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 25/06/25 09:55:32 |
Name | 과학상자 |
File #1 | 스크린샷_25_6_2025_94435_www.fnnews.com.jpeg (109.9 KB), Download : 2 |
Subject | 재판·수사·상담도 AI 접목…법조계는 민·관 모두 AI돌풍 |
https://www.fnnews.com/news/202406051316529353 ///법률 분야에서의 인공지능(AI) 활용도가 주목받으며 민간업체는 물론 사법부와 검찰 등 수사기관도 속속 AI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방대한 문서를 다루는 분야인 만큼, AI가 접목될 경우 생산성이 많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20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법원행정처가 공개한 ‘2024년 사법부 정보화 사업 계획’에서 재판업무 지원을 위한 AI모델 개발 사업에 약 3억2000만원을 배정했다. 법원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AI모델을 개발해 재판 업무를 효율적으로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또 양형기준 운영점검 시스템 및 양형정보 시스템의 고도화를 위한 AI시스템 구축을 위한 예산으로도 약 3억9400만원을 배정했다. AI를 접목해 양형정보를 관리하고 및 빅데이터 통계분석 등 효율성을 도모한다는 취지다. 검찰에서도 차세대 형사사법정보시스템(KICS) 도입과 함께 AI 기술을 사건처리에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대검찰청은 지난해 8월 생성형 AI의 검찰 사건처리업무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용역 입찰을 진행했다. 해당 연구를 수행한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제출한 최종보고서를 보면 검찰 실무자들은 수사 보고 내역이나, 기소 내역, 유사 판결례 내역 등을 찾을 때 현행 키워드 검색 방식의 한계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대한 데이터 속에서 키워드 기반으로 필요한 정보를 얻기 어렵다는 것이다./// 법조계는 방대한 양의 문서를 다루는 분야인 만큼 LLM 기반의 AI가 사용되기에 최적인 것 같아 보입니다. 판결문의 데이터베이스가 공개되어 AI를 통해 유사한 판례가 손쉽게 검색되고 쟁점도 알기 쉽게 정리를 해주면 법조인들이 일을 하기에도 편해지겠지만, 일반인들의 도전(?)에도 좀 취약해지지 않을까 싶은 생각도 듭니다. AI가 법적 안정성이라던가, 전문가 집단의 권위에 어떤 영향을 줄지 궁금하군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과학상자님의 최근 게시물
|
게으른 어쏘보다 AI가 훨씬 낫다는 얘기는 많이 들려옵니당
결과물 꽤 쓸만한데, 할루시네이션 엄청 많습니다.
아마도 법률문서라는게 판결은 공개되어도 그 이전 서면은 공개되지 않고
개인정보가 많이 들어있어서 데이터베이스로 편입시키기가 좀 위험성이 있습니다.
솔까말 미친척 편입시켜버려도 들키기는 어려울 것 같긴 합니다...만
또 모르죠 예전 이루다였나 그것처럼 민감정보를 막 풀어낸 결과물을 사용자들에게 던져줄지도
근데 그보다 할루시네이션이 심하고 그걸 알아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원래도 이 주장 저 주장 양쪽에서 ... 더 보기
결과물 꽤 쓸만한데, 할루시네이션 엄청 많습니다.
아마도 법률문서라는게 판결은 공개되어도 그 이전 서면은 공개되지 않고
개인정보가 많이 들어있어서 데이터베이스로 편입시키기가 좀 위험성이 있습니다.
솔까말 미친척 편입시켜버려도 들키기는 어려울 것 같긴 합니다...만
또 모르죠 예전 이루다였나 그것처럼 민감정보를 막 풀어낸 결과물을 사용자들에게 던져줄지도
근데 그보다 할루시네이션이 심하고 그걸 알아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원래도 이 주장 저 주장 양쪽에서 ... 더 보기
게으른 어쏘보다 AI가 훨씬 낫다는 얘기는 많이 들려옵니당
결과물 꽤 쓸만한데, 할루시네이션 엄청 많습니다.
아마도 법률문서라는게 판결은 공개되어도 그 이전 서면은 공개되지 않고
개인정보가 많이 들어있어서 데이터베이스로 편입시키기가 좀 위험성이 있습니다.
