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2/06/27 15:08:28수정됨 |
Name | 야얌 |
Subject | "최저임금 급등, 결국 기술 숙련공 맥 끊어” 중소기업계 호소 |
http://naver.me/FKptPy3W 최저임금과 인건비부담에 대한건 깊은 토론이 필요하긴하지만 자기들이 키워야할 비숙련공의 교육방치와 중고신입 우대요구, 노동자처우방치를 최저임금 탓으로 후려치면 듣는 입장에서도 좋은말 나가기 힘들죠 뭐...물론 어떤 곳은 노동자들이 단순 커리어쌓기의 일환으로 일터를 여겨서 생기는 인력부족문제도 있다고 들었고 거기에 배신당한 중소기업들도 충분히 많다고는 들었지만 적어도 그걸 문제의식으로 여기는 기사는 아닌듯 하군요.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야얌님의 최근 게시물
|
그런데 그 숙련공이 다른데서는 돈 더 받을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애초에 낮은 부가가치산업의 밸류체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업계가 다들 비슷해서 인건비 상승을 못 버티면 다같이 문닫는 겁니다. 노동력 착취로 사장이 어마어마한 부를 형성하는 것도 아니구요.
기술숙련공이라고 하니 뭔가 돈을 더 줘야 할거 같은데 그 돈주면 그 분야 자체가 존재할 수 없다 뭐 이런 구조입니다. 기업의 혁신 없이는 인건비 상승을 버틸 수가 없는데 애초에 최저시급을 주는 업체(+다른데 돈 더주는 곳이 없으니 이직할 곳도 없는 현실)가 혁신을 할 수가 없죠.
그정도 밖에 안되는 회사들은 문닫아야 한다는게 인터넷의 컨센서스인듯 한데, 사회적으로 그게 맞을지는 의문이 있을 겁니다. 그런 회사에서 일하는 노동력들을 흡수할 대안이 사실 없어요.
기술숙련공이라고 하니 뭔가 돈을 더 줘야 할거 같은데 그 돈주면 그 분야 자체가 존재할 수 없다 뭐 이런 구조입니다. 기업의 혁신 없이는 인건비 상승을 버틸 수가 없는데 애초에 최저시급을 주는 업체(+다른데 돈 더주는 곳이 없으니 이직할 곳도 없는 현실)가 혁신을 할 수가 없죠.
그정도 밖에 안되는 회사들은 문닫아야 한다는게 인터넷의 컨센서스인듯 한데, 사회적으로 그게 맞을지는 의문이 있을 겁니다. 그런 회사에서 일하는 노동력들을 흡수할 대안이 사실 없어요.
저는 복합적인 문제라고 보이는데요, 중소기업들의 재정 사정 문제도 언급할 필요는 있다고 봅니다. 재정사정이 어렵다 보니 하나하나가 부담스러운거죠. 인정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재정 문제를 기술 숙련공을 싸게 사용하면서 해결하려는 것도 잘못된 방향이라는거죠.
저들이 죄다 하청업체들이면 제값치르고 사주고 있는지 원청을 조져봐야죠.
저들이 파는 물건이 소비재인데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거면 "구조조정" 되어야죠.
저들이 파는 물건이 소비재인데 사치재면 시장 성숙이 안된거겠죠.
저들이 파는 물건이 소비재인데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거면 "구조조정" 되어야죠.
저들이 파는 물건이 소비재인데 사치재면 시장 성숙이 안된거겠죠.
전 그래서 정부의 깡패(?)같은 최저임금 상승을 응원하는 입장이예요.
진짜 나쁜 사장들이 너무 많아서, 너무 오랫동안 후려쳐왔거든요.
한번 크게 노동자측에 유리하게 해주고, 그다음 몇년간은 기업쪽에좀 손들어주고, 또 그 다음에는 노동자측에 좀 더 힘 실어주고... 왔다리갔다리 해야한다고 봅니다. 그동안은 너무 사용자쪽에만 손들어줬죠.
진짜 나쁜 사장들이 너무 많아서, 너무 오랫동안 후려쳐왔거든요.
한번 크게 노동자측에 유리하게 해주고, 그다음 몇년간은 기업쪽에좀 손들어주고, 또 그 다음에는 노동자측에 좀 더 힘 실어주고... 왔다리갔다리 해야한다고 봅니다. 그동안은 너무 사용자쪽에만 손들어줬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