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머가 아닌 펌글, 영상 등 가볍게 볼 수 있는 글들도 게시가 가능합니다.
- 여러 회원들이 함께 사용하기 위해 각 회원당 하루 5개로 횟수제한이 있습니다.
- 특정인 비방성 자료는 삼가주십시오.
Date | 17/04/25 09:52:41 |
Name | Dr.Pepper |
File #1 | 1493073773_1.jpg (603.1 KB), Download : 2 |
Subject | 일 잘하고 근태가 나쁜 A vs 일은 못하고 성실한 B |
개인적으로 B에게 성실하다고 붙일 수 있는지도 의문이지만, 일하고 그 성과를 발휘하는게 목적인 회사에서 A의 근태를 문제삼는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사회생활을 잘 못 한건지... 옆동네에선 A의 근태가 문제가 많다는 댓글들이 많아서 홍차넷에서도 한 번 의견 들어보고 싶어서 가져왔습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Dr.Pepper님의 최근 게시물 |
어렵죠. 음.. 좀 더 구체적으로 겪지않으면 결정하기 어려운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어떤 회사고 어떤 거래를 하는 곳이냐에 따라서 결정도 다를 것 같아요.
가령 창의적이고 새로운 프로젝트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임기응변과 개별권한이 많이 필요한 업무가 중심인 회사라면 A를, 반면에 기존에 있는 업무에 대한 관리, 유지 및 보수, 기존 거래처 관리,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업무에 대한 성실한 응대와 규칙적이고 꼼꼼한 일들이 필요한 업무가 중심인 회사라면 B를 진급시키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어떤 회사의 어떤 업무냐에 따라 A와 B에 대한 판단 잣대도 달라질 것 같아요.
가령 창의적이고 새로운 프로젝트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임기응변과 개별권한이 많이 필요한 업무가 중심인 회사라면 A를, 반면에 기존에 있는 업무에 대한 관리, 유지 및 보수, 기존 거래처 관리,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업무에 대한 성실한 응대와 규칙적이고 꼼꼼한 일들이 필요한 업무가 중심인 회사라면 B를 진급시키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어떤 회사의 어떤 업무냐에 따라 A와 B에 대한 판단 잣대도 달라질 것 같아요.
여기도 올라왔네요.
정확히 회사가 어떤 업무를 어떤 식으로 분장하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정규직을 굴릴만한 회사라면 업무 내용이 표준화 되어 있고 오성 차이에 따라 습득 기간에는 차이가 있겠다만 결국은 표준에 수렴하게 된다고 봅니다. 때문에 결국 다들 업무를 숙지하고 나면 산출은 근태와 근무기간에 따라 나오게 되고 대부분의 회사에서 근태관리를 중요시하고 무엇보다 성실성을 최고의 덕목으로 삼는 거겠죠.
단적으로 말해서, 업무환경이 계속 급변하는 IT같은 직군이 아니고 A나 B가 엄청난 아웃라이어가 아닌 이상 A가 2년차이... 더 보기
정확히 회사가 어떤 업무를 어떤 식으로 분장하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정규직을 굴릴만한 회사라면 업무 내용이 표준화 되어 있고 오성 차이에 따라 습득 기간에는 차이가 있겠다만 결국은 표준에 수렴하게 된다고 봅니다. 때문에 결국 다들 업무를 숙지하고 나면 산출은 근태와 근무기간에 따라 나오게 되고 대부분의 회사에서 근태관리를 중요시하고 무엇보다 성실성을 최고의 덕목으로 삼는 거겠죠.
단적으로 말해서, 업무환경이 계속 급변하는 IT같은 직군이 아니고 A나 B가 엄청난 아웃라이어가 아닌 이상 A가 2년차이... 더 보기
여기도 올라왔네요.
정확히 회사가 어떤 업무를 어떤 식으로 분장하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정규직을 굴릴만한 회사라면 업무 내용이 표준화 되어 있고 오성 차이에 따라 습득 기간에는 차이가 있겠다만 결국은 표준에 수렴하게 된다고 봅니다. 때문에 결국 다들 업무를 숙지하고 나면 산출은 근태와 근무기간에 따라 나오게 되고 대부분의 회사에서 근태관리를 중요시하고 무엇보다 성실성을 최고의 덕목으로 삼는 거겠죠.
