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0/04/22 23:33:17
Name   기아트윈스
Subject   너 아직도 신문 보니?
https://n.news.naver.com/article/028/0002494546

종이신문의 영압이 사라졌어...



0


토끼모자를쓴펭귄
종이를 인쇄하는 것보다 웹페이지를 만들어서 온라인으로 뉴스 보도하는 것이 자원도 절약하고 환경에도 유익하고 접근성도 뛰어납니다. 다만 눈만 더 아플뿐.. 완벽한 상위호환이니 대체될 수밖에요. - 이과생
미디어는 메시지다. -마샬 맥루언.
o happy dagger
대신에 Paywall이...
자공진
아마 지구에서 마지막까지 종이신문을 만들 나라(...)인 일본의 영화 <신문기자>에서 주인공의 기사가 1면으로 결정된 다음, 윤전기가 웅장하게 돌아가고 집집마다 신문이 배달되는 장면이 인상깊었어요. 어마어마한 자원이 들어가는 만큼의 값어치를 못하고 있는 것 같긴 하지만(나무야 미안해) 어떤 기사를 어디에 배치할지 결정하는 종이신문의 구성 자체는 중요하고 또 매력적인데 말이죠. 물론 그 구성을 언론사 웹사이트에서 할 수도 있겠지만...

... 더 보기
아마 지구에서 마지막까지 종이신문을 만들 나라(...)인 일본의 영화 <신문기자>에서 주인공의 기사가 1면으로 결정된 다음, 윤전기가 웅장하게 돌아가고 집집마다 신문이 배달되는 장면이 인상깊었어요. 어마어마한 자원이 들어가는 만큼의 값어치를 못하고 있는 것 같긴 하지만(나무야 미안해) 어떤 기사를 어디에 배치할지 결정하는 종이신문의 구성 자체는 중요하고 또 매력적인데 말이죠. 물론 그 구성을 언론사 웹사이트에서 할 수도 있겠지만...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828
[김준일: 지금처럼 포털사이트로 모든 뉴스가 유통되는 시스템 아래에서는 답이 없다고 생각한다. 선정적이고 파편화되는 방식으로 갈 수밖에 없다. 심혈을 기울인 기사에 손이 안 가는 이유는, 포털사이트 자체가 이슈를 모아놓고 진열하는, 방식 자체가 그렇게 돼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보도만의 문제가 아니다. 한국의 저널리즘 신뢰도가 가장 낮은 이유는 소비자들이 언론사 홈페이지에 들어가지 않아서다. 국제적으로 저널리즘 신뢰도와 언론사 홈페이지 이용률 간의 상관관계가 뚜렷이 나타난다. 로이터 저널리즘연구소의 발표에 따르면, 한국의 저널리즘 신뢰도가 4년 연속 꼴찌인데 한국의 언론사 홈페이지 직접 방문율도 4%로 꼴찌다. 100명 중에 96명은 네이버나 다음에서 본다는 얘기다. 핀란드가 60% 정도 된다. 이런데 무슨 신뢰관계가 생기고 좋은 기사를 찾을 수 있겠나. 이걸 깨지 않으면 똑같은 얘기가 계속 반복될 것이다.]
1
Cascade
언론사 홈페이지 들어가면 광고가 무슨 성인사이트급으로 붙어 있던 게 한세월인데 그걸 왜 소비자 탓을 하는지...
6
자공진
그 말씀도 맞는데, 외국처럼 언론사 홈페이지에서 유료로 기사를 읽는 시스템이 정착되었다면 그런 광고가 필요 없기도 했겠지요. 뭐 이제 와서 그렇게 바꾸기는 이상한 광고들을 제거하는 것보다도 훨씬 더 어렵겠지만...
월 정기구독 시스템이 소비자들에게 점점 익숙해지는만큼, 유료화는 도입에 문제 없을 것 같은데,
소비자들이 기사 퀄리티가 돈 주고 볼만큼 좋은가? 라는 신뢰도에 대한 의문을 뛰어넘는 것,
그리고 언론과 정보, 국민의 알 권리 등 공공재 성격을 가진 것을 유료화하는게 가능한가? 또 그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은 어떻게 분리할 것인가? 가 난관이 되겠군요.
Schweigen
돈주고 볼만한 가치를 이미 팽개쳤는데 시스템이 정착 되긴 어려워 보여요.
닭이냐 계란이냐 논쟁이 불필요할 만큼 텍스트 수준이 초딩 같아여.
바닐라
신문만의 갬성이 있는데...안타깝네요
신문만의 감성이 있죠. 한때 문장을 쓰는걸 업으로 할때는 신입들한테 신문을 읽으라고 했습니다. 사기 아까우면 지하철 입구 무가지라도 출근길에 읽으라고. [취향을 타겠지만]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완성도 높은 문장을 접할 수 있는 저렴한 매체는 신문밖에 없다고 생각하거든요. 그 수준의 문장을 매일 접하면 자기가 작성하는 문장도 자연스레 완성도가 높아지게 되니까요.. 모바일 신문. 편하죠.. 대신 보는 페이지만 보게 됩니다. 종이신문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을때 사회 경제 연예 등의 분야를 고루 읽게 되는게 아니니까요..
알료사
신문갬성 분명 있죠 ㅎ
DX루카포드
관심이 없는 기사도 한번쯤 읽게되는게 종이신문의 강점이죠. 모바일 신문은 확증편향 유도가 심하고..
그런데 내용은 둘째치고 신문기사 문장력 수준이 점점 낮아져서.. 악순환되고 있죠.
2
Dr.Pepper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꼭 언론사가 독자적으로 구독모델을 구축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이뤄지고 있는 전자책 구독 서비스나 기타 다른 구독 서비스와 결합해서 제공하고 그 제휴 수수료를 받는 형태로 구성한다면 분명 자생력이 생길테고 그게 잘된다면 독자적 생태계 구축도 시도해볼 수 있겠죠.

