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5/07/03 06:30:18수정됨
Name   활활태워라
File #1   Screenshot_20250703_062919_Chrome.jpg (86.3 KB), Download : 4
Subject   단독] 이재명 정부 첫 노동개혁은 ‘하청 임금체불 방지법’…경영계는 반발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518594?sid=101

임금체불액이 3년 연속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여당이 하청근로자의 임금체불을 방지하는 ‘근로기준법’ 개정안을 우선 처리하기로 했다. 여야 공감대가 형성된 만큼 법안 처리에 속도를 내도 된다는 판단에서다.

임금체불을 왜 해?
돈을 주면 되잖아?



0


철의꽃무리
임금채불을 하지 말자는 주장에도 반대를 당당하게 하는 인간이 있다는게 참 대단하네요
2
레일리처럼될래요
불법 계엄도 상당히 옹호받는 세상이니 이제는 뭔들...거기에 빗대면 이해가 안 되는 게 없어졌습니다. 아 굥 가카는 내 포용력을 넓히시려고 그런 쓰레기가 됐구나...
2
바닷가의 제로스
지금 얘기되는 법안은 건설업처럼 하청업체의 임금을 원청에서 보장하도록 하려는 안인데, 현장이 구분되는 건설업과 달리 물건을 납품받는 제조업에서는 하청업체 근로자의 근무를 통제하거나 파악하기가 어려우므로 그렇게 단순한 건 아닙니다.
4
철의꽃무리
법이 없어서 생긴 문제고 충분한 법안이 마련되면 해결되겠죠 우리나라의 임금체불 규모는 어쩔 수 없다는 변명으로 넘어갈만한 규모가 아닙니다.
반성과 개혁이 필요한 자리에 변명을 채워넣으면 어떤 문제도 해결할 수 없습니다.
shadowtaki
원청에서는 하청업체에 계약대금을 다 지불했어도 하청업체에서 직원에게 임금체불하는 것을 원청이 제어할 순 없어서요..
dolmusa
이걸 제어하겠다는 거고, 건설업 등은 이미 하고 있는데 업종을 확대하겠다는 취지입니다.
1
dolmusa
현행은 근로자가 직접 구제신청을 해야 하는데, 제조업 같이 원청이 여러곳인 경우 인건비 분배를 해야 하는데 그 절차가 없습니다. 법률적 권리의 분배라서 노동부 지침으로는 부족하고, 법령으로 절차가 필요합니다.
2
바닷가의 제로스
이게 이렇게 되면 결국 원청은 하청업체에 다른 거래처 정보를 요구하게 될텐데 그게 가능할지 모르겠네요. A사 납품분량 만드느라 일한 시간을 B사에 청구한 것 아니냐 당시 거래내역 내놔라 뭐 이런 분쟁이 예상되는데.. 노동자 입장에서는 타임시트 특정업무와 소요 시간 연계기록등이 요구될 것이 예상됩니다.
dolmusa
공제나 보험 형태로 적립해 놓고 이슈 없으면 단위기간마다 하청에 내려주고 뭐 이런 방법을 고민해 볼 수 있을 수는 있겠는데.. 운용주체나 이런 걸 정의하고 하려면 정권 끝날 때까지 안될 가능성이 높지요. 원하청 구조를 건강한 방향으로 보내자고 하는 게 더 빠를 수도 있을 겁니다.
일시켰으면 돈은 줘야지..
Wage theft...
제도를 정비해도 실상이 깔끔해지지는 않더라고요. 기사 본문에도 공공 공사는 어쩌고 해뒀는데 현실은 흠... 하 진짜 그놈의 도급 극혐임ㅋㅋㅋㅋ 대체 ㅅㅂ 누가 사용자고 누가 근로자여ㅋㅋㅋㅋㅋㅋㅋ
1
그냥 하청 도급에 대해 규제를 강화해서 편한대로 굴리지 못하게 하는게 낫지 않나...
4
cruithne
저희는 5년 단위로 계약하는데 저 법안대로면 최초 계약 시점에 책정한 임금을 5년간 유지해야 된다는건가
치즈케이크
비용절감 목적으로 하청을 줬으면 더 빡세게 관리하는건 안바래도 적어도 본청과 같은 기준에서 관리해야죠.
비용도 절감하고 관리도 안하고 책임도 떠넘기고, 본청은 개꿀만 빠는데 제도적으로 손봐야 한다 봅니다.
8