솔까말 미친척 편입시켜버려도 들키기는 어려울 것 같긴 합니다...만
또 모르죠 예전 이루다였나 그것처럼 민감정보를 막 풀어낸 결과물을 사용자들에게 던져줄지도
근데 그보다 할루시네이션이 심하고 그걸 알아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원래도 이 주장 저 주장 양쪽에서 그럴듯하게 써내는 분야다보니 재료가 많아서
없는 판례 없는 법 반대되는 결론 꽤나 그럴듯하게 적어서 내놓아서 정신 똑바로 안차리면
그른가? 그랬었나? 할 수 있습니다 ㅋㅋ
이길 수는 없는 사건인데(우리편이 억지를 쓰는 상황일 때)
뭐라도 그럴듯해 보이게 써내야 할때에는 아주 좋습니다.
사실 지금 AI 글짓기의 최대효용도 이런 '사실이나 실제 결론과는 관계없는 영역'아닌가 싶고요.
그런 의미에서 AI글짓기는 이성보다 오히려 감정을 먼저 정복했다..는 감상이 듭니다.
결과물 꽤 쓸만한데, 할루시네이션 엄청 많습니다.
아마도 법률문서라는게 판결은 공개되어도 그 이전 서면은 공개되지 않고
개인정보가 많이 들어있어서 데이터베이스로 편입시키기가 좀 위험성이 있습니다.
솔까말 미친척 편입시켜버려도 들키기는 어려울 것 같긴 합니다...만
또 모르죠 예전 이루다였나 그것처럼 민감정보를 막 풀어낸 결과물을 사용자들에게 던져줄지도
근데 그보다 할루시네이션이 심하고 그걸 알아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원래도 이 주장 저 주장 양쪽에서 그럴듯하게 써내는 분야다보니 재료가 많아서
없는 판례 없는 법 반대되는 결론 꽤나 그럴듯하게 적어서 내놓아서 정신 똑바로 안차리면
그른가? 그랬었나? 할 수 있습니다 ㅋㅋ
이길 수는 없는 사건인데(우리편이 억지를 쓰는 상황일 때)
뭐라도 그럴듯해 보이게 써내야 할때에는 아주 좋습니다.
사실 지금 AI 글짓기의 최대효용도 이런 '사실이나 실제 결론과는 관계없는 영역'아닌가 싶고요.
그런 의미에서 AI글짓기는 이성보다 오히려 감정을 먼저 정복했다..는 감상이 듭니다.
AI에서 도메인 지식이 강조되는 이유도
그냥 써보면 도메인 지식 없으면 이거 쓰면 안 되겠구나 생각이 들게 됩니다 ㅋㅋ
결국 최종 결론과 판단은 인간이 해야하기때문에 (특히 법조계에선) 인간은 공부해야 합니다
그냥 써보면 도메인 지식 없으면 이거 쓰면 안 되겠구나 생각이 들게 됩니다 ㅋㅋ
결국 최종 결론과 판단은 인간이 해야하기때문에 (특히 법조계에선) 인간은 공부해야 합니다
개인적인 느낌은 "어설프게 알고 말은 진짜 잘하고 진상은 아닌 의뢰인" 같은 느낌입니다.
틀린 거를 되게 당연하다는 듯이 쓰고 있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고, 수정해주면 또 금방 받아들이는 건 있고..
이게 문제는 진상 의뢰인과 합쳐져서 "인터넷에서 보고 왔는데" 개소리를 강화하는 도구로 쓰일 것이라는 것.. 아 혈압올라
틀린 거를 되게 당연하다는 듯이 쓰고 있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고, 수정해주면 또 금방 받아들이는 건 있고..
이게 문제는 진상 의뢰인과 합쳐져서 "인터넷에서 보고 왔는데" 개소리를 강화하는 도구로 쓰일 것이라는 것.. 아 혈압올라
아 돌무사님 말씀 그대로 이해했읍니다만... 제 경우를 떠올려보니 그럴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저도 제 영역에서 그런 의뢰인들이 있는데 좀 고까운 느낌도 들고 그랬고 다른 분들도 실제로 그렇게 여기는 분위기가 분명히 있읍니다. AI가 더 발전하면 그런 의뢰인들의 도전이 더 의미있게 다가올 것이라서... 사실 본문에 쓴 일반인들의 도전이라는 게 그거거든요. 일반인들이 전문가 역할할 수 있다는 얘기가 아니라...
