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4/09/06 17:04:49수정됨
Name   먹이
Subject   용산 "2천명 증원 고집은 가짜뉴스...2026년 의대증원 조정가능"



0


dolmusa
줜부 궈짓말
cheerful
정도껏 해라 ㅅㄲ들아!!.....
ORIFixation
아.... 진짜 갑자기 훅 빡치네요
인생이 가짜겠지..
2
고기먹고싶다
ㅋㅋㅋㅋㅋㅋㅋ
윤석열 : 네 이놈 윤석열 너가 가짜뉴스 배포자구나!
1
하마소
사회 구성 요소 전반의 신뢰를 분쇄하는 게 일종의 획책이라면, 그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게 본인들이 될 거라는 걸 생각 못하는건가...
Overthemind
이제 와서 한다는 소리가 참..
만약에 2026년에 의대 증원 롤백하면, 2025년에 자녀를 의대 입학시키고 싶었던 VIP쪽 인사가 있다고 봐야 합니다.
11
솔직히 그런게 있다고 생각하진않는데, 만약 있다하면 보건복지부에 있다고 보는게 더 타당할거같아요
cruithne
설마 석사장교...
정부도 가짜정부가 아닐까?
1
메존일각
유체이탈화법이 이런 거구나...
허윤진남편
고집뜻을 모르는 지능인거죠
맥주만땅
2025년 부터 조정해 주지 않을래?
매뉴물있뉴
애초에 2026년 조정가능하다는 말 자체가 거짓말일 가능성이 높.......
1
닭장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국민을 바보로 보나 에서 얘들 바보인가? 로 바뀌었습니다
퓨질리어(퓨질리어)
올해 초에도 이런 소리 했던 걸로 기억하는뎁쇼
whenyouinRome...

딱 이짤이 어울림
귤잠수함잠수중수정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자기들도 가짜뉴스라고 믿고싶나봅니다...
저 발표에는 격노 안하시나...?
아니 끝까지 밀어붙이기라도 하면 깡이라도 인정해줄텐데 얘들은 진짜 뭐하자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정부 인원들이 다 같이 만취상태인 것 같네요.
정중아
대병, 상종들은 그럼 그 가짜뉴스 하나때문에 매일 몇억씩 손실내가며 손실 액수를 쌓아가고있습니까? 진짜 뭔 개소린지 모르겠네요. 지금 저희 기관은 누적 적자가 몇천억이 넘어가고있는데 한다는 소리가 고집한다는게 가짜뉴스?

하ㅋㅋㅋ의사가 아닌 병원 근무자 입장에서 처음 의대 정원한다 했을때 찬성의견이긴 했는데, 이딴식으로 막장일줄은 몰랐습니다. 찬성한다고 처음에 말했던 제 입이 부끄러워지네요.
(정치 탭으로 바꾸었습니다)
소리장도
여기분들 궁금한게 정부에서 2천명 말고 '합리적으로' 500명이하 제안했어도 의협이 받았을거라 보시나요? (왜 500명이 2000명보다 더 합리적이라는지도 공감안가지만)

의협의 지금까지 행보를 보면 저는 전혀 아니라고 보거든요. 한 200명 제안했어도 총파업했을거라고 생각하네요. 근거로는 문재인때도 정부에서 의대정원 확대추진했을때 이것보다 훨씬 순한맛이었는데도 의료계가 총파업도 불사하지 않았나요? 그때당시 홍차넷 반응 찾아 보고있는데 지금이랑 사뭇 다른게 재미있네요.
그냥 넘어가려다가 글 가져온 입장에서 답을 드리는데 말씀하신 부분은 홍차넷에서 ㄹㅇ 여러 번 나온 주제이므로 반복하고 싶지는 않읍니다. 예를 들어 첫 질문이신 의협이 받고 안받고는 전혀 중요한 게 아니지요. 이걸 댓글로 처음부터 하나하나 다시 짚어보는 건 이 기사의 의도와도 맞지 않고 지금 시점엔 큰 의미도 없고...
다만 말씀 중 사실관계만 바로잡자면 2020년도나 지금이나 '총파업'은 없읍니다. 의료기관 파업 참여율은 아주 잘 쳐줘도 20%대를 넘어선 적이 없읍니다. 이건 위에 언급드린 의료계 내 의협의 역할과도 연관되어 있기도 합니다
2
소리장도
의협이라고 하지 않고 의사들 중 행동력있고 집단화되어 대표성을 보여주는 부류라고 정정하면 될까요? 딱히 타협의 여지를 보여준적도 없고 여론 신경쓴적도 없는건 의협이랑 마찬가진 것 같습니다.

