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5/02/24 21:37:46
Name   카르스
Subject   연금 소득대체율 44% 안팎·자동조정장치 줄다리기…여야 접점 찾을까
(서울=연합뉴스) 최평천 계승현 안정훈 기자 =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국민연금 개혁안을 두고 여야가 팽팽한 신경전을 이어가는 가운데, 핵심 쟁점인 소득대체율 및 자동조정장치 도입안을 두고 협상이 진전될지 주목된다.

정부와 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은 24일 오전 비공개 실무급 회의를 열고 연금개혁 논의했으나 여전히 소득대체율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참석자는 여야 정책위의장인 국민의힘 김상훈·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의원, 민주당 소속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 복지위 양당 간사인 국민의힘 김미애·민주당 강선우 의원,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등 6명이다.

지난 21일 여·야·정 대표가 모인 국정협의회 '4자 회담'에서 연금개혁이 포괄적으로 논의된 이후 첫 실무급 회동이다.

여야는 보험료율을 13%로 올리는 것에는 공감대를 이뤘지만, 소득대체율을 두고는 43∼45% 선에서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

국민의힘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소득대체율 43∼44%를 두고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국민의힘은 소득대체율 42∼43%를 주장했지만, 야당이 요구하는 44% 선까지 수용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다.

반면 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이날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적어도 소득대체율은 44∼45% 수준으로 결정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2월 국회 중에 처리하는 게 좋겠다"고 말했다.

이처럼 일부 이견이 좁혀진 상황에서 '자동조정장치'를 연결고리로 접점을 만들어낼 수도 있으리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여당이 소득대체율 44%를 수용하는 대신, 야당은 정부·여당이 주장해 온 자동조정장치' 도입을 받아들이는 식으로 맞교환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자동조정장치를 바라보는 양측의 시각은 다소 엇갈리고 있다.

국민의힘은 양당이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하기로 여야 간 의견이 모아졌고, 이후 추가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고 주장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정부도 자동조정장치가 도입된다면 소득대체율을 유연하게 협의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며 "민주당은 자동조정장치에 대한 당내 의견, 우리는 44%에 대한 당내 의견을 수렴하고 다시 여야 간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자동조정장치 도입에 합의가 된 것이 아니라고 선을 긋고 있다.

이날 일부 언론은 민주당과 이 대표가 국정협의회 당시에는 자동조정장치에 합의를 하고는 부정적 입장으로 선회했다면서 '말 바꾸기'를 했다는 지적도 내놨다.

그러나 민주당은 언론 공지를 통해 "국정협의회에서 자동조정장치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 결론이 없는 만큼 백지상태에서 논의하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애초 합의한 적이 없다는 해명을 내놓은 셈이다.

진 정책위의장도 기자간담회에서 "신중히 논의해야 한다"며 자동조정장치 도입에 공감대가 이뤄진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대신 민주당 진 정책위의장은 "정부의 국회 승인 조건부 자동조정장치 도입안은 진전된 제안"이라고 평가하고, 국민의힘 김 정책위의장도 "국회 승인 절차가 삽입되면 '수동조정장치가 되지 않겠나'라는 생각이 들지만, 자동조정장치에 대한 민주당의 부정적인 입장을 고려하면 소득대체율과 함께 유연하게 논의할 수 있다"고 말하는 등 조금씩 의견을 접근시키는 모습도 감지되고 있다.

이처럼 여야가 주요 쟁점에 관해 이견을 좁히려는 시도를 이어가고 있는 만큼, 정치권에서는 야당이 27일 본회의에서 연금개혁을 단독 처리하지 않을 가능성이 점쳐진다.

물론 민주당은 '27일 처리' 카드를 공언하며 압박하기는 했지만, 당내에서는 충분히 협의가 가능한 상황에서 단독으로 표결하는 것은 부담이 된다는 신중론도 제기되고 있다.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50224048252001
========================================================================
할 말은 많지만, 일단은 어떻게 처리될지부터 궁금해지는 상황입니다.
어떤 결론이 나와도 놀랍지 않은 상황이라.



