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9/11/07 11:56:14 |
Name | 알겠슘돠 |
Link #1 | https://twitter.com/BBCNewsKorea_u/status/1192267639462223873 |
Subject | 수도권 통근시간은 왜 길어지기만 할까? |
https://www.bbc.com/korean/media-50314910 서울시계만 건너가면 반토막이 되버리는 배차간격도 있고... 복선으로 바꾼 것으로 늘릴수 있는 공급 가능한 것에 꽉 끼워서 맞추다보니 밀려나는 것도 있겠지요. (특히 예시로 나온 경의중앙선... 경의중앙선 전철이 우선권 가장 바닥이라는 것이...)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알겠슘돠님의 최근 게시물
|
[그러다 의외의 통계 자료를 만났다. 교통 체증 이야기를 하지만 여전히 승용차를 이용하는 게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보다 출근 시간이 더 짧다는 것이었다.
무엇이 문제일까?]
기사에 나온 이 문제의식은 조금 잘못된게 아닐까 싶기도 하네요.
승용차로 출근하는것보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게 더 빠르려면, 교통체증이 늘어야 합니다.
무엇이 문제일까?]
기사에 나온 이 문제의식은 조금 잘못된게 아닐까 싶기도 하네요.
승용차로 출근하는것보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게 더 빠르려면, 교통체증이 늘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교통 인프라가 충분히 확충되지 않은 상태에서 아파트부터 올라갔고, 최근에는 "서울=>서울 외 수도권" 인구 유출이 많았고, 서울 외 수도권 아파트 단지들, 거주자가 늘어나니 자연스럽게 출근 시간도 늘어나고, 아직 승용차 출퇴근이 대중교통 대비 빠른 지역이 많은 것 아닌가 싶습니다.
물론 기본적으로 환승 소요 시간 문제라든지 급행의 부재/부족, 배차 간격도 문제가 되겠죠.
지금도 지하철 등은 "연장"을 요청하는 지자체들이 있죠.
현재 GTX-D까지 얘기가 나오고 있지만, GTX도 언제나 제대로 ... 더 보기
물론 기본적으로 환승 소요 시간 문제라든지 급행의 부재/부족, 배차 간격도 문제가 되겠죠.
지금도 지하철 등은 "연장"을 요청하는 지자체들이 있죠.
현재 GTX-D까지 얘기가 나오고 있지만, GTX도 언제나 제대로 ... 더 보기
기본적으로 교통 인프라가 충분히 확충되지 않은 상태에서 아파트부터 올라갔고, 최근에는 "서울=>서울 외 수도권" 인구 유출이 많았고, 서울 외 수도권 아파트 단지들, 거주자가 늘어나니 자연스럽게 출근 시간도 늘어나고, 아직 승용차 출퇴근이 대중교통 대비 빠른 지역이 많은 것 아닌가 싶습니다.
물론 기본적으로 환승 소요 시간 문제라든지 급행의 부재/부족, 배차 간격도 문제가 되겠죠.
지금도 지하철 등은 "연장"을 요청하는 지자체들이 있죠.
현재 GTX-D까지 얘기가 나오고 있지만, GTX도 언제나 제대로 다 만들어져 기능할지는 미지수인 것 같습니다.
한편으로, 정차역 건너뛰기(?) 패턴을 조합해 추가 선로없이 급행 효과를 내는 방식도 연구를 하는 것 같습니다. 다만, 이건 타는 사람이 헷갈릴 것 같더군요.
물론 기본적으로 환승 소요 시간 문제라든지 급행의 부재/부족, 배차 간격도 문제가 되겠죠.
지금도 지하철 등은 "연장"을 요청하는 지자체들이 있죠.
현재 GTX-D까지 얘기가 나오고 있지만, GTX도 언제나 제대로 다 만들어져 기능할지는 미지수인 것 같습니다.
한편으로, 정차역 건너뛰기(?) 패턴을 조합해 추가 선로없이 급행 효과를 내는 방식도 연구를 하는 것 같습니다. 다만, 이건 타는 사람이 헷갈릴 것 같더군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