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5/30 23:04:35
Name   Yato_Kagura
Subject   혹시 친구가 단 한명도 없는 분 계신가요?
어린시절부터 이사를 많이 다녔습니다. 중학교3학년때까지 사는곳을 3번 옮겼죠.
그리고 중학교를 졸업하고 자의반 타의반으로 유학을 갔습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했구요.
고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그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대학교에 입학했습니다.
그리고 5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한국에 돌아와보니 정말 '친구'라고 할수 있는 사람이 하나도 남아있지 않더군요.

초등학교때 친구들은 초5때 이사하면서 다 연락이 끊겼고, 중학교때 친구들은 중국가면서 연락이 끊겼고, 고등학교때 말배우면서 겨우겨우 알게된  친구들도 대학교 들어가고나니 연락할 방법이 없어지고.. 대학교에서 사귄 친구들도 졸업하고나니 다들 흩어지고 저도 한국에 와버리니 연락이 힘들더군요. 아니 애초에 유학시절에 알았던 친구들과는 '외국인'이라는 장벽을 넘기가 너무 어려웠기도 했죠. 언어적 장벽이 아니라 그냥 제가 그 집단에 속해서 아무리 이해하려고 해도 이해하기 어려운 그들만의 정서가 있었다고나 할까요.

거기다가 대학 졸업하고 현재 직장생활을 하고있는데 이곳에서도 친구를 사귀기 힘든 형편입니다. 회사에 제 또래가 없거든요. 저는 올해 25살인데 저를 제외하면 회사에서 제일 어린 분이 41세 과장님이라..

최근에는 친구를 만드려고 인터넷에서 하는 스터디 모임에도 참가해봤는데, 이미 형성된 그룹에 새로운 사람이 끼어들어가는것이 거의 불가능하더라고요. 결국 두달정도 다니다가 못버티고 그만뒀죠.

상황이 이렇게까지 되다보니 이제는 이렇게 친구 하나 없이 평생 살아야 되나.. 이런 생각이 드네요. 앞으로 나이가 더 먹으면 먹을수록 친구 사귀는건 더더욱 힘들어질텐데 말이죠.



