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4/06/21 15:32:40
Name   카르스
Subject   정의당은 왜 원외로 내몰렸나
김기동·이재묵이 2020년에 발표한 논문 ‘한국정치의 유권자 지형’은 한국종합사회조사(Korean General Social Survey) 데이터를 기반으로 2003∼2018년 유권자들의 정당일체감에 따른 정치이념의 흐름을 보여준다. 그런데 여기에는 진보정당 입장에서 특히 충격적인 내용이 포함돼 있다. 진보정당의 독자적인 지지 블록이 유권자층에서 사라진 것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라 16년 전인 2008년 제18대 총선 무렵이기 때문이다.

민주노동당이 처음 원내 진입에 성공한 2000년대 초반에는, 한국의 유권자층이 ‘보수-중도-민주당(리버럴)-진보’라는 4개 그룹으로 비교적 명확하게 구분된다. 그런데 노무현 정부 시기에 민주당과 진보정당의 차이는 점점 줄어들어서, 노무현 정부 말기에는 그래프가 거의 수렴한다. 두 정당 지지자들의 이념적 차이는 이후에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2012년 대선 이후 두 정당의 지지자들은 함께 진보성향이 더 강해졌고, 2016년 촛불 이후에는 완전히 수렴했으며, 2018년에는 오히려 정의당보다 민주당 지지자들의 진보성이 더 강한 상황까지 나타난다.

2020년 제21대 총선에서는 어땠을까? 한국정치학회와 한국정당학회가 공동으로 실시한 ‘21대 국회의원 선거 유권자 정치의식조사’에서 정당일체감과 정치이념 평균을 보면, 10점 척도(진보0-보수10)에서 무당파는 5.21을, 미래통합당은 7.47을 보였다. 더불어민주당이 3.08이었는데, 정의당은 4.67로 나타났다. 정의당 지지자들의 평균값이 민주당 지지자들보다 더 중도적이었다. 앞서 2018년 무렵 정당일체감에 따른 이념성향에서 민주당과 정의당 지지자들이 역전됐던 현상이 2020년에도 그대로 확인된다. 연구자들은 주관적 이념성향 외에 실제 복지·노동·젠더·북한·환경 등 개별 정책 이슈에 대해서도 태도를 확인해봤는데, 여기서도 정의당 지지자들은 민주당과 다른 독립적인 차별성을 보여주지 않았다.

주관적 이념 성향이나 정책 이슈에 대한 태도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더라도, 일단 특정 정당을 지지한다고 했으니, 투표는 다르게 하지 않았을까? 아니었다. 실제 지역구 후보에 대한 투표 행태에서 정의당 지지자는 민주당 지지자와 차이가 없었다. 더 놀라운 것은 비례대표에서도 차이가 없었다는 점이다. 보통 우리는 진보정당 지지자가 지역구 투표에서는 소선거구제의 특성 때문에 당선 가능한 민주당 후보를 찍고 비례대표에서는 진보정당을 찍는 전략적 투표(strategic vote)와 분할 투표(split vote)를 한다고 생각해왔다. 아니었다. 지역구는 물론이고 비례대표에서도 정의당 지지자들이 특별히 더 정의당에 표를 몰아주지 않았다. 민주당 지지자 중에서도 정의당에 표를 나눠준 사람이 있었고, 정의당 지지자 중에서도 민주당에 투표한 사람이 있었다. 심지어 2020년 총선에서는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처음 도입됐고 양대 정당이 위성정당을 만들어 선거법 개정의 취지를 훼손했는데도, 정의당 지지자들의 투표 행태는 민주당 지지자들과 차별성이 없었다.