요는 지금의 사태가 일방적으로 정부의 불통탓이라는 글과 댓글 분위기에 도저히 공감을 할수가 없다는 거지요. 4년전에 일년에 2000명이 아니라 일년에 400명 증원하겠다고 할때도 무슨일이 있었는지 국민들이 다들 기억할텐데 그냥 정부나 의사나 자강두천으로 보일뿐이지요.
1
링크드린 기사 어디에도 일방적이라는 이야기는 없고 다른 회원님들 댓글도 마찬가지입니다

나머지 말씀은 위에서도 언급한 대로 수십번 나왔던 이야기 또 하고 싶진 않으니 패스하겠읍니다. 예를 들어 의료계 내에 행동력/집단화/대표성 셋 모두를 보여주는 부류는 2020년이나 지금이나 존재한 적이 없읍니다. 업계가 사분오열되어 이전투구나 일삼고 정부와 각개전투 하고 있는 점 여러 번 지적되었고 기사도 많이 나왔었어요
1
듣보잡
현정부가 고트급 노답이라 그렇지 이 사안 자체는 저도 자강두천으로 보고 있읍니다
Bluedoc
몇명이든 과정이 문제가 아닐까요? 말씀하신대로 의료계 당사자들이 수긍할 만한 "합리적으로" 근거와 충분한 협의 과정을 통해 제안했다면 뭐...
계속 언급되는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지도 않고, 당사자들과 충분한 협의와 사전 교감 없이 당장 내년부터 늘리겠다고 하면 400명이든 2천명이든 동일한 반응일 겁니다.
흥미로운 점은 박민수 차관이 당시에도 관련이 있었는데 이시람의 증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박 차관은 26일 오후 보건복지위원회가 진행한 '의료계 비상 상황 청문회'에서 여당인 국민의힘 안상훈 의원이 문재인 정부 시절 ... 더 보기
몇명이든 과정이 문제가 아닐까요? 말씀하신대로 의료계 당사자들이 수긍할 만한 "합리적으로" 근거와 충분한 협의 과정을 통해 제안했다면 뭐...
계속 언급되는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지도 않고, 당사자들과 충분한 협의와 사전 교감 없이 당장 내년부터 늘리겠다고 하면 400명이든 2천명이든 동일한 반응일 겁니다.
흥미로운 점은 박민수 차관이 당시에도 관련이 있었는데 이시람의 증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박 차관은 26일 오후 보건복지위원회가 진행한 '의료계 비상 상황 청문회'에서 여당인 국민의힘 안상훈 의원이 문재인 정부 시절 의대 정원 400명 증원을 추진한 근거를 묻는 질의에 “증원 규모를 정할 때 과학적 근거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 협의체를 통한 논의과정도 없었다”고 답했다. 박 차관은 당시 복지부 기획조정실장이었다.>
국내외 의료 편의성의 비교는 전혀 없이 OECD기준 의사수기 적은게 문제라것이 정부의 주장인데, 실제 대한민국 의료체계에 문제가 있다면 의사수를 늘리면 되는 문제인지, 아니면 다른 구조의 문제를 개선해야 하는 것인지, 만약 의사수를 늘려야 한다면 몇 명을 늘리는게 미래 상황을 고려해서 합리적인지 이런 얘기가 충분한 기간동안 이루어지고, 회의도 하고 기록이라도 남겨야 받아들일 겁니다.
전정부 400명이나 지금 2천명이나 이런 측면에서는 동일한 문제입니다.
저수가가 근본적인 문제이긴 해도 교정해야 할 다른 부분도 많습니다. 예를 들면 의대 졸업후 바로 환자를 못보게 한다고 갑자기 법을 만들겠다는 것은 부분적으로 동의하긴 합니다. 물론 이 발표는 전공의가 없는 것을 막아보려는 땜질식 처방인게 너무나 뻔하지만 (지금 모든게 이런식입니다. 유급도 유예하겠다. 전문의 시험도 보게 해주겠다 뭐 이런), 아예 환자들 못보게 하는게 아닌 (못보게 하면 군의관 공보의들 중 상당수가 없어집니다.) 수련의 정도에 따른 가능한 진료 범위와 합리적 보상체계를 손봐야 할 필요는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 의사의 행위에 대한 법은 일제시대에 만들어 놓은게 그대로입니다. 의사면허만 있으면 결과가 어떻든 모든 걸 다할 수 있어요. 오늘 의대 졸업하고 아무 수련이 없어도 당장 내일부터 내시경 사서 막 할 수 있고, 소화기내과 교수가 개업해서 하는 내시경과 수가가 동일한 황당한 법입니다. 전문의가 아니더라도 진료과목 피부과 이런걸 써 놓을 수 있구요. 저희 때와 달리 요즘 학생들은 이런 구조를 잘 알고 힘들게 수련 받느니 빨리 개업하는게 낫다는 판단을 하는 셈이죠. 이런 근본적 불합리성을 없애 체계를 정상화시켜야 하는데 이 과정에는 매우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겁니다. 그런데 다 무시하고 당장 2천명 늘리면 된다고 밀어붙인 것은 너무 어처구니없는 일이고 현장을 전혀 모르는 사람의 생각이란게 분명합니다.
게다가 당시 학생들이었던 지금의 전공의들이 휴학을 하고, 전공의들도 파업을 했다가 의협회장 최대집한테 뒷통수를 맞은 트라우마가 있어서...
다 떠나 학생들이 돌아오기에는 물리적으로 너무 늦었어요, 뭘 배워야 다음학년으로 진학을 하는데 지금 돌아와도 불가능합니다. 내년은 정말 걱정입니다. T.T
윗댓글로 대답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뭐 지금 정원이 20년 넘게 유지되고 있는게 합리적인 근거가 있어서 유지돼온게 아니잖아요. 그동안 파업하면 정부가 항상 굴복했으니까 20년동안 유지된거죠. 의료계 당사자들은 증원 관련해서 뭘 제시해도 밥그릇에 생채기 나는것조차 안받아들일것이라는 인상을 대중에게 너무 많이 보여줘왔다고 생각하네요. 지금의 정치인들이 그걸 이용하는 것일수도 있겠죠.
네 이번 사태의 가장 안타까운 점은 정부가 국가의 의료체계에 대한 내용을 가지고 의사를 상대로 정치를 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알수 없는 2천명 증원 위해 "우리편"인 국민들이 이미 밥 그릇 챙기는 집단으로 미워하고 있는 의사들을 6개월만 버티면 이길 수 있는 "적"으로 상정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나쁜 이미지를 강화시켜왔고, 의협(대표단체의 능력이 있는지 의심스러운)을 비롯한 의료계도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했죠. 결과적으로 부정적 인식이 더 공고히 되어 국민과 의사 사이에 간극이 더 멀어졌는데 이것은 의료현장에서 의사와 환자 모두를 ... 더 보기
네 이번 사태의 가장 안타까운 점은 정부가 국가의 의료체계에 대한 내용을 가지고 의사를 상대로 정치를 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알수 없는 2천명 증원 위해 "우리편"인 국민들이 이미 밥 그릇 챙기는 집단으로 미워하고 있는 의사들을 6개월만 버티면 이길 수 있는 "적"으로 상정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나쁜 이미지를 강화시켜왔고, 의협(대표단체의 능력이 있는지 의심스러운)을 비롯한 의료계도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했죠. 결과적으로 부정적 인식이 더 공고히 되어 국민과 의사 사이에 간극이 더 멀어졌는데 이것은 의료현장에서 의사와 환자 모두를 점점더 힘들게 합니다. 가끔 진료보시러 왔다가 이 문제로 저에게 화내는 환자들에게 어찌 할 바를 모르겠습니다.
저를 비롯한 많은 동료의사들이 우울증에 빠져 있지만 의료인이 되어야 할 학생이나 전문의가 되어 활동해야 할 전공의들의 상처가 크다는게 미래를 더 암울하게 합니다.
저는 이 사안이 의협에 대한 설득보다
대국민 설득이 중요하다 보는데요.