0


    천무덕
    살면서 친구관계가 유지되는 경우는 많지 않아요. 사귀고 헤어지고 다시 사귀고 하는거죠.
    저는 카구라님처럼 많이 이사다닌것도 아니었지만 현재 연락하는 친구는 둘밖에 없네요. 것도 한달에 서너번 연락할까말까.. 다들 사는게 버겁다보니까 연락도 뜸해지고 그렇게 되더라구요.
    어차피 세상은 혼자 사는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커뮤니티 생활이 중요하게 된 거죠. 온라인으로라도 소통이 가능하잖아요?
    많은 활동 하시다보면 지금 느끼는 외로움이 많이 줄어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전 사이버대학을 다니는데요. 나이가 비슷해야... 더 보기
    살면서 친구관계가 유지되는 경우는 많지 않아요. 사귀고 헤어지고 다시 사귀고 하는거죠.
    저는 카구라님처럼 많이 이사다닌것도 아니었지만 현재 연락하는 친구는 둘밖에 없네요. 것도 한달에 서너번 연락할까말까.. 다들 사는게 버겁다보니까 연락도 뜸해지고 그렇게 되더라구요.
    어차피 세상은 혼자 사는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커뮤니티 생활이 중요하게 된 거죠. 온라인으로라도 소통이 가능하잖아요?
    많은 활동 하시다보면 지금 느끼는 외로움이 많이 줄어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전 사이버대학을 다니는데요. 나이가 비슷해야만 친구가 될 수 있는건 아니더라구요. 아무래도 사이버대학 교육과정상 연세 있으신 분들이 많은데 전 서른밖에 안됐거든요. 그래도 뭐 엠티나 이런데 가면 잘 어울리고 있습니다. 나이차이는 별거 아니더라구요. 가치관이 얼마나 비슷한지가 중요한듯 해요.
    Yato_Kagura
    나이가 비슷해아만 친구가 될수 있는게 아니라는건 저도 잘알지만, 가치관이 비슷한 사람을 찾는것이 너무 힘드네요.
    천무덕
    쉽지 않죠. 평생에 있어서 진실한 친구 하나만 있어도 인생 성공했다는 말도 있는걸요.
    하지만 잘 찾아보시면 자신의 생활반경에 마음맞는 사람 하나정도는 있을겁니다. 발견하지 못했을 뿐일거예요. 금방 찾길 바랍니다.
    Yato_Kagura
    감사합니다.
    양지원
    스터디보단 지역에 있는 동호회에 가입해보시는 건 어떤가요?
    딱히 등산이나 사진, 운전 같은 취미 맞는 사람이 모이는게 아니라 그냥 모여서 같이 밥먹고 술먹는 것만을 목표로 하는 동호회도 나이대, 지역별로 많습니다. 그냥 보면 대놓고 이성관계 노리는 동호회 아닌가 싶어보이지만 오히려 이런 동호회가 더 그런 일이 드문가보더군요.
    그런 부분은 악기연주, 춤, 운동 관련 동호회가 더하고.. 제 친구들 몇 명도 이성관계 노리고 들어갔다가 다른 남자회원들이랑 형님, 동생, 친구 하면서 잘지내고 있습니다. 물론 솔로 탈출은 실패..
    ... 더 보기
    스터디보단 지역에 있는 동호회에 가입해보시는 건 어떤가요?
    딱히 등산이나 사진, 운전 같은 취미 맞는 사람이 모이는게 아니라 그냥 모여서 같이 밥먹고 술먹는 것만을 목표로 하는 동호회도 나이대, 지역별로 많습니다. 그냥 보면 대놓고 이성관계 노리는 동호회 아닌가 싶어보이지만 오히려 이런 동호회가 더 그런 일이 드문가보더군요.
    그런 부분은 악기연주, 춤, 운동 관련 동호회가 더하고.. 제 친구들 몇 명도 이성관계 노리고 들어갔다가 다른 남자회원들이랑 형님, 동생, 친구 하면서 잘지내고 있습니다. 물론 솔로 탈출은 실패..
    이런 류의 동호회에서 25세 나이면 충분히 잘 녹아 들어갈 수 있을 나이라고 봅니다. 물론 오래 알고 지낸 친구처럼 깊은 맛은 없을 수 있지만 현 상황보다는 나을 것 같은데 한번 시도는 해보시는게 어떨까요?
    Yato_Kagura
    지역 동호회같은데는 보통 지인소개로 들어가지않나요?? 저같은경우는 한국에 가족말고는 아예 연고가 없는 상황이라서.. 인터넷 검색을 해봐도 지역동호회같은건 나오지 않던데
    양지원
    그런가요? 동호회 불모지인 울산에서도 네이버 카페에서 검색하면 적지 않게 나오는데..
    같이 한 시간이 많으면 자연히 친해지던데... 혹시 군대를 안가신건가요? 뭐 군대도 사람나름이라 전혀 연락 안하는 사람도 있지만 대부분 선후임 한 두명이랑은 친해져서 나오거든요. 진짜 중고등학생때 생긴 친구처럼은 힘들겠지만 동호회나 모임 나가시는게 좋습니다. 특히 운동이나 취미 동호회는 금방친해져요.
    Yato_Kagura
    같이 한 시간이 많으면 자연히 친해지는데 본문에도 적었다싶이 그 같이 한 시간이 많은 사람이 거의 없어서.. 그나마 개중에서도 제가 호감을 가졌던 사람들한테는 어떻게든 관계를 유지해보려고 노력했는데 저 혼자만의 노력으로는 불가능한 일이더라고요.
    그렇군요. 인간관계가 나 혼자 잘하려고 한다고 쉽게 되지 않는다는건 맞는 말입니다. 그럼 굳이 친구를 만드려고 하실게 아니라 애인을 사귀는것도 나쁘지 않아요. 그게 쉽고 안쉽고를 떠나서 같이 놀고 먹고 어디 가고 싶으면 같이 가고. 그걸 가장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사람이 애인이니까요.
    Yato_Kagura
    친구도 없는데 애인을 어디서 어떻게 크크
    아저씨
    어릴때 자라면서 친해진 친구와 사회에서 만난 친구는 아무래도 차이가 좀 있더군요.
    제일좋은건 운동 동호회라고 생각합니다.
    남자들은 같이 뽈차고 께임하고 술한잔이 최고인것같습니다.
    Yato_Kagura
    보통 동호회는 지인소개로 들어가지않나요 ㅠㅠ
    아저씨
    카페같은거 개설되있을텐데요 흐흐.
    Yato_Kagura
    그렇게 들어간 곳에서 한번 실패를 경험하고 나니 다시 도전하는게 겁이나서 그런것 같습니다.. 또 제가 잘하거나 좋아하는 것들은 남들과 공유하기 힘든것들이기도 하고요..
    비싼치킨
    초중고 다니면서 학교마다 절친 한두명씩은 사귀었고 아직까지 연락하지만...
    매일매일 시덥잖은 농담 주고받고 단톡방 만들어서 낄낄대고 웃는 사람들은 다 사회친구들입니다
    자주 마주쳐야 할 이야기거리도 많고 공감대도 많이 형성되서 재밌더라구요
    아직 친구 사귈 기회 많아요
    친구 없다고 생각하지 마시고 지금부터 만날 친구들을 소중히 여겨야지 생각하시는 게 더 나으실 거 같아요
    Yato_Kagura
    앞으로 만날 친구들을 소중히 여길수 있을지..그것이 걱정이라서요.

