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2/05/27 14:17:21
Name   Profit
Subject   詩를 쓸 자격이 없는 당신
https://www.chosun.com/opinion/every_single_word/2022/05/25/5SWSHJO26NGVVJU7SFJAPWIF6M/

나는 시(詩)를 못 쓴다. 노력은 했다. 대학 1학년 때는 ‘시의 이해’라는 이름의 강의도 들었다. 어머니에 대한 시를 써오라길래 짧은 시를 썼다. 나팔바지 입던 우리 엄마가 이제는 앞치마를 입고 어쩌고저쩌고 하는 소리밖에 나오질 않았다. 끔찍했다. 다시는 시를 쓰지 않겠다고 결심했다. 사람들 앞에서 입으로 내뱉을 수 없는 소리는 절대 글로 써서는 안 된다고 다짐했다.

대통령실 총무비서관이 20년 전 쓴 시들을 보면서 그때의 다짐이 떠올랐다. 그의 ‘전동차에서’라는 제목의 시는 ‘짓궂은 사내아이들의 자유’가 ‘계집아이의 젖가슴을 밀쳐보고 엉덩이도 만져보는’ 행위라고 노래한다. 많은 사람이 성(性)추행에 대한 부적절한 표현이라 지적하고 나섰다. 나는 그렇게 구린 시를 종이책으로 내는 것은 교토기후협약 위반이라고 먼저 지적하는 것이 마땅할 것이라 생각했다.

지난 몇십 년간 그런 시는 익숙하게 봐왔다. 어느 지하철 스크린 도어에 붙어있던 ‘목련꽃 브라자’라는 시도 비슷한 이유로 한동안 웃음거리가 됐다. ‘목련꽃 목련꽃/ 예쁘단대도/ 시방 우리 선혜 앞가슴에 벙그는 목련 송이만 할까’. 어떤 유머 감각을 지닌 지하철역 아재 관리자가 이 시민 투고 시를 선정했는지는 모르겠다. 나는 이런 시들을 묶어서 ‘토속 아재 시’라고 부른다. 어머니의 젖줄 같은 강과 누이의 젖가슴 같은 능선으로 아재의 추억과 민족의 한을 노래하는 시들이다.

세상에는 아마추어가 많다. 아재가 많다. 시인이 많다. 개별적으로 그건 전혀 문제가 아니다. 문제는 아마추어 아재 시인이 너무 많다는 것이다. 이걸 방지하려면? 방법이 하나 있다. 마흔 넘은 아재가 자가 출판으로 시집 내는 행위를 법적으로 금지하는 것이다. 법을 만들 수 없다면 이 글을 읽는 여러분이 자가 검진을 해보는 것도 좋다. 뒷산을 보는데 여성의 가슴이 떠오른다면? 쓰지 마라. 당신은 시를 쓸 자격이 없다. 강을 보고 있는데 분만의 생명력이 떠오른다면? 쓰지 마라. 당신은 정말 자격이 없다. 당신의 시는 아직도 고집스레 만년필로 시를 쓰고 있는 수첩 속에 머무를 때 가장 아름답다.