일단 특정 회사 일이 대부분인 사내하청(현대ITC 같은..) 회사들은 가능할 것 같습니다.
1
하청보다 직고용을 하는게 더 이득이 되는 구조를 만드는 게 궁극적 목표가 아닐까 싶군요
하청 준다고 비용이 대단히 줄어드는 것도 아니고, 관리비용 고려하면 더 비쌀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청주는건 인력관리 때문일겁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002 경제익산 고구마 햄버거 신메뉴 출시…지역 농산물 판로 ‘청신호’ 4 + 메리메리 25/07/26 242 0
2987 경제美 연준의장 수난사...그 뒤엔 언제나 대통령이 있었다 2 맥주만땅 25/07/25 426 0
2954 경제“사업 못 하겠다”... 캘리포니아 토종 버거 인앤아웃, 창립 77년 만에 캘리포니아 떠나는 이유 10 맥주만땅 25/07/22 1030 0
2953 경제‘몸값 8000억’ 준오헤어, 부동산 자산 ‘주목’ 6 Leeka 25/07/22 804 1
2929 경제 "법 개정 없이도 보유세 올린다?"…공시가 현실화율 향배는 9 다군 25/07/20 791 0
2912 경제신용카드업계, '카드사 소비쿠폰 이벤트'…총당첨금 25억원 1 다군 25/07/18 685 0
2890 경제세계는 원전 회귀 중? “말로만 ‘원전’ 실제론 ‘재생에너지’ 중” 8 오호라 25/07/17 814 0
2876 경제전세대출도 진짜 막히나요? 전세대출 DSR 고민하는 정부[금융현미경] 28 메리메리 25/07/16 1537 0
2867 경제이마트, 8년 만에 영업익 5000억원 돌파 전망 16 Leeka 25/07/15 1119 0
2861 경제유럽처럼 '히트펌프' 보급 속도 내나…"실정 안 맞아" 지적도 12 다군 25/07/15 826 0
2853 경제빵플레이션 원인은 설탕 우유 계란 독과점 26 기아트윈스 25/07/14 1142 1
2850 경제압구정에 뜬 럭셔리 극치 '마이바흐'…세계 첫 센터 연 사연은? 2 맥주만땅 25/07/14 759 0
2843 경제[자막뉴스] "내 계좌에 갑자기 낯선 돈이?"…'통장 묶기' 신종 사기 기승 2 메리메리 25/07/14 878 0
2835 경제1조 털어 넣었는데…"코스피 진짜 잘 나가네" 곱버스 승객 '눈물' 22 기아트윈스 25/07/11 1665 0
2825 경제“삼성전자 빼고 주세요”…국장 몰려간 투자자들 ‘삼전 뺀 ETF’에 반했다 2 swear 25/07/11 888 0
2824 경제내년 최저임금 2.9% 오른 시간당 1만320원…17년만 합의로 결정 4 dolmusa 25/07/11 711 0
2792 경제"만드는 대로 다 팔린다"…삼양식품 143만원 넘어 또 신고가 11 Groot 25/07/08 1075 0
2790 경제재무장관은 눈물 흘리면 안되는 이유 1 맥주만땅 25/07/08 937 0
2779 경제1주택자 전세대출 금지 검토 21 the 25/07/08 1464 0
2770 경제누적 부산 방문 외국인 관광객 100만 명 돌파… 역대 최단기간 4 TEN 25/07/07 786 0
2759 경제K아이스크림 상반기 수출액 ‘최대’ 5 메리메리 25/07/06 810 0
2758 경제작년 폐업자 사상 첫 100만명...소매업·음식점이 절반 3 메리메리 25/07/06 849 0
2750 경제주식 사고, 기사 쓰고, 주식 팔고…기자 20여 명 수사 4 swear 25/07/04 1099 3
2743 경제SNS서 멋진 이성이 호감 표시?…금감원 "100% 사기” 3 swear 25/07/04 720 0
2731 경제139년 역사 ‘델몬트 푸드’ 파산…“팬데믹때 통조림 생각보다 안팔려” 8 dolmusa 25/07/03 900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