    학교생활 및 사회생활을 하면서 상대에 대한 이해 및 존중의 필요성을 깨달은 뒤로 상대방을 존중하는것과 상대방과 거리를 두는것, 이 두가지를 구분하기가 너무 힘이 듭니다.
    드레이크
    스무번 가까이 이사했습니다. 당연히 친구는 남지 않았습니다. 글쓴 분보다 아주 약간 많은 나이인데, 올해 처음 동아리에 들어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대부분 외롭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연락할 사람이 있다는 것, 가끔 연락 오는 사람이 있다는 것은 위로가 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본인의 태도입니다. 비슷한 성격의 동호회에서 4년 전 쯤 아무것도 하지 못했던 기억을 하며, 이번엔 의욕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저도 제대로 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먼저 다가가길 권해드립니다.
    Yato_Kagura
    본문에도 적었듯이, 먼저 다가가는것이 쉽지가 않네요..아예 모두 처음 만나는 상황이라면 또 모를까, 이미 형성되어있는 그룹에 지인소개로 온것도 아닌 사람이 끼어들어가는건 거의 불가능하다고 느껴져서요..
    저는 학부 졸업하고 나가서..한국 가면 대학때 같이 술독에 빠져산 친구들이 있긴 한데..
    결국 같이 접할일이 없으니 어느정도 거리감이 생기는건 어쩔수 없더군요.

    그런데 저는 친구건 연락할 사람이건 뭐 말할 상대건 결국 필요할 때 즈음에 생기는 경험을 자주해서, 혼자라도 딱히 외롭다고 느낀적은 별로 없어요. 할것도 많고 읽을것도 많고.. 그러다 세미나 같은델 가거나 그러다가 사람 만나서 인연 생기고, 흩어지고의 반복..

    그런데...아마 다들 비슷하지 않을까 싶어요. 결혼해도 외롭다잖아요.
    Yato_Kagura
    운도 좋고 멘탈도 좋으시네요 부럽습니다 ㅠㅠ
    저도 딱히.. 중고등시절 친구은 이제 1명 남았어요.

