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 25/07/16 06:18:07 |
Name | 메리메리 |
Subject | 전세대출도 진짜 막히나요? 전세대출 DSR 고민하는 정부[금융현미경] |
https://n.news.naver.com/mnews/hotissue/article/277/0005623016?type=series&cid=2002916 DSR을 왜 만들어 놨는지 한번 생각해 본다면 최대한 토끼굴이 생기는 경우를 막는 게 옳습니다.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왜 일어났는지, NINA, NINJA 대출 같은 상상도 못할 대출행태가 또 나타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도, 소비자금융에 있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엄격함을 준수해야 합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메리메리님의 최근 게시물
|
그리고 아마 가격자체는 잡혀도 거주비는 크게 오르지않을까생각합니다(월세 비용이 상당히 증가?)
오피스텔 월세가 70 ㅡ80만원하는데 아파트 월세가 80만원이런건 말도 안된다고 생각하거든요.
오피스텔 월세가 70 ㅡ80만원하는데 아파트 월세가 80만원이런건 말도 안된다고 생각하거든요.
오피스텔 월세는 보통 관리비 제외고, 동일 면적에서는 공용부가 훨씬 넓어서 면적이 작읍니다.
실부담은 오피스텔이 훨씬 쎕니다.
저희 집이 끝까지 오피스텔 월세는 안 알아보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저걸 다 감수할 만한 이득이 있지 않으면 무조건 최후순위.
실부담은 오피스텔이 훨씬 쎕니다.
저희 집이 끝까지 오피스텔 월세는 안 알아보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저걸 다 감수할 만한 이득이 있지 않으면 무조건 최후순위.
제 의견은 현재는 오피스텔 월세대비 아파트의 거주비가 싸다는 겁니다. 아마도 나중에 아파트의 월세가 몇십프로 오르지않을까 생각합니다.
재산세는 어떻게 보아도 집값 상승을 억누르는 요인이고, 재산세 등 비용이 세입자에게 전가될 수 있느냐는 어느 쪽이 우위냐(즉 시장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만약 매도자 우위가 강해서 세입자 전가가 가능한 경우라면 재산세로 가격 상승을 막을 수 없겠으나, 그런 경우도 오히려 더 오른다고 말하기는 힘듭니다.
월세 상승이라는 것 자체가 해당 부동산 가치가 오르는 것을 의미하는데 어떻게 집값이 유지되겠어요. 수요자 입장에서도 집값이 유지되고 월세만 올라가면 구매하는 쪽으로 움직이기 마련입니다.
반대로 비탄력적이라서 비용이 늘어도 못 올리기도 하는 겁니다. 비탄력적이란 이유로 올라가는 가격을 소비자가 당연히 수용하는 선이 있다면, 그 여력은 이미 진작부터 반영되어 있습니다. 왜냐하면 매도자는 비용과 무관하게 원래부터 가능한 최대를 받으려 하고, 매수자도 비용과 무관하게 원래부터 가능한 최소를 내려고 하니까요. 그 역학관계에서 우위가 있는 쪽이 더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을 뿐이지, 반드시는 없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