단적으로 말해서, 업무환경이 계속 급변하는 IT같은 직군이 아니고 A나 B가 엄청난 아웃라이어가 아닌 이상 A가 2년차이고 B가 4년차인데 B가 A보다 엄청나게 무능해 보일지라도 그건 개인 능력의 차가 아닌 업무분장의 차가 아닐까 합니다. 예를 들어 10개의 거래처가 있다면 회사는 이를 가능한 균등하게 5:5로 나누어 A에게 5개, B에게 5개 하는 식으로 맞추어 주었다고 생각하고 그 이후로 나오는 결과는 개인의 능력에 따른 퍼포먼스의 차라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 어렵거나 load가 많은 업무는 B에게 몰려 있을 수 있고 외부에는 A는 널널한데 B는 허덕이는 것으로 보이겠지요. 이럴 경우 B의 업무를 A에게 맞겨 보면 A역시 허덕이게 될 겁니다. 간단히 말해서 A는 운이 좋았을 뿐이에요.
만약 이러한 상황이었는데, 언급된 경우와 같이 A가 승진, B가 퇴사한 경우라면 A에게는 쓸데없는 자만과 불공정한 기회를 제공하게 되었고, 성실한 B에게는 지울수 없는 상처를 남겼으며, 4년간 지각하나 없이 성실하게 일해온 사원을 퇴사시킴으로써 회사에 돌이킬 수 없는 손해를 끼치게 됩니다.
만약 A와 B의 퍼포먼스 차이가 어디에 기인한 것인지 정확하게 파악하지도 못한 채 이런 결과를 초래하였다면, 글쓴이는 타인의 능력을 평가하기보다 자신이 무능하지 않았는지부터 돌아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정확히 회사가 어떤 업무를 어떤 식으로 분장하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정규직을 굴릴만한 회사라면 업무 내용이 표준화 되어 있고 오성 차이에 따라 습득 기간에는 차이가 있겠다만 결국은 표준에 수렴하게 된다고 봅니다. 때문에 결국 다들 업무를 숙지하고 나면 산출은 근태와 근무기간에 따라 나오게 되고 대부분의 회사에서 근태관리를 중요시하고 무엇보다 성실성을 최고의 덕목으로 삼는 거겠죠.
단적으로 말해서, 업무환경이 계속 급변하는 IT같은 직군이 아니고 A나 B가 엄청난 아웃라이어가 아닌 이상 A가 2년차이고 B가 4년차인데 B가 A보다 엄청나게 무능해 보일지라도 그건 개인 능력의 차가 아닌 업무분장의 차가 아닐까 합니다. 예를 들어 10개의 거래처가 있다면 회사는 이를 가능한 균등하게 5:5로 나누어 A에게 5개, B에게 5개 하는 식으로 맞추어 주었다고 생각하고 그 이후로 나오는 결과는 개인의 능력에 따른 퍼포먼스의 차라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 어렵거나 load가 많은 업무는 B에게 몰려 있을 수 있고 외부에는 A는 널널한데 B는 허덕이는 것으로 보이겠지요. 이럴 경우 B의 업무를 A에게 맞겨 보면 A역시 허덕이게 될 겁니다. 간단히 말해서 A는 운이 좋았을 뿐이에요.
만약 이러한 상황이었는데, 언급된 경우와 같이 A가 승진, B가 퇴사한 경우라면 A에게는 쓸데없는 자만과 불공정한 기회를 제공하게 되었고, 성실한 B에게는 지울수 없는 상처를 남겼으며, 4년간 지각하나 없이 성실하게 일해온 사원을 퇴사시킴으로써 회사에 돌이킬 수 없는 손해를 끼치게 됩니다.
만약 A와 B의 퍼포먼스 차이가 어디에 기인한 것인지 정확하게 파악하지도 못한 채 이런 결과를 초래하였다면, 글쓴이는 타인의 능력을 평가하기보다 자신이 무능하지 않았는지부터 돌아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