사실 제일 큰 문제는 변화한 시대에 비해 언론사들의 콧대가 여전히 높은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아트윈스
수십년간 원청이었는데 오늘부터 하청하라고 하면 누구나 달갑지 않겠지요... 이해는 합니다.
Dr.Pepper
포털에 기사 제공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하는데 그건 제 생각일 뿐이니..
신문지는 고기구울때 튀김할때 최고지유
업장에서 지역신문을 구독중인데 주된 용도는 바닥 및 창문청소ㅠ 일주일에 한번씩 지역인사와 지역식당을 가는 꼭지가 있는데, 아는집도 지면 기사랑 사진이랑 보고 있으면 왠지 세상 다시없을 맛집으로 느껴지는 힘이 있어요!! 블로거나 인스타와는 또다른 갬성이라 자꾸 퇴근하고 가게됨ㅋㅋ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0065 문화/예술[魚友야담] 미쉐린 맛집의 선언, '모두 셀프' 4 맥주만땅 20/05/03 5308 0
20061 문화/예술日에서 온 '라노벨' 10대가 탐독해도 괜찮을까 46 이그나티우스 20/05/02 6864 4
19950 문화/예술피아니스트 조성진, 26일 온라인 공연 연다 5 ebling mis 20/04/24 3609 2
19920 문화/예술너 아직도 신문 보니? 17 기아트윈스 20/04/22 4667 0
19817 문화/예술자화자찬의 기술 ... 이겼다고 도 넘지 말자. 13 기아트윈스 20/04/16 4212 17
19686 문화/예술진보 지식인 강준만 “조국 감싼 문 대통령, 최소한의 상도덕도 안 지켰다” 14 강백호덩크 20/04/08 4833 0
19667 문화/예술강남 최대 유흥업소 뚫렸다…확진자 9시간 근무 26 步いても步いても 20/04/07 4802 0
19229 문화/예술조선일보 100년 맞아 "과거 오류 사과드린다" 10 The xian 20/03/12 3602 3
19197 문화/예술조선일보가 대형 오보를 처리하는 방법 9 The xian 20/03/11 3698 9
19096 문화/예술"일제에 2등 신민으로 몰린 소년시절.. 조선일보 보며 나라 잃은 아픔 읽어" 7 The xian 20/03/06 4315 3
19091 문화/예술[양상훈 칼럼] '事實'만을 붙들고 독자 여러분 곁을 지키겠습니다 4 The xian 20/03/05 3711 0
19076 문화/예술기자협회 "코로나19 관련 공포 유발·자극 보도 자제" 6 The xian 20/03/04 4312 3
19020 문화/예술청하 자가격리→‘하바마’ 촬영재개, 연예계 코로나19 후폭풍 토끼모자를쓴펭귄 20/03/01 3375 0
19012 문화/예술홍상수 베를린영화제 감독상 수상 3 구밀복검 20/03/01 4238 2
19002 문화/예술[김영민칼럼] 사회로부터의 도피, 책에 취하기 1 기아트윈스 20/02/29 4002 7
18982 문화/예술신천지 "마녀사냥 극에 달해..우린 코로나 만들지 않았다" 7 The xian 20/02/28 3598 3
18960 문화/예술국내 최대 규모 여의도순복음교회 주일 예배 중단 결정 1 알겠슘돠 20/02/28 2757 0
18937 문화/예술北 "전광훈, 코로나 확산시키지 말고 무덤 속에 처박히라" 8 알겠슘돠 20/02/27 4262 0
18835 문화/예술조선 후기 일기장에서 발견한 리얼돌 6 기아트윈스 20/02/24 3182 1
18821 문화/예술신천지 "국민에 심려 끼쳐 유감..조기 종식 위해 보건당국에 적극 협조" 19 The xian 20/02/23 4512 4
18813 문화/예술"자기 목소리 변조해 인터뷰"..징계먹은 기상천외 방송사고 The xian 20/02/23 3243 1
18795 문화/예술신천지, 24일 서울서 기자회견..이만희 교주는 불참 3 The xian 20/02/22 3183 2
18785 문화/예술'경주타워' 표절 공방 12년…건축가 숨진 지 9년 만에 현판식 Cascade 20/02/22 3244 2
18624 문화/예술진중권 "봉준호, 블랙리스트 올리더니.. 한국당 얼굴 두껍다" 8 미스터주 20/02/13 3788 6
18609 문화/예술" '기생충' 감독 배우 무대에 이미경 소감? 한국영화 단면 보여줘" 14 BLACK 20/02/12 4581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