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4/08/29 08:37:56
Name   Overthemind
Subject   응급실 의사 전원 사직서.. 지역 응급의료 마비 직전 (2024.08.27/뉴스데스크/MBC충북)
https://youtu.be/Mi3t8AGJ1S0?si=Vo7IB6HpbEna_NT-
응급실 의사 전원 사직서.. 지역 응급의료 마비 직전 (2024.08.27/뉴스데스크/MBC충북)


이미 홍차넷에서 의료인분들이 오래 전부터 경고했던 응급의료 마비사태가 지방에서부터 점점 실체화되어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큰 고민과 철학이 없이 정책이 만들어져서 강행되면 어떤 꼴이 나는지 계속 목격하고 있는데, 크게 바뀔 것 같지는 않아보인다는게 참 비관적입니다.



0


하우두유두
ㅠㅠㅠ
정부가 예비 바이탈 선생님들을 멸종시켜놔서 앞으로도 해결 안될겁니다.
cheerful
? : 응 아니야. 의사가 적어서 일어난 일 ^___^
cheerful
응급실이 마비 되었다는 건 사실 병원의 [전반적인 기능이 상실] 됐다는 것을 뜻합니다. (타과로 연계 진료가 안된다는 뜻)
아무리 응급실 의사를 채워봐야 진료가 불가능하죠.

이건 응급실 선생님들의 잘못이 아닙니다. 그냥 병원이 ㅈ된겁니다...
5
남한과 북한이 다시 전면전해서,
남한이 이기면 우리의 승리일까요?
아니죠. 전쟁이 난 것만으로도 엄청난 사상자와 재산피해가 있을테니, 전쟁이 난 것만으로도 정권의 실패겠죠.

상대가 말 안듣는다고 해서
사태가 이 지경까지 온건, 정부의 완벽한 정책 실패죠.
누구의 의견이 관철되든 간에요.

근데 고집부리고 생떼쓰는 걸 보면 과연 의협이 북한인지 모르겠네요. 혐오하면 닮는다더니 딱 들어 맞는거 같네요.
1
그나저나 이 사태의 끝이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1. 윤석열 정권의 정책 포기
- 여기에 왜이렇게 까지 목숨거는지 모르겠으나 (천공?)
상황이 여기까지 온 만큼 이 정책은 정권의 배수진이 되었음.
포기하는 순간 레임덕과 여권의 이탈표가 발생하지 않을까 싶음.
그러기에 현 정권이 포기나 타협을 하진 않을거 같음.

2. 의협의 정책 수용
- 수용할 거 였으면 여기까지 오지도 않았을듯

3. 강대강이 지속된다면?
- 결국 국민의 분노는 정부로 향할거에요. 왠만한 공공 서비스의 파업의 수순은 초기에는 파업한 주체... 더 보기
그나저나 이 사태의 끝이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1. 윤석열 정권의 정책 포기
- 여기에 왜이렇게 까지 목숨거는지 모르겠으나 (천공?)
상황이 여기까지 온 만큼 이 정책은 정권의 배수진이 되었음.
포기하는 순간 레임덕과 여권의 이탈표가 발생하지 않을까 싶음.
그러기에 현 정권이 포기나 타협을 하진 않을거 같음.

2. 의협의 정책 수용
- 수용할 거 였으면 여기까지 오지도 않았을듯

3. 강대강이 지속된다면?
- 결국 국민의 분노는 정부로 향할거에요. 왠만한 공공 서비스의 파업의 수순은 초기에는 파업한 주체에 비난의 화살이 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정부에게 화살이 돌아가죠. 결국 컨트롤 가능한 집단에게 화가 미치는 것인데.. 대통령의 고집이 장난 아닌지라 과연 어디까지 버틸지, 그러다 다시 의협으로 비난의 화살이 옮기게 될지..



의도치 않게 이 전장은 정권의 향방에 매우 중요한 전장이 된듯 합니다. 큰틀에서의 의대정원 증원은 찬성이나 이런 방법은 무조건 반대입니다. 의사분들 잘 버텨주시길.

하지만 가장 중요한건 우리가 아프지 말고 잘 버텨야 ㅠ
1
지지율 보면 레임덕은 이미 왔어야하죠
포기한다고해서 레임덕 안오고 지지율 이탈도 안할겁니다
저는 이 사태가 좀 다를 수 있다 보는게
현 사태에 가장 치명적인 계층이 현정권의 주 지지층인 노년층이기 때문이에요.
주변에서 응급실 못 찾아서 돌아가시거나 고생하시는 분 얘기들이 남 얘기처럼 들리지 않는다면 지지율에 영향이 갈거라 생각합니다.

