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2/09/19 15:05:37 |
Name | 땡땡 |
Subject | 내년 교사 정원 3,000명 줄인다… 저출산에 사상 첫 감축 |
https://n.news.naver.com/article/469/0000697532?sid=101 차근차근 저출산 시대를 맞이할 준비를 하는 것 같습니다. 진작에 공론화시켜서 준비했으면 어땠을까싶긴 합니다만 지금부터라도 하는게 어딘가싶기도 하구요. 한편으로, 앞으로 다가올 충격 생각하면 이정도는 언발에 오줌누기 수준이겠거니싶기도 합니다. 우리 다음세대는 어떤 사회에서 살아갈지 …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땡땡님의 최근 게시물
|
공공부분 분야 단축하는 겸이고, 퇴직자 증가 없이 임용만 줄이는 방식이라 좋게 보이지만은 않네요.
이 김에 차라리 반/교사당 학생 수를 세계 최저로 줄이는 게 어떨지.
온갖 교육적 실험을 하기 좋은 환경일 텐데.
그렇게 하려해도 선생 줄여야 한다면 모를까, 선생'부터' 줄이고 보자는 태도는 반대네요.
이 김에 차라리 반/교사당 학생 수를 세계 최저로 줄이는 게 어떨지.
온갖 교육적 실험을 하기 좋은 환경일 텐데.
그렇게 하려해도 선생 줄여야 한다면 모를까, 선생'부터' 줄이고 보자는 태도는 반대네요.
퇴직자를 임의로 늘리기는 힘들지 않나요? 학생수가 현저하게 줄어든 상황에 당연히 해야할 일이라고 봤는데 다른 시각으로도 접근할수 있군요.. 의견 감사합니다
뭐... 교육공무원도 명예퇴직이 가능하니까요. 공무원 연금 메리트가 더 없어지기전에 빨리 퇴직하겠다는 분들도 분명 있을 수 있다고 봅니다.
퇴직자 증가는 시키기엔 원치 않는 퇴직 시키기가 어려운게 공무원 조직인데다, 일반적으로 인원이 꽉 찼으면 새로 안뽑는게 보통이지 있는 사람을 자르고 새로 뽑진 않죠.(그게 더 효율적인거 같긴 한데)
일단 교사 늘리고 교육적 실험 해보기에는 공무원의 특징이 자르기 힘들다, 융통성이 없다 등으로 어렵죠. 아니면 실험을 해볼 순 있어도, 소수의 학교에서나 해보는 거지 갑자기 전국적인 실험을 한다는건 무모한 계획이죠.
방향 자체는 어쩔 수 없지 않나요? 코로나 막는 다른 방법은 안쓰고 일단 통행 막고 보는건 안된다 이런 느낌인데... 정확한 숫자는 모르겠지만 학생 수가 반토막이 나는데 방법이 있을까 싶네요.
일단 교사 늘리고 교육적 실험 해보기에는 공무원의 특징이 자르기 힘들다, 융통성이 없다 등으로 어렵죠. 아니면 실험을 해볼 순 있어도, 소수의 학교에서나 해보는 거지 갑자기 전국적인 실험을 한다는건 무모한 계획이죠.
방향 자체는 어쩔 수 없지 않나요? 코로나 막는 다른 방법은 안쓰고 일단 통행 막고 보는건 안된다 이런 느낌인데... 정확한 숫자는 모르겠지만 학생 수가 반토막이 나는데 방법이 있을까 싶네요.
현실적으로 교원 축소는 불가피하다고 보긴하는데, 인재 양성으로 먹고 사는 한국 같은 나라에서 교육 관련 인력 및 투자를 줄이는게 영 불편하다 이생각만 듭니다. 교육의 질 개선하려는 노력은 없이 단순히 교원만 줄이려고 하는거 같은 느낌도 들구요.
한국도 이제 돈에 쪼들리지 않는 선진국인만큼 막무가내로 교사 정원을 줄이는게 아니라 1교실 2교사, 3교사제도등으로 저출산을 학생들의 삶과 교육의 질을 올릴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하지 않을까요
요즘 공교육이 어떨지 몰라서 쓰기 조심스럽긴 합니다만, 저때만 해도 수업 따라가는 학생, 그렇지 못한 학생으로 나뉘었고, 그중에서 뛰어난 학생을 중심으로 보통 수업을 진행했던것 같읍니다.
당시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는 당연히 1명이고 학생은 30명이 넘어갔으니 모두 챙길 여력이 없는것이 당연한 시대였읍니다.(게다가 반이 5개 넘어갔으니..)
이제 오히려 교사가 너무 많아서 줄이고자 한다는데, 글쎄요 저는 모든 학생이 모든 진도를 잘 따라갈 수 있으면 좋겠는데, 더 많은 교사가 이를 해결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낙오자 없는 공교육을 한번 생각해보면 어떨까 합니다.
당시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는 당연히 1명이고 학생은 30명이 넘어갔으니 모두 챙길 여력이 없는것이 당연한 시대였읍니다.(게다가 반이 5개 넘어갔으니..)
이제 오히려 교사가 너무 많아서 줄이고자 한다는데, 글쎄요 저는 모든 학생이 모든 진도를 잘 따라갈 수 있으면 좋겠는데, 더 많은 교사가 이를 해결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낙오자 없는 공교육을 한번 생각해보면 어떨까 합니다.
그건 교사수가 문제가 아니고 아니고 수준별수업이 필요한게 아닐까요? 극단적으로 전교 1등과 꼴등 두명만 교사 한명이 가르쳐도 수업이 제대로 돌아가기 쉽지않죠.
음....
불황을 앞두고 있으면 공공부문 일자리를 늘려서
실업자인구가 증가하는걸 흡수해야하는거 아닐까요...?;;;
지금 상황에서 정원을 줄이면, 교대 졸업하는 사람들 전부 실업자로 ㄱㄱ 하란 얘기밖에 더 되나?;
근데 앞으로 1-2년은 확실히 불경기라고 하는것 같은데...
불황을 앞두고 있으면 공공부문 일자리를 늘려서
실업자인구가 증가하는걸 흡수해야하는거 아닐까요...?;;;
지금 상황에서 정원을 줄이면, 교대 졸업하는 사람들 전부 실업자로 ㄱㄱ 하란 얘기밖에 더 되나?;
근데 앞으로 1-2년은 확실히 불경기라고 하는것 같은데...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