보니,
쿠데타를 일으켜도 별다른 정치적 리스크도 없고 체포도 하지 못하며 당사자들은 큰소리나 치고 그 지지자들은 기세등등하기 까지 하지요
참 좋은 나라입니다
2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0 사회비상계엄이 삼켜버린 사회적 소수자들의 목소리 2 자공진 24/12/17 1649 30
964 사회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항명·상관명예훼손 1심 무죄 선고 17 노바로마 25/01/09 1586 17
206 사회명태균과 박정혜와 소현숙 1 자공진 24/11/01 1640 17
1757 문화/예술가족주의 판타지를 넘지 못한 ‘폭싹 속았수다’ 43 삼유인생 25/03/30 2131 16
998 사회무안공항에 모인 기자들... 언론의 '조별 과제'가 시험대에 오르다 6 카르스 25/01/13 1499 16
857 사회쉼 없이 수선해 멋진 유산 물려줘야 진정한 보수 8 구밀복검 25/01/01 2019 13
517 정치573인의 정치학자 시국선언 10 물냉과비냉사이 24/12/08 1472 13
949 사회키세스 전사들과 함께한 '난방 성당' 삼유인생 25/01/07 1211 12
708 사회대법 "14년간 장애인접근권 개선 입법 안 한 정부, 배상해야" 5 카르스 24/12/19 1462 12
1470 정치극우의 물결 일으킨 더 깊은 뿌리 35 카르스 25/02/28 1582 11
1737 사회애터미, 산불피해지원에 100억 기부…역대 재난재해 성금 최고 16 danielbard 25/03/28 885 10
1155 정치검찰, '내란 혐의' 윤 대통령 구속기소…헌정사 초유 16 매뉴물있뉴 25/01/26 1871 10
840 정치군용차 막아선 김동현씨 “누구든 도와줄 거라 확신했어요” 6 노바로마 24/12/30 1527 10
642 정치탄핵안 가결까지 국회 지킨 우원식 의장···“열흘만에 퇴근합니다” 8 매뉴물있뉴 24/12/15 1578 10
786 정치세상이 킹차넷 뉴게를 중심으로 회전한다는 증거.jpg 7 매뉴물있뉴 24/12/25 1491 9
745 사회왜 이제야...법원, 16개월 만에 KBS이사장 해임 사유 "모두 부당" 6 과학상자 24/12/22 1915 9
526 정치‘내란죄’ 윤석열 탄핵 투표 불참한 국민의힘 105명 16 과학상자 24/12/08 1965 9
505 정치尹 탄핵안 투표한 與 김예지, 의원총회서 찬성 뜻 밝혔다 6 Cascade 24/12/08 1378 9
1201 사회'1등 로펌' 김앤장의 오징어게임 20 자공진 25/02/04 1801 8
1175 정치전광훈은 보수진영 사채업자. 한국 보수가 부도났다는 뜻. 11 기아트윈스 25/01/31 1467 8
1051 사회'강제 재수' 몰린 수험생 구제받았다…DGIST 입학 결정 3 the 25/01/17 1433 8
935 정치국민의힘 지지율 34.4%, 계엄 사태 이전 회복 20 매뉴물있뉴 25/01/07 1368 8
894 사회"너 T야?"가 욕이 된 시대…공감의 신화가 교실을 망친다 9 카르스 25/01/03 1631 8
1502 국제기적의 핏방울…평생 헌혈로 240만명 살린 희귀혈액 남성 별세 5 Leeka 25/03/04 769 7
1312 사회세종호텔 해고노동자 10m 구조물 올라 농성…복직 요구(종합) 1 다군 25/02/13 970 7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