방식과 논리면에서 완벽하게 정부가 국민 설득을 못했다 봅니다. 이런 건에서 국민이 의사 편 드는 경우는 정말 적은데, 상황이 이렇게 된거 자체가 설득을 못했다는 증거 같거든요.

- 방식 : 굳이 그렇게 당장 급하게 올해부터 바뀌어야 하나? 점진적 상승도 아니고?
- 논리 : 왜 2,000명이 합당한지에 대한 논리를 찾을 수 없음. 오히려 천공이 더 많이 언급됨.

만약 정부가 방식과 논리를 갖춰서(합당한 논리가 있다면)
의대 증원을 밀어붙였다... 더 보기
저는 이 사안이 의협에 대한 설득보다
대국민 설득이 중요하다 보는데요.

방식과 논리면에서 완벽하게 정부가 국민 설득을 못했다 봅니다. 이런 건에서 국민이 의사 편 드는 경우는 정말 적은데, 상황이 이렇게 된거 자체가 설득을 못했다는 증거 같거든요.

- 방식 : 굳이 그렇게 당장 급하게 올해부터 바뀌어야 하나? 점진적 상승도 아니고?
- 논리 : 왜 2,000명이 합당한지에 대한 논리를 찾을 수 없음. 오히려 천공이 더 많이 언급됨.

만약 정부가 방식과 논리를 갖춰서(합당한 논리가 있다면)
의대 증원을 밀어붙였다면 의협은 못 설득 시켜도
국민 여론은 사뭇 달랐을 겁니다.