물론 그 전에 합의봐서 그러지 않기를 더 바라지만요 ㅠ
집에 가는 제로스
그래서 여당에서는 딴소리가 좀 나오는거 같은데 대통령실은 야 이건 단임제야! 하고 별 신경안쓰는것 같습니다?
3
Paraaaade
여당이 야당 손 잡고 대통령 들이박을 레벨 아니면 그냥 이렇게 흘러가지 않을지. 여당에서 그럴거 같진 않구요.
그런데
정권이 바뀌고 이 정책의 실정을 인정하는 조직이 설 때까지 가리라 보고 있습니다.
가장 큰 피해를 보는 노년층이 정책실패를 인식한들
그들은 투표를 할 지언정 길거리로 나오지는 못합니다.
그런데 대선 이전에는 더 이상 투표가 없지요.
의대 증원하게 되면 수반되는 다양한 정책들이 있는데 (수련병원에 대한 지원, 바이탈 수가 현실화, 미용시장을 개방해서 전문의 메리트를 향상시키기 등) 그런건 다 집어 치우고 단순히 2000명 증원만 못박아서 밀고나가는 이유가 뭘까요. 의대증원 찬성하는 사람들도 이런 식으로 증원하는건 바라지 않을텐데...
올드올드
불가능 하기 때문입니다.
수련병원에 대한 지원 -> 돈이 많이 듭니다.
바이탈 수가 현실화 -> 돈이 많이 듭니다.
미용 시장을 개방애서 전문의 메리트 향상 -> 미용을 하던 의사를 급여 시장안으로 끌어들인다 이거 역시 건보재정을 지출시키는 변화입니다.
2000명이 늘어났다 -> 돈이 무척, 매우 많이 듭니다.
애초에 이렇게 쑬 돈이 있다면 그 돈의 반의 반만 수가 현실화 해줬으면 응급실 뺑뺑이 같은 거 안났을겁니다.
돈을 안쓰고 어떻게든 해볼려다가, 이상한 윤통의 똥고집과 아집이 결합하면서,
이제 돈은 돈대로 나가고 상황은 최악으로 가고 있는 중인거죠.
6
맥주만땅
- 지역 사학들의 생존 문제가 가장 큰 것 같습니다. 간호대 증원 계속하는 것도 그나마 취업률 높은 것이 간호사라서.... 아마 보건쪽 학과 없으면 취업률 박살나는 대학들이 꽤 많을 겁니다.
1
올드올드
경영을 해보신 분들이라면 쉽게 아실텐데,
10만큼 성과를 내는 직원을 10명을 쓰고, 100의 성과를 내는 것과
20만큼 성과를 내는 직원을 5명 쓰고, 대신 월급을 2배쯤 주고 100의 성과를 내는 것, 어느게 비용이 절감이 될까요??
(사람은 자리를 차지하면 그냥 비용이 발생합니다. )
하물며 (러프하게 보면 )성과는 2배 이상 내고 월급은 1.5배쯤 주는 구조로 굴려왔는데 이게 얼마나 효율적을지는 계산 안해봐도 나오는 거에요.
이런 저비용 고효율에 이미 길들여져 있다가, 제 값을 내려니 너무 싫었겠죠.
4
이전 정권이면 (보수/진보 가리지 않고) 돈이나 다르 현실적인 이유라던지 여러 가설을 생각했을 것 같은데
지금 정권은... 실무진은 몰라도 최소한 결정권자들이 그냥 아무 생각이 없다고 봅니다
그러지 않고서는 지금 사태가 설명이 되질 않읍니다
9
cruithne
저도 아무생각 없다에 한표 던집니다. 이 정권은 진보고 보수고 나발이고 그냥 생각 자체를 안합니다
1
과학상자
모든 게 제값 지출 안하려다 벌어진 일이라 해결될 수가 없고, 나오는 해결책도 전부 제값 지출을 외면한 것들이라 사태는 계속 악화될 겁니다. 필수의료와 지방의료에 너무 돈을 안 써서 생긴 일이고, 그걸 미용이 너무 꿀통 빨아서 그러니 꿀통 뺏으면 가겠지 하는 발상은 진짜 너무합니다. 미용도 나름의 부가가치를 만드는 일이니 꿀통 빠는 거 뭐라 할거 못됩니다. 다만 그쪽에만 사람이 몰리면 문제니 필수의료 종사자가 제대로 보상받을 방안을 궁리했어야죠. PA합법화하고 간호사 미용도 개방하면 이제 병원 간호사들이 대거 미용으로 엑소더스할 겁니다. 그것도 할 수는 있는데 간호인력 처우개선을 먼저 하라고요. 그걸 외면하면 이제 간호사발 의료대란도 또 터져요. 진짜 의료를 완전히 폭망시키는 게 목적인가요?
6
바라스비다히
덮어놓고 때리면 때리는대로 그냥 쳐 맞아라 한 결과죠
치즈케이크
정당이야 어찌되든 알 바 없는 정권의 폭주죠.
지금까지는 아무리 단임제였어도 어쨌든 정권재창출에 기여해야만 했기 때문에 레임덕이라고 이렇게까지 막가파로 가진 않았는데 어차피 정치인 출신도 아니고 다음정권 알빠노 마인드로 밀어붙이고 있으니.