****

찰지게 패네요..
마치 우베 볼보고 영화 만들지 말라고 하는 것과 비슷한 감성입니다. ㅋㅋㅋㅋ



7


억만장자
스티븐 킹도 작법서에서 비슷한 사례를 예로 든 거 봐선 만국 공통된 현상인 것 같기도 합니다..=_=
[나는 그렇게 구린 시를 종이책으로 내는 것은 교토기후협약 위반이라고 먼저 지적하는 것이 마땅할 것이라 생각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30
광기잇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나무야 미안해...
nm막장
배운분 들은 까는 것도 고상합니다
Beer Inside
도서출판 나무야 미안해
윤재순의 시가 저질인 것과 별개로 김도훈의 이 글도 굳이 써야 했을까 싶습니다. “토속 아재 시”에 대한 단편적 혐오말고 내용이 무엇이 있습니까. 관찰 대상에 대한 최소한의 이해도 하지 않고 글을 쓰는 건 틀렸습니다. 탈맥락적으로 사이다 발언하는건 언제나 멋있어 보이지만 칼럼이라는 명목으로 온갖 군데 올라간다는 걸 고려하면 트위터 가계정으로도 쓸만한 내용을 굳이 이렇게 배포하는 것은 과연 친환경적일까요?
12
두 입장 다 이해가 됩니다.
이분은 시가 아니라 칼럼도 못쓰는 걸로..?
구밀복검
'아직도 고집스레 만년필로 시를 쓰고 있는 수첩' ㅋㅋ
만년필과 수첩을 쓰는 게 문제가 아니라 그 모습을 과시하는 자기애가 문제이지요.
박원순이 난닝구를 입는 것 자체로 우스운 것이 아니라 나는 이렇게 난닝구 입으며 소탈하게 서민적으로 여름을 보내는 인덕 있는 위정자라는 자의식을 드러내는 것이 우스운 것이듯
'낮은 데로 임하소서'인 건데 그걸 위해 여체나 매매춘을 경유해야만 한다는 인습적인 태도인 거고, 이건 그에 대한 비판조차도 낡아서 반복하는 것도 겸연쩍을 지경.. 그 점에서 용주골 김성모나 나쁜 남자 김기덕이나 다를 건 없죠. 글 쓸 때마다 '시인' 타이틀 빼먹으면 안 되는 박진성도 마찬가지
15
물사조
시가 구려보인다는 건 동의하는데 [이딴 건 시가 아니니 써서는 안돼!]라는 관점에는 동의하기가 참 그렇군요.
5
집에 가는 제로스
간장종지 글볼때랑 비슷한 느낌입니다. 웃음은 났습니다만..ㅋㅋ
1
에디아빠
"들을 귀가 있는 자들은 알아들을" 얘기를 못알아듣는 자들이 넘쳐 흘러 성경으로 남았음을 떠올려보면, 굳이 찰지게 맞아서라도 윤재순의 시 같은 90년대, 많이 와야 2000년대 초반에 머문 성의식을 아직도 가지고 계시고 저 시가 문제 없다고 생각할 한국사회의 어떤 부분이 리프레쉬 되기를 바랍니다. 시를 쓰고 안쓰고가 중요한게 아니라 2022년에도 저런 생각을 아무렇지 않게 하고 있는 걸 고쳐야죠.
6
하마소
블랙넛은 고소하는 게 편하죠. 굳이 디스할 필요 없이.
물냉과비냉사이
시는 무엇이고 자격은 또 무엇이란 말입니까.
1
그르니에
표현의 자유는 정치적 올바름과 항상 대척에 있죠.
예술은 예술작품으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작품이 관객과 만남으로 예술이 완성되는 것이라는 것을 어떤 미학책에서 본 것 같은데 감상평으로써가 아니라 작품의 존재의 의의를 개인이 과연 부정할 수 있는가는 생각해봐야하지 않을까 하네요.
1
바라스비다히
고은도 시라고 써갈기는 세상인데 자격이 필요한가 싶어요
Dr.Pepper
그냥 시가 구리다는 감상 한 줄을 약간의 개그를 섞어, 주요일간지 지면에 올린 글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느낌이에요.
웃음을 줬으니 그래도 효용이 마이너스는 아니었군요
저는 사실 시가 구리다고 하는 파토스에는 동감.
하지만 글을 쓰면 안 되는 사람이 있다라고 하는 로고스에는 비동감. 정도입니다 ㅋㅋ
Dr.Pepper
그죠 저 글에서 웃음의 효용을 제하면 의미있고, 동의할 수 있는 내용은 시가 구리다 단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1
타키투스