야당 지지자 축빠들의 유인촌에 대한 스탠스를 보세요.
충분히 설득력있다면 다른 편이라도 지지해줍니다.
쓰고 보니 윗댓글과 같은 맥락인 ;;;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1507

바로 이틀전 갤럽 여론조사인데 국민이 의사편을 들고있는게 맞나요?

의대정원 확대 잘된일 56% 잘못된일 34%
의대정원 관련해 정부를 더 신뢰 38% 의사를 더 신뢰 36%

윤석열이 임기내 대부분 바보짓만 하느라 전국민의 30%이상을 뭘해도 싫어하는 극도의 안티로 만든거 생각하면 그 안티가 30%같은데요... 다른 분야에서 조금 더 정상적인 대통령이었으면 56:34가 아니라 76:14 나왔을거같네요
3
P의노예
다른건 몰라도 국민이 의사편을 든다구요?
말도 안되는 소립니다. 오히려 특유의 선민의식, 다른 국민들을 제2국민으로 취급하는 모습을 보고 다른건 몰라도 정말 이들은 답이 없구나 라 느꼈습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8873 정치(단독)"대통령과 여사에게 전화했다. 내일 김영선 발표" 24 매뉴물있뉴 24/09/19 1530 0
38872 정치"군, '훈련병 얼차려 사망' 수사자료 고의 파기"…충격 폭로 5 활활태워라 24/09/18 1310 0
38870 정치윤 대통령 15사단 방문…“전투식량·통조림 충분히 보급하라” 23 알탈 24/09/17 1551 0
38869 정치윤석열 정부의 모순된 ‘노동약자’ 프레임 3 오호라 24/09/17 931 1
38865 정치코레일 암울한 미래… 달릴수록 ‘부채 늪’ 무려 21.3조 21 야얌 24/09/16 1607 1
38858 정치[한일비전포럼] “한·일 관계 퇴행 막는 장치 필요…DJ·오부치 선언 2.0 만들어야” 3 dolmusa 24/09/14 902 0
38855 정치“대통령실 이전, 방탄창호 15.7억 빼돌려” 감사원 적발 14 SOP 24/09/13 1544 0
38852 정치감사원 "대통령 관저 정확한 준공도면도 없어…공사 전 과정 위법사례" 5 매뉴물있뉴 24/09/12 1103 0
38846 정치윤석열 검찰총장을 대통령으로 만든 ‘탈원전 수사’ 3 과학상자 24/09/11 1092 3
38845 정치복지부 "응급환자 사망률 증가?…사망자수 오히려 줄었다" 9 swear 24/09/11 1175 1
38843 정치"진심으로 궁금합니다... 대통령님, 왜 임명 안 합니까" 7 과학상자 24/09/11 1152 2
38842 정치이재명 “민생회복지원금 양보하겠다···차등·선별 지원하자” 12 카르스 24/09/11 1060 0
38840 정치메디스태프에서 의대생들 패륜발언 수사의뢰 10 P의노예 24/09/11 1356 0
38838 정치'응급실 뺑뺑이'에 6살 아들 잃어… 6 SOP 24/09/10 1297 0
38831 정치채상병 어머니 "해병대 전 1사단장 처벌 바란다" 5 매뉴물있뉴 24/09/10 982 2
38830 정치20대 남성, ‘문재인 평산책방’서 8분간 여성 직원 무차별 폭행 6 매뉴물있뉴 24/09/10 1254 0
38827 정치대통령실 "김건희특검법 재발의…국민도 지친다" 12 오호라 24/09/09 1266 0
38826 정치"신생아특례 등 정책대출 대상자 축소하지 않겠다" 1 알탈 24/09/09 818 0
38824 정치응급실 비상인데…의료계 '블랙리스트'에 추석 근무자 명단 공개 26 P의노예 24/09/09 1636 0
38818 정치공무원 정원 감축…'작은 정부' 본격화 18 공무원 24/09/08 1442 0
38817 정치파견 군의관 의료사고 시 의료기관이 2천만원 책임 부담 6 cummings 24/09/08 990 0
38813 정치수심위, '명품백 의혹' 김여사 불기소 권고…무혐의 처분 수순(종합) 5 공무원 24/09/06 1112 0
38812 정치전 정부 탓은 고질병? 대통령실 용산 이전 위법도 "지난 정부가 했다" 9 오호라 24/09/06 1325 0
38811 정치용산 "2천명 증원 고집은 가짜뉴스...2026년 의대증원 조정가능" 38 먹이 24/09/06 2523 0
38810 정치김민석, “계엄설이 이재명 방탄용? 코미디 같은 이야기” [김은지의 뉴스IN] 22 매뉴물있뉴 24/09/06 1789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