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아마 지구에서 마지막까지 종이신문을 만들 나라(...)인 일본의 영화 <신문기자>에서 주인공의 기사가 1면으로 결정된 다음, 윤전기가 웅장하게 돌아가고 집집마다 신문이 배달되는 장면이 인상깊었어요. 어마어마한 자원이 들어가는 만큼의 값어치를 못하고 있는 것 같긴 하지만(나무야 미안해) 어떤 기사를 어디에 배치할지 결정하는 종이신문의 구성 자체는 중요하고 또 매력적인데 말이죠. 물론 그 구성을 언론사 웹사이트에서 할 수도 있겠지만...
... 더 보기
... 더 보기
아마 지구에서 마지막까지 종이신문을 만들 나라(...)인 일본의 영화 <신문기자>에서 주인공의 기사가 1면으로 결정된 다음, 윤전기가 웅장하게 돌아가고 집집마다 신문이 배달되는 장면이 인상깊었어요. 어마어마한 자원이 들어가는 만큼의 값어치를 못하고 있는 것 같긴 하지만(나무야 미안해) 어떤 기사를 어디에 배치할지 결정하는 종이신문의 구성 자체는 중요하고 또 매력적인데 말이죠. 물론 그 구성을 언론사 웹사이트에서 할 수도 있겠지만...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828
[김준일: 지금처럼 포털사이트로 모든 뉴스가 유통되는 시스템 아래에서는 답이 없다고 생각한다. 선정적이고 파편화되는 방식으로 갈 수밖에 없다. 심혈을 기울인 기사에 손이 안 가는 이유는, 포털사이트 자체가 이슈를 모아놓고 진열하는, 방식 자체가 그렇게 돼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보도만의 문제가 아니다. 한국의 저널리즘 신뢰도가 가장 낮은 이유는 소비자들이 언론사 홈페이지에 들어가지 않아서다. 국제적으로 저널리즘 신뢰도와 언론사 홈페이지 이용률 간의 상관관계가 뚜렷이 나타난다. 로이터 저널리즘연구소의 발표에 따르면, 한국의 저널리즘 신뢰도가 4년 연속 꼴찌인데 한국의 언론사 홈페이지 직접 방문율도 4%로 꼴찌다. 100명 중에 96명은 네이버나 다음에서 본다는 얘기다. 핀란드가 60% 정도 된다. 이런데 무슨 신뢰관계가 생기고 좋은 기사를 찾을 수 있겠나. 이걸 깨지 않으면 똑같은 얘기가 계속 반복될 것이다.]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828
[김준일: 지금처럼 포털사이트로 모든 뉴스가 유통되는 시스템 아래에서는 답이 없다고 생각한다. 선정적이고 파편화되는 방식으로 갈 수밖에 없다. 심혈을 기울인 기사에 손이 안 가는 이유는, 포털사이트 자체가 이슈를 모아놓고 진열하는, 방식 자체가 그렇게 돼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보도만의 문제가 아니다. 한국의 저널리즘 신뢰도가 가장 낮은 이유는 소비자들이 언론사 홈페이지에 들어가지 않아서다. 국제적으로 저널리즘 신뢰도와 언론사 홈페이지 이용률 간의 상관관계가 뚜렷이 나타난다. 로이터 저널리즘연구소의 발표에 따르면, 한국의 저널리즘 신뢰도가 4년 연속 꼴찌인데 한국의 언론사 홈페이지 직접 방문율도 4%로 꼴찌다. 100명 중에 96명은 네이버나 다음에서 본다는 얘기다. 핀란드가 60% 정도 된다. 이런데 무슨 신뢰관계가 생기고 좋은 기사를 찾을 수 있겠나. 이걸 깨지 않으면 똑같은 얘기가 계속 반복될 것이다.]
관심이 없는 기사도 한번쯤 읽게되는게 종이신문의 강점이죠. 모바일 신문은 확증편향 유도가 심하고..
그런데 내용은 둘째치고 신문기사 문장력 수준이 점점 낮아져서.. 악순환되고 있죠.
그런데 내용은 둘째치고 신문기사 문장력 수준이 점점 낮아져서.. 악순환되고 있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