정의당의 몰락은 예견된 것이었다. 장기적으로는 민주노동당이 막 원내 진입을 해서 첫 국회의원 임기를 끝내던 바로 그 시기부터, 2010년 민주당이 장악한 서울시의회에서 무상급식 조례가 통과되던 때를 거쳐, 2012년 대선에서 문재인과 박근혜가 모두 복지국가를 국가 비전으로 제시하고 경쟁하던 시기, 그리고 2016년 촛불과 2020년 총선을 거치면서, 정의당의 독자적인 지지층은 신속하고도 분명히, 그리고 지속적으로 사라졌다. 그런데 어떻게 진보정당은 20년 가까이 원내 정당을 유지할 수 있었을까?

여러 연구와 조사 결과들의 내용이 거짓이 아니라면, 이것은 한국의 민주진보 진영에서 일부 유권자가 ‘원내에 진보정당도 하나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 외에 설명이 되지 않는다. 조금 매정하게 말하자면, 정의당은 원내정당 진입에 필요한 독자적 지지 기반을 가졌던 적이 거의 없다. 다만, 잠재적 민주당 지지자 중에서 정의당의 역할을 인정하는 사람들의 표를 받아서 의석을 유지했던 셈이다. 이것이 정의당이 ‘2중대’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근본적인 이유였다.

(중략)

이 지점에서 필자는 한국의 진보정당이 하나의 함정에 빠진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제도 만능주의다. 이번 총선에서는 그 민낯이 드러났다. 지난 총선에서 정의당은 위성정당을 탓했다. 그러나 이번 제22대 총선에서는 그러지 못했다. 일단 3% 이상을 득표해야, 표를 얻은 만큼의 의석을 배분받지 못했다는 비판을 할 수 있다. 그런데 녹색정의당의 득표율은 2.14%로 많이 못 미쳤다. 심지어 3.61%로 비례에서 2석을 얻은 개혁신당에도 미치지 못했다. 반면 더불어민주연합이라는 위성정당이 있었음에도 조국혁신당은 24%를 넘게 득표했다. 제3지대가 없었던 것이 아니라, 제3지대에 정의당이 설 자리가 없었다.

이렇게 원내 정당 정의당의 역사는 그동안 언급되지 않았던, 또는 누군가에 의해 주장됐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하나의 사실이 드러나면서 끝을 맺었다. 비례대표 선거제도의 변화는 정의당을 구할 수 없었다는 사실이다. 혹자는 이렇게 말할지도 모른다. 제21대 총선에서 위성정당이 없었다면, 정의당은 15석이나 20석을 넘는 의석을 가진 명실상부한 진보정당이 되었을 것이라고. 물론 여기에는 많은 이야기가 추가돼야 한다. 소선거구제의 문제, 의원 정수의 문제, 비례대표의 의석수가 너무 적다는 것, 그래서 양대 정당도 비례의석을 얻고 싶으면 의원 정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것 등 할 이야기는 많다. 그러나 현실은 이론대로만 움직이지 않는다. 위성정당이 없다면, 민주당 지지자들은 내키지 않더라도 최악을 막기 위해 정의당에 표를 나눠줄 생각이 있었을지 모른다. 그러나 보수정당의 경우에는 애초에 그럴 정당이 없었다. 이 제도를 호락호락 받아들일 이유가 없었던 셈이다.

결국 이 모든 조건을 다 고려할 때, 정의당이 처음부터 고려했어야 하는 전략은 단 2개뿐이다. 현실을 인정하고 민주당의 당내당이 되거나 혹은 민주당과 협력·경쟁·견인하는 진보정당이 되든지, 아니면 정의당의 독자적 지지 블록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전력을 다하는 것이다. 정의당은 대체로 이상적으로는 후자를 지향했지만 방법을 찾지 못했고, 현실적으로는 전자에 가까운 자신의 모습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무엇보다 이 둘 사이에서 결단을 내릴 수 있는 통합된 지도부를 가질 수 없었다. 그리고 이것이 결국 정의당을 원외로 내몰았다.

출처: https://h21.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55582.html
====================================================
제가 읽었던 진보정당 몰락 비평 중에서 정의당 측에 제일 냉혹한 분석글입니다.
저와 생각이 굉장히 유사하기도 하고. 그래서 가져왔습니다.