국문학과 친구에게 듣기론 우리나라 현대문학계는 실력 그런거보다 인맥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더라구요.
그런 의미에서 작가나 비판자나 둘다 거기서 거기 아닐까요?
하지만 웹소설에 도전한다면 어떨까! (그래도 안 됨)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143 문화/예술“‘문송’ 넘어 ‘문망’? 기죽지 말고 공부하시라” 1 다군 22/08/31 2693 4
31122 문화/예술조성진, 3분 만에 '매진'‥"클래식의 미래, 한국에" 1 하트필드 22/08/29 2963 0
31102 문화/예술서울재즈쿼텟 “성성한 백발로 꿈 이뤄” Beer Inside 22/08/27 2504 1
31020 문화/예술헤어질 결심 아카데미 감독/주연/국제영화상 유력 후보 3 알료사 22/08/22 2400 0
31015 문화/예술쿠팡플레이 "'안나' 이주영 감독에 사과한 적 없다…법적 조치할 것" 7 집에 가는 제로스 22/08/22 3066 2
31001 문화/예술폭력·학대·따돌림…유명한 동화작가들의 충격적인 과거 [성수영의 그때 그 사람들] 1 swear 22/08/20 2692 6
30991 문화/예술우영우 막방날 '깜짝'…울산 앞바다에 참돌고래떼 떴다 2 Beer Inside 22/08/19 2690 1
30933 문화/예술오스카상, 50년 만에 여배우에게 사과한 까닭 3 Beer Inside 22/08/17 2524 1
30907 문화/예술중국판 탑건?…中, 스텔스기 내세워 '하늘의 왕' 제작 9 danielbard 22/08/16 2683 0
30906 문화/예술"TV 속 현빈·공유 어딨죠?" 서양 여성들, 한국 남자에 충격 왜 11 Beer Inside 22/08/16 2803 1
30656 문화/예술화제의 김민재 통역 교수 "하숙집 아줌마 수다로 한국말 배웠죠" 6 Beer Inside 22/08/02 2946 1
30598 문화/예술술 많이 마시면 늙는다.. '염색체 변화' 확인 7 체리 22/07/29 2779 0
30150 문화/예술뉴스의 틀을 깬 '너구리 습격' 취재기자 "너구리 잘못이라 쓸 수 없었다" 6 Beer Inside 22/07/02 3144 1
29950 문화/예술임윤찬 "산에서 피아노 하고만 살고 싶어…아직 배울 것 많아"(종합) 1 다군 22/06/19 2868 1
29806 문화/예술음악가 사카모토 류이치 4기 암투병…‘여명 반 년’ 담담히 밝혔다 3 swear 22/06/10 2747 1
29790 문화/예술서울대교구 "김대건 신부 유해 도난 확인"..부실 관리 사과 6 체리 22/06/09 2864 0
29770 문화/예술‘절판 시대’… 2주안에 결정되는 책의 운명 6 구밀복검 22/06/08 2692 0
29737 문화/예술"심장 멎는듯했다" 첼리스트 최하영 '퀸엘리자베스 콩쿠르' 우승(종합2보) 다군 22/06/05 2684 3
29696 문화/예술네이마르, 한국전 하루 앞두고 오른발 다쳐…"출전 불투명"(종합) 7 copin 22/06/01 2813 0
29689 문화/예술강해상, 장첸 넘었다. 범죄도시2 14일만에 700만 돌파 7 알료사 22/06/01 2983 2
29652 문화/예술양인모, 시벨리우스 바이올린 콩쿠르 우승…한국인 최초(종합) 2 다군 22/05/30 2683 0
29646 문화/예술송강호, 칸영화제 한국 최초 남우주연상…박찬욱 감독상 2 swear 22/05/29 2750 2
29632 문화/예술詩를 쓸 자격이 없는 당신 22 Profit 22/05/27 3030 7
29538 문화/예술"이사님, 다녀오겠습니다" 팬데믹이 알려준 출장의 가치 4 메리메리 22/05/19 3360 0
29536 문화/예술쫄깃한 칡국수·달콤한 감자빵.. '입맛의 구황' 책임지는 별미 3 메리메리 22/05/19 3021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