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4/05/26 17:41:24 |
Name | T.Robin |
Subject | 개발자 여러분, 아직까지 여러분의 자리는 (아직) 안전합니다! |
https://gizmodo.com/chatgpt-answers-wrong-programming-openai-52-study-1851499417 ChatGPT에 프로그래밍 관련 질문을 물어보면 52% 정도는 틀린 대답을 도출하고, 77% 정도는 "verbose"하다(=프로그램이 길다=말이 너무 많다=느리거나 최소한 읽기가 힘들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아직은 연구 한 개 뿐이지만, [AI로 개발자를 대체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분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봅니다. 전체 논문은 여기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전 이런 논문류를 읽기에는 가방끈이 짧아서...... OTL). https://dl.acm.org/doi/pdf/10.1145/3613904.3642596 전 맨 마지막 부분에 기술된, 이 건에 대한 Google의 대응과 기자의 코멘트가 가장 인상깊습니다. 이 논문에 사용된 질문은 일반적이지 않다 → 그래? 그럼 사용자는 항상 평범한 질문만 해야 하나? (지나가던 개발자의 생각으로는, 평범한 질문이라면 그냥 답변이 이미 머릿속에 있을 것 같습니다만......)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T.Robin님의 최근 게시물
|
30분 정도의 구글링으로 얻을 수 있는 지식을 질문하고 읽기까지 2분으로 단축시켜주는 도구 정도로 생각하고 쓰고 있습니다
지금 수준은 개발자를 대체하기보단
개발자가 귀찮아하는 노가다를 일부 대체해주고 모르는 것에 대한 첫 갈피를 잡기 좋게 만들어주는 도구에 더 가까워 보입니다
지금 수준은 개발자를 대체하기보단
개발자가 귀찮아하는 노가다를 일부 대체해주고 모르는 것에 대한 첫 갈피를 잡기 좋게 만들어주는 도구에 더 가까워 보입니다
어느정도 개발을 할 수 있는 분들이 써야지
아닌 사람들이 쓰면 조금의 수정도 디버깅도 못하더라고요..
같이 일하는 사람이 쓴다면 gpt로 코딩된건 참고사항으로만 사용했으면 좋겠어요..
아닌 사람들이 쓰면 조금의 수정도 디버깅도 못하더라고요..
같이 일하는 사람이 쓴다면 gpt로 코딩된건 참고사항으로만 사용했으면 좋겠어요..
chatgpt + copilot 쓰면서 느낀 점은.. 개발자용 인공지능 어시스턴트의 끝은 개발자가 대체되는게 아니라,
1인분 하던 개발자를 3~4인분 또는 그 이상 하게 만들게 될거라는 생각이 강하게 들더라구요. (이건 다른 직업도 비슷할것 같긴 합니다)
위에 댓글 보면, 생산성이 좋아지니 많은 인력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는 시각도 동의되는 부분이 있지만..
회사가 너무 자금에 허덕이지만 않는다면.. 생산성을 개선해서, 비즈니스 개선까지 연결시키고 싶을 회사가 많을것 같아서요
오랜기간 유료로 써보니.. 체감으로는 어지간... 더 보기
1인분 하던 개발자를 3~4인분 또는 그 이상 하게 만들게 될거라는 생각이 강하게 들더라구요. (이건 다른 직업도 비슷할것 같긴 합니다)
위에 댓글 보면, 생산성이 좋아지니 많은 인력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는 시각도 동의되는 부분이 있지만..
회사가 너무 자금에 허덕이지만 않는다면.. 생산성을 개선해서, 비즈니스 개선까지 연결시키고 싶을 회사가 많을것 같아서요
오랜기간 유료로 써보니.. 체감으로는 어지간... 더 보기
chatgpt + copilot 쓰면서 느낀 점은.. 개발자용 인공지능 어시스턴트의 끝은 개발자가 대체되는게 아니라,
1인분 하던 개발자를 3~4인분 또는 그 이상 하게 만들게 될거라는 생각이 강하게 들더라구요. (이건 다른 직업도 비슷할것 같긴 합니다)
위에 댓글 보면, 생산성이 좋아지니 많은 인력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는 시각도 동의되는 부분이 있지만..
회사가 너무 자금에 허덕이지만 않는다면.. 생산성을 개선해서, 비즈니스 개선까지 연결시키고 싶을 회사가 많을것 같아서요
오랜기간 유료로 써보니.. 체감으로는 어지간한건 잘 물어보면 잘 답해주는것 같더라구요.
전 ChatGPT + Copilot 두개 짬뽕해서 쓰고있고, 생산성이 정말 크게 좋아지게 되는걸 느낄 수 있더라구요.
보일러플레이트들 타이핑 하는 시간만 크게 줄여주는것도 크고, 이미 널리 알려진 솔루션인데 갑자기 생각이 안날때도 도움 잘 받고요.
저는 종종 Copilot 이 잘못된 코드를 제안해줘도 그냥 tab 눌러서 자동완성 시켜놓은 다음에 자잘하게는 제가 직접 수정하기도 합니다. 그 편이 덜 힘들때가 많더라구요.