0


허락해주세요
생각보다 상식적인 국회 모양새군요
누구만 아니었으면 알아서 잘 할 것을 ㅉ
3
자동조정장치 디테일이 중요할거 같은데.. 저거 그대로 들어가면 청년만 바보되는거 아입니까
1
파로돈탁스
기금고갈, 미래세대 부담 문제에 대해 제대로 고민을 좀 했으면 좋겠어요. 미래에 세금낼 사람이 없읍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146 국제中, 내수촉진 총력…15일 지준율 0.5%p↓·내일 금리 0.1%p↓(종합) 2 다군 25/05/07 663 0
2111 의료/건강일부러 독사에 200번 이상 물리더니...만독불침 1 기아트윈스 25/05/04 666 2
2201 정치김문수-한덕수 회동…金 선대위원장 제안에 韓 "논의하겠다" 5 활활태워라 25/05/11 669 0
1925 IT/컴퓨터구글, 동영상 생성 AI '비오2' 출시…"8초짜리 영상 생성" 다군 25/04/16 672 0
2283 사회SPC삼립 시흥 제빵공장서 50대 근로자 사망…윤활 작업중 사고(종합) 12 다군 25/05/19 672 0
2210 정치새벽 기습 후보교체 뒤, 당심 돌변했다…분란 남긴 국힘 23시간 7 Picard 25/05/12 674 2
2143 국제'테러갈등 핵보유국' 인도·파키스탄, 미사일 공격 주고받아(종합) 1 다군 25/05/07 676 0
2192 스포츠NC, 예정대로 문수구장 이용한다…"팬 혼란 방지·울산시에 대한 도리" 4 활활태워라 25/05/10 679 1
2326 정치개신교계 “이재명 후보 미안합니다” 1500자 입장문…서명 시작 5 Overthemind 25/05/22 682 0
2144 국제美 "금주 스위스서 中과 무역·경제 논의…생산적 대화 기대" 7 다군 25/05/07 690 0
2260 사회'동탄 납치살인' 피해자 호소에 손놓은 경찰, 죽음 막지 못했다 5 swear 25/05/16 691 0
2147 정치대선에 ‘페이커’ 끌어들이기?…김문수, 사진 무단 도용 논란 9 The xian 25/05/07 692 0
2291 사회시흥 흉기사건 용의자 중국동포 차철남 긴급체포…범행 시인(종합) 6 매뉴물있뉴 25/05/19 694 1
2151 정치이낙연, 김문수 주도 원샷경선 참여는 없다…빅텐트 상대는 한덕수 4 the hive 25/05/07 699 0
2240 정치국방과학연구소 "평양 추락 무인기, 우리 무인기와 '매우 유사' 결론" 4 Overthemind 25/05/14 700 0
2177 경제유상임 "SKT 위약금 면제, 민관합동조사 결과 봐야 판단 가능" 7 swear 25/05/09 702 0
2299 스포츠여전히 '갑'인 줄 아는 창원시의 착각, 문제는 안전점검이 아니야 7 The xian 25/05/20 702 0
2048 사회횡령·배임 등 금융사고액 6년여간 8천423억…"작년 역대 최고"(종합) 4 다군 25/04/28 707 0
2228 정치‘내란수괴’ 고발된 헌법재판관들… 정치 이벤트 전후, 도 넘는 사법부 흔들기 3 어제내린비 25/05/13 717 0
2197 정치김문수 대선후보' 복귀에 권성동 체제 재편…사무총장 인선 박차 1 활활태워라 25/05/11 718 0
2278 정치윤석열 국힘 탈당. 7 조홍 25/05/18 725 1
2206 의료/건강DGIST 연구팀 "강박장애 반복 행동, 뇌 염증이 원인" 3 다군 25/05/12 729 0
2235 경제한미 당국, 지난 5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환율 협의 11 the 25/05/14 732 0
2114 경제'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 은퇴 선언…트럼프 관세 비판 2 danielbard 25/05/04 733 0
2332 사회한밤중에 전동킥보드 타던 경찰관, 연석에 걸려 넘어져 숨져 10 + 다군 25/05/23 736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