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3/06/24 14:54:39 |
Name | 뉴스테드 |
Subject | [칼럼] 누가 누구를 전문가라 부르는가 |
https://n.news.naver.com/article/055/0001067891?cds=news_media_pc 이번 수능 혼란의 결과야 한참 기다려야 나올 테지만 어쨌거나 과정은 이리 되었다. '학교 교육 경쟁력 제고 및 사교육 경감 관련 당정협의회' 참석자들 사이에서 나온 말들이다. 교육부장관 겸 사회부총리: "입시에 대해서 수사를 여러 번 하시면서 (대통령이) 상당히 깊이 있게 고민 연구하시고 해서 제가 진짜 많이 배우는 상황이었다. 굉장히 깊이 아시고 가장 핵심적 문제에 대해 많이 고민하신 걸로 여러 번 대화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여당 정책위 의장: 일각에서는 대통령께서 입시에 대해서 뭘 아시느냐는 식으로 폄하하고 있는데 헛다리 짚은 것임을 분명히 해둡니다. 대통령께서는 검찰 초년생인 시보 때부터 수십 년 동안 검사 생활을 하시면서 입시 부정 사건을 수도 없이 다뤄보셨고, 특히 조국 일가의 대입 부정 사건을 수사 지휘하는 등 대입 제도에 대해서 누구보다도 해박한 전문가이십니다." 전공은 경제학이지만, 20년 넘게 국책연구기관과 국회, 청와대, 행정부에서 교육부장관 2회 포함 교육 관련 최고위 공직에서 종사해온 인사가 공적으로든 사적으로든 단 한번도 교육 관련 조직에서 일해 본 적 없는 사람에게 한 수 배울 수 있.다. 꼭 반면교사가 아니더라도 사람은 누구에게서나 무엇이든 배울 수 있다. 세계적인 석학도 시골 농부에게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듯이. 그것은 보편적인 일이다. 그러나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비전문가에게 '특정 분야의 전문성에 대해' 배우는 일이 얼마나 될까. 그리고 교육 비전문가로서 나는 여당의 정책위 의장이란 사람이 전한 대통령의 발언 취지 자체는 크게 틀린 말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럼 그냥 그렇게 담박하게 전하면 되지, 전문가라는 말은 왜 끌어들이는가, 입시 부정 사건을 수사하면 입시 전문가가 되는가? 그렇게 치면 검찰 공무원, 경찰 공무원, 감사 공무원, 기자도 다 특정 분야 전문가일 것이다. 하지만 그들은 수사 전문가이거나 감사 전문가, 취재 보도 전문가일 따름이다. 자기 일을 열심히 오래하다 보면 특정 분야에 대한 이해 수준이 높아지고 노하우가 쌓여 수사를 잘하고 기사를 잘 쓸 수 있을 뿐이다. 김정은이 미사일 발사장에 나타나서, 농촌과 공장에 나타나서, 관광 단지에 나타나서 모든 문제에 대해 이른바 '현장 지도'하고 진짜 전문가인 현장 관계자들은 머리를 조아리며 수첩 들고 받아 적는 뉴스를 볼 때마다 코웃음밖에는 안 나왔는데 대한민국 국회에서 이런 풍경을 보게 될지 몰랐다. "내가 해봐서 아는데~"가 생각나고 "안 해 봤으면 말을 하지 말아"하던 달인이 떠오른다. --------- 참을 수 없는 행정부 수반들의 가벼움을 보면서 답답할때 들으려고 아껴둔 플레이리스트를 엽니다. 2
이 게시판에 등록된 뉴스테드님의 최근 게시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