최소한 몇몇 진보정당 지지자들의 '민주당과 이념 및 정치세력이 명확히 다른 진보정당'이라는 관념이 허상이었음을 지적하고,
위성정당 비판에만 매몰되어 비례대표 선거제도 변화를 만병통치약처럼 생각했던 사고의 허상을 지적하지요.



3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8294 정치"윤석열 탄핵" 국민청원 동의 60만명 넘어…사이트도 마비(종합) 11 + 매뉴물있뉴 24/06/29 205 0
38285 정치김진표 “尹 ‘이태원 참사, 조작된 사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언급” 14 알탈 24/06/27 789 0
38283 정치국방부, 훈련병에 체력단련 얼차려 금지 11 + the 24/06/27 680 0
38271 정치임성근이 모른다던 '도이치 공범'…"1사단 골프모임 추진" 대화 입수 12 다군 24/06/25 848 0
38267 정치北 오물풍선 살포한 날 음주회식한 사단장, 결국 보직해임 5 cruithne 24/06/25 482 0
38266 정치육군 51사단 일병 사망, '병영 부조리' 정황 식별 2 the 24/06/25 361 0
38265 정치하나회 출신 "중대장은 죄가 없다…유족들 운명이라 생각하시라 11 활활태워라 24/06/25 863 0
38261 정치감세 드라이브 속 세수 부족 딜레마…정부, 부가세 인상 만지작 18 the 24/06/24 814 0
38252 정치한동훈 "與대표되면 채상병특검 발의…당정관계 수평적 재정립" 6 Cascade 24/06/23 497 0
38245 정치“과학계 난리났다” 6년→2년 연구평가 단축…출연연 줄세우기 현실화 12 JUFAFA 24/06/22 998 0
38241 정치"대대장은 왜 책임회피 안 하나?" "전우를 지켜줘야 해병대" [현장영상] 5 매뉴물있뉴 24/06/21 675 2
38240 정치‘채상병 특검법 청문회’ 생중계, KBS에서만 볼 수 없다? 5 매뉴물있뉴 24/06/21 512 0
38238 정치정의당은 왜 원외로 내몰렸나 16 카르스 24/06/21 1085 3
38237 정치대통령실 “우크라 탄약지원 사실무근" 4 구밀복검 24/06/21 479 0
38235 정치훈련병 사망' 중대장 영장심사...'완전군장' 지시 부인 5 활활태워라 24/06/21 540 0
38234 정치이종섭·신범철·임성근, 청문회 나와놓고 '증인선서'는 거부 18 매뉴물있뉴 24/06/21 904 0
38231 정치북러 조약에 정부 성명 발표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검토" 4 오레오 24/06/20 489 0
38227 정치윤 대통령·복심 이시원, ‘채상병’ 회수 당일 전방위 동시전화 4 삼유인생 24/06/20 552 0
38223 정치"침략당하면 서로 지원"‥북러,군사 동맹 수준 협정 체결 6 야얌 24/06/20 409 0
38219 정치법사위, 운영위원장 쟁탈전 10 정중아 24/06/19 745 0
38212 정치'김정숙 타지마할' 본격 수사…검찰 "영부인 외교 다듬을 기회" 16 오호라 24/06/19 854 0
38210 정치"애 낳으세요" 대책 쏟아지는데…예산 없어 '임산부 배지'도 못 만든다 16 야얌 24/06/18 697 0
38205 정치민주당 김영환 “노소영 재산 분할액 1.3조 전액 국가 귀속돼야” 4 OneV 24/06/18 571 0
38203 정치“검사를 수사관으로”…민주당, 검찰청 폐지 가닥 10 the 24/06/18 711 0
38194 정치‘검찰 쿠데타’는 사실이었나 11 오호라 24/06/17 1092 2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