박근혜라는 선례때문에 탄핵이라는 선택지도 실질적으로 없는거나 마찬가지가 되버렸고 이게 참 ...
다음부터는 제발 대통령 중임제로 바뀌었으면 합니다.
풉키풉키
개인으로는 대처할 수 있는게 딱히 없어서 매일 술 먹는 인간이 일단은 금주한지 좀 됐습니다 알콜과 유툽 영화가 내 낙인데 시불럼들
닭장군
아... 술맛이 떨어지셨...
오디너리안
뭘해도 표는 잃게 생겼으니 프레임을 씌우는 쪽으로다가..
정권재창출이 위협 받을때 국힘이 윤통에게 등돌릴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던데.. (윤통에 대한 탈당요구로 나타날거라고..)
정권재창출 vs 개인비리 털려서 감방가기.. 에서 전자를 선택할 만한 사람들이 국힘에 얼마나 있을까요?
반란표가 나왔으면 진작 나왔을 겁니다. 지금 국힘 남은 사람들은 30프로만 바라보시는 분들이라 반란 못일으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8749 정치독도에 나타난 일본 군함‥윤석열 정부 구애에도 꿈쩍 않는 일본 3 알탈 24/08/30 983 0
38748 정치검찰, 문재인 딸 자택 압수수색…조국 대표도 내일 조사 7 the 24/08/30 1157 0
38747 사회새 역사 교과서 필자 “5·18은 민주화운동 아닌 사태” 8 구밀복검 24/08/30 1325 1
38746 스포츠틱톡을 점령한 한국 치어리더는 누구? 4 맥주만땅 24/08/30 1252 1
38745 사회하동 순찰차 사건 '총체적 부실'…근무 때 자고 순찰도 안 돌아 5 swear 24/08/30 996 0
38744 의료/건강'번아웃' 호소 응급실 교수 vs 강원대병원 '명령' 10 swear 24/08/30 1406 1
38743 사회“더 많은 자유” 뉴라이트를 초등생 쓰는 앱에…학부모 반발 9 야얌 24/08/30 1362 0
38742 경제'아프리카TV 코인게이트' BJ 중형… 법원, 징역 15년 선고 2 Groot 24/08/30 1026 2
38741 스포츠최근 4번이 모두 롯데, 이번에는 43년 프로야구 역사 최초의 사건…그래도 웃었다 "선수단 고생 많았다" 3 맥주만땅 24/08/30 910 0
38739 정치"김건희 여사도 '2천 명'은 완강했다" 통화 내용 공개한 진중권 17 오호라 24/08/30 1354 1
38738 사회납치됐는데 “캄보디아 경찰에 신고해라”…손 놓은 대사관 5 swear 24/08/30 1319 0
38737 사회"다음 내 차례" 지적장애인에게 오줌갈기며 성추행 한 20대 6 SOP 24/08/29 1227 0
38736 경제"신입사원, 저녁 8시 퇴근시켜라"… 요즘같은 때 이런 회사가 있다구요? 4 SOP 24/08/29 1144 0
38735 정치아주대병원 응급실, 매주 수요일 휴진 검토 2 츤데레 24/08/29 915 2
38734 정치이종찬 "뉴라이트 모르는 윤석열은 역알못" 4 구밀복검 24/08/29 1058 0
38733 경제내년 국고채 발행 201兆 발표에 놀랐던 시장… “부담 이어질 듯” 6 맥주만땅 24/08/29 1272 1
38732 사회검경이 동참한 '성폭행 누명'... 법원마저 "국가 책임 없다"고 했다 5 과학상자 24/08/29 1307 3
38731 정치헌재, 이정섭 검사 탄핵 기각…"사유 특정 안돼 부적법" 7 과학상자 24/08/29 1158 0
38730 스포츠손흥민, "난 여전히 내가 토트넘 레전드라 생각 안 해…트로피 안겨야" 6 swear 24/08/29 1103 0
38729 방송/연예차오루 "中서 돈 모아 피에스타 '짠해' 저작권 사" 6년만 재결합 컴백 5 swear 24/08/29 1074 3
38728 사회응급실 의사 전원 사직서.. 지역 응급의료 마비 직전 (2024.08.27/뉴스데스크/MBC충북) 25 Overthemind 24/08/29 2644 0
38727 사회주거침입으로 붙잡힌 현직 경찰관…13년 전 놓친 강간범으로 드러나 6 swear 24/08/29 952 0
38726 정치"저희 아버지도 '뺑뺑이' 돌다‥" 野 의원 방송 도중 '분노' 3 swear 24/08/29 917 0
38725 사회‘23명 사망’ 아리셀 대표 구속…중대재해처벌법 첫 사례 6 매뉴물있뉴 24/08/29 1039 1
38724 방송/연예NCT 태일, 성범죄로 피소…SM "팀 탈퇴 결정" 5 danielbard 24/08/28 1164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