비즈니스로직에 집중할 수 있다는 점이 너무 좋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에 거의 없는 솔루션은 ai도 잘 모르는경우가 많고, 헛소리할때 잘 지적해줘야 하기도 합니다.
결국 사용자의 개발능력과 ai프롬프팅 능력 양쪽이 좋아야 ai를 잘 쓸수 있는것 같습니다.
체감상으론 인공지능은 고오급 사이드킥 느낌이고, 그동안 히어로가 하루에 빌런 1마리씩 처치했으면.. 앞으로는 사이드킥 도움 받고 3-4마리 잡아내도록 요구받을겁니다.
지금보다 조금만 더 발전하면 workspace, repository를 지가 알아서 들여다보면서 잠재적 성능이슈 개선, 코드 스타일도 보정해주고, deprecated 될 api들도 알려주고. 하겠더라구요. 왜냐면 이것들은 이미 chatgpt와 질의응답으로 이미 가능한 상황인데, 완전히 자동화 시키기에는 아직 컴퓨팅 자원의 문제 or 저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인력의 부재? 뭐 그런 이유 정도 말고는 안될 이유가 없어보이더라구요.
모델이 이미 그럴 능력이 되기 때문에..그걸 IDE나 github(or gitlab 등)같은 곳에 통합해주기만 하면 되니까요.
꽤 오랜기간 gpt-4와 claude3 유료버전을 쓰고있는데, 지금도 많은 도움을 얻고있는 입장에서 gpt-5도 정말 기대됩니다. 올해 나온다는 얘기 있던데.. 빨리나오기를..
1인분 하던 개발자를 3~4인분 또는 그 이상 하게 만들게 될거라는 생각이 강하게 들더라구요. (이건 다른 직업도 비슷할것 같긴 합니다)
위에 댓글 보면, 생산성이 좋아지니 많은 인력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는 시각도 동의되는 부분이 있지만..
회사가 너무 자금에 허덕이지만 않는다면.. 생산성을 개선해서, 비즈니스 개선까지 연결시키고 싶을 회사가 많을것 같아서요
오랜기간 유료로 써보니.. 체감으로는 어지간한건 잘 물어보면 잘 답해주는것 같더라구요.
전 ChatGPT + Copilot 두개 짬뽕해서 쓰고있고, 생산성이 정말 크게 좋아지게 되는걸 느낄 수 있더라구요.
보일러플레이트들 타이핑 하는 시간만 크게 줄여주는것도 크고, 이미 널리 알려진 솔루션인데 갑자기 생각이 안날때도 도움 잘 받고요.
저는 종종 Copilot 이 잘못된 코드를 제안해줘도 그냥 tab 눌러서 자동완성 시켜놓은 다음에 자잘하게는 제가 직접 수정하기도 합니다. 그 편이 덜 힘들때가 많더라구요.
비즈니스로직에 집중할 수 있다는 점이 너무 좋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에 거의 없는 솔루션은 ai도 잘 모르는경우가 많고, 헛소리할때 잘 지적해줘야 하기도 합니다.
결국 사용자의 개발능력과 ai프롬프팅 능력 양쪽이 좋아야 ai를 잘 쓸수 있는것 같습니다.
체감상으론 인공지능은 고오급 사이드킥 느낌이고, 그동안 히어로가 하루에 빌런 1마리씩 처치했으면.. 앞으로는 사이드킥 도움 받고 3-4마리 잡아내도록 요구받을겁니다.
지금보다 조금만 더 발전하면 workspace, repository를 지가 알아서 들여다보면서 잠재적 성능이슈 개선, 코드 스타일도 보정해주고, deprecated 될 api들도 알려주고. 하겠더라구요. 왜냐면 이것들은 이미 chatgpt와 질의응답으로 이미 가능한 상황인데, 완전히 자동화 시키기에는 아직 컴퓨팅 자원의 문제 or 저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인력의 부재? 뭐 그런 이유 정도 말고는 안될 이유가 없어보이더라구요.
모델이 이미 그럴 능력이 되기 때문에..그걸 IDE나 github(or gitlab 등)같은 곳에 통합해주기만 하면 되니까요.
꽤 오랜기간 gpt-4와 claude3 유료버전을 쓰고있는데, 지금도 많은 도움을 얻고있는 입장에서 gpt-5도 정말 기대됩니다. 올해 나온다는 얘기 있던데.. 빨리나오기를..
AI 관련 이야기들은 기본적으로 너무 과장이 많읍니다. 이게 일반인들만 그런거면 모르겠는데 제가 느끼기엔 유명 전공자 또는 업계 종사자들도 비슷하게 말하는 경우들이 있는 것 같읍니다. 지금까지의 발전 방향으로 보자면 AI의 발전은 (인력거쟁이들이 없어졌듯이) 기존의 직업이 사라지는 방향보다는 윗분들 말씀대로 기존 전문 직업자들의 업무 효율을 혁신적으로 증가시키는 쪽이 더 현실적일 겁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