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0/03/23 11:39:33 |
Name | 기아트윈스 |
Subject | 확산세 꺾이지 않았다 |
https://news.joins.com/article/23736100 https://news.joins.com/article/23735577 1256년, 이븐 칼리탄은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썼습니다. 어떤 왕이 체스판을 사고 싶어서 판매자에게 가격을 물어봤습니다. 판매자는 [얼마까지 알아보셨나요? 온라인 가격으로 안팝니다]라고 말했어요. 왕이 재차 가격을 물어보자 판매자는 [첫째 날에 체스판 첫 칸에 밀 한 알, 둘째 날에 두 번째 칸에 밀 두 알, 그 다음 날엔 네 알, 그 다음 날엔 여덟 알, 이렇게해서 모두 64칸의 체스칸에 밀알을 채워주시면 됩니다]라고 답했습니다. 왕은 뛸 듯이 기뻐하며 바로 사겠다고 했지요. 밀ㅋㅋㅋㅋ한 알?ㅋㅋㅋㅋ한 포대여도 살 마당에 한 알?ㅋㅋㅋㅋㅋㅋ 물론 그 왕국은 체스판을 절반도 채우기 전에 거덜났습니다. 또 다른 이야기로 뱀파이어 불가능성 논증이란 게 있습니다. 뱀파이어가 1주일에 한 사람 정도는 모가지를 칵 깨물어서 피를 빨아야 한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리고 희생자는 불행하게도 똑같이 뱀파이어가 되어버리지요. 첫 번째 뱀파이어가 첫 번째 식사를 시작한 후로 31주정도만 지나면 지구상에 인간은 하나도 남지 않게 됩니다. 모두가 벰파이어가 되어서 자기들끼리 이빨 꼽다가 멸 to the 망 ;ㅅ; 저는 유수 언론사에서 일하는 기자분들이 '확산세'라는 말의 의미를 모르는 게 우리나라 국어교육이 잘못되어서인지 수학교육이 잘못되어서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둘 다인가? 2
이 게시판에 등록된 기아트윈스님의 최근 게시물
|
독일의 천체 물리학자가 로그스케일로 각국의 확진자수를 그린거예요. 한국은 이제 더 안그리는데 변화가 없어서예요. 아래 링크에 가시면 더 볼 수 있어요.
https://twitter.com/burkert_andreas
저는 아직 확산세 꺽였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몇 주 전 시행했던 적극적임 조치들이 이제 빛을 보는 것이지요. 최근의 해이해짐의 영향은 2~3주 뒤 반영이 될 것입니다. 과연 저는 그때도 무사할 것인가...
저도 '확산세 증가'라는 말이 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확진자 그래프가
1) 2차함수 이상으로 증가해야 확산세가 +인건지
2) 미분했을때 1보다 크면 확산세가 +인건지
3) 미분했을때 0보다 크면 확산세가 +인건지요.
이론적으로야 exp하게 증가하고 세상은 멸망하겠지만 그건 연구실에서나 하는거고, 현실은 공간과 시간, 테스트조건 등등으로 리얼 exp하게 나오긴 어려우니까요.
개인적으로는 수도권의 확진자 증가 추이가 줄어드는것 같지 않아서 일단 두렵습니다.
1) 2차함수 이상으로 증가해야 확산세가 +인건지
2) 미분했을때 1보다 크면 확산세가 +인건지
3) 미분했을때 0보다 크면 확산세가 +인건지요.
이론적으로야 exp하게 증가하고 세상은 멸망하겠지만 그건 연구실에서나 하는거고, 현실은 공간과 시간, 테스트조건 등등으로 리얼 exp하게 나오긴 어려우니까요.
개인적으로는 수도권의 확진자 증가 추이가 줄어드는것 같지 않아서 일단 두렵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