킹치만 AI는 저 대신 의뢰인들의 전화를 받아 주지도 않고 재판 가서 판사님께 혼나 주지도 않고 회식 장소도 똑바로 추천을 못 해 주니까(아 어디로 하지) 현재까지는 제 인생에 큰 도움이 못 되고 있습니다. 다만 제로스님 말씀대로 '우리 편이 억지를 쓰는 상황인데 일단 뭐라도 있어 보이게 쥐어짜내야 할 때' 아이디어 제공 및 윤문 용도로는 쓸만합니다...
업무용으로 비싼 AI 가장 많이 쓰는 사람 중 하나인데...
사람 손으로 검수를 안 할 수가 없습니다. 틀려서가 아니라 AI 특성상 "연관도" 때문에 특정 단어 습관이 너무 반복되거나 뭐 하지 말라고 하면 오히려 거기에 대해 지나치게 집착하거나 등등등 아직은 되게 손빠르고 영리한데 윗분들 테이스트는 잘 못 맞추는 대리 수준이라...
게다가 프로젝트 초반 처럼 데이터 양이 극히 적은 상황에서는 프롬프팅을 정말 잘 해야 쓸만한 결과가 나옵니다.
그나마 O3 프로 정도는 샘 알트만 아저씨 말마따나 "나쁘지 않은" 수준이긴 합... 더 보기
사람 손으로 검수를 안 할 수가 없습니다. 틀려서가 아니라 AI 특성상 "연관도" 때문에 특정 단어 습관이 너무 반복되거나 뭐 하지 말라고 하면 오히려 거기에 대해 지나치게 집착하거나 등등등 아직은 되게 손빠르고 영리한데 윗분들 테이스트는 잘 못 맞추는 대리 수준이라...
게다가 프로젝트 초반 처럼 데이터 양이 극히 적은 상황에서는 프롬프팅을 정말 잘 해야 쓸만한 결과가 나옵니다.
그나마 O3 프로 정도는 샘 알트만 아저씨 말마따나 "나쁘지 않은" 수준이긴 합... 더 보기
업무용으로 비싼 AI 가장 많이 쓰는 사람 중 하나인데...
사람 손으로 검수를 안 할 수가 없습니다. 틀려서가 아니라 AI 특성상 "연관도" 때문에 특정 단어 습관이 너무 반복되거나 뭐 하지 말라고 하면 오히려 거기에 대해 지나치게 집착하거나 등등등 아직은 되게 손빠르고 영리한데 윗분들 테이스트는 잘 못 맞추는 대리 수준이라...
게다가 프로젝트 초반 처럼 데이터 양이 극히 적은 상황에서는 프롬프팅을 정말 잘 해야 쓸만한 결과가 나옵니다.
그나마 O3 프로 정도는 샘 알트만 아저씨 말마따나 "나쁘지 않은" 수준이긴 합니다.
& 결국 업무 수주를 해서 처리할 사람이 있어야 고객사 대응이 되는거라 사람 손을 안 타고 AI돌린거만 던지면 일이 망합니다.
결국은 AI를 돌려도 인간을 상대하는 일이라 인간이 인터페이스로 껴있어야 되기는 합니다.
사람 손으로 검수를 안 할 수가 없습니다. 틀려서가 아니라 AI 특성상 "연관도" 때문에 특정 단어 습관이 너무 반복되거나 뭐 하지 말라고 하면 오히려 거기에 대해 지나치게 집착하거나 등등등 아직은 되게 손빠르고 영리한데 윗분들 테이스트는 잘 못 맞추는 대리 수준이라...
게다가 프로젝트 초반 처럼 데이터 양이 극히 적은 상황에서는 프롬프팅을 정말 잘 해야 쓸만한 결과가 나옵니다.
그나마 O3 프로 정도는 샘 알트만 아저씨 말마따나 "나쁘지 않은" 수준이긴 합니다.
& 결국 업무 수주를 해서 처리할 사람이 있어야 고객사 대응이 되는거라 사람 손을 안 타고 AI돌린거만 던지면 일이 망합니다.
결국은 AI를 돌려도 인간을 상대하는 일이라 인간이 인터페이스로 껴있어야 되기는 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