    저도 정말 심심하면 모임 같은데 갈때가 있는데.. 진짜건 아니건 상대방에게 마음을 열고 진심으로 대한다는 느낌을 주는게 중요한거 같아요. 그럼에도 잘 안되는 상대방은 그냥 거기까지라고 흘려버리는 마음도 중요..할지도 모르겠어요.
    저도 이사를 정말로 많이 다녔네요. 학교의 경우도 여러번 옮기고 검정고시도 보고 복잡합니다;
    요새는 페이스북이나 그런 게 잘되어 있어서 친구 다시 만나는게 편하기는 하더군요.
    솔직히 제 성격상 친구들에게 자주 연락을 하는 편은 아니지만 가끔씩 연락을 하고 만나면 다시 점점 친해지더군요.
    오랜만에 만나서 뻘쭘할 것 같은데 의외로 옛이야기하고 보면 학창시절로 돌아가는 느낌도 들고 그렇습니다.
    약간 두서가 없는 댓글이기는 한데, 한번 옛친구를 찾아서 연락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간관계는 개인의 노력이 들어가는 부분이 많지 않나 싶네요. 일단 연락해보세요. 행동이 중요해요 ㅜ
    Yato_Kagura
    그래서 저도 페이스북에서 옛날에 만났던 애들이라도 찾아보려고 이것저것(그래봐야 학교이름 정도..)검색해봤는데 결국 못찾았습니다. 제가 유학 가기전에 핸드폰도 없고 싸이월드도 안했었거든요..
    취미생활을 만들어 보시는게 어떨까요?
    이미 있다면 관련된 동호회를 찾아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대학교나 사회에서의 친분은 어릴때의 그 황당무개한 모습을 서로 다본 친구같은 느낌은 없네요. 뭔가 가면 한개씩은 덧대놓은 상태에서 만나는 기분이에요. 친분은 있어도 마음속으로 내 허물도 보여도 되는 친구라고 여길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네요.
    Yato_Kagura
    동의합니다. 근데 저는 어릴때부터의 친구(속칭 불x친구라고 하죠)도 없어서 그런 느낌이 뭔지도 잘 모르겠어요.
    저는 특이하게 친구들이 그렇게 많이 이사가더라구요.
    저 또한 두번정도 이사해서 실질적으로 연락하는 친구들은 다 중고시절때 만났어요.
    근데 막상 아무때나 연락해서 만날수 있는 애들은 5명도 안 되는것 같은게 함정이네요.
    문제는 대학교 와서 친구 사귀기가 힘들더라구요.
    맨날 수업 듣고 도망가다시피 나가는게 태반이라..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8 기타혹시 친구가 단 한명도 없는 분 계신가요? 28 Yato_Kagura 15/05/30 18341 0
    1530 꿀팁/강좌2016에는 불렛 저널(bullet journal)어때요? 15 다람쥐 15/11/11 18305 1
    704 요리/음식지금은 사라진 서양식 젓갈, 가룸 15 마르코폴로 15/08/02 18278 0
    2828 과학/기술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독 - 황금독화살개구리 4 모모스 16/05/17 18243 3
    1439 기타뷰티풀 군바리의 주제 11 블랙이글 15/11/03 17935 0
    298 기타그릭 요거트. 그리고 리코타 치즈. 17 유리한 15/06/10 17870 0
    3356 IT/컴퓨터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18) 24 NULLPointer 16/07/26 17859 11
    3298 IT/컴퓨터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2) 10 NULLPointer 16/07/20 17857 10
    5657 IT/컴퓨터삽질로 잠긴 애플계정 복구까지의 기나긴 일대기 2 Leeka 17/05/17 17854 0
    10237 일상/생각엄마 덴마크가 나 놀렸어요 ㅜㅠ 67 구밀복검 20/01/29 17829 115
    1932 요리/음식창녀의 파스타, 푸타네스카 18 마르코폴로 16/01/03 17827 2
    2783 영화곡성 해설 (강스포) 25 리틀미 16/05/11 17785 0
    12933 여행[베트남 붕따우 여행] 중장년 분들에게 추천하는 여행지. 긴글주의 17 사이공 독거 노총각 22/06/19 17728 15
    5097 꿀팁/강좌여자사람에게 선물을 해 보자 58 열대어 17/03/07 17719 8
    518 기타다음 보는 웹툰 15 헬리제의우울 15/07/05 17690 0
    1036 과학/기술지구는 둥글지 않다? 22 darwin4078 15/09/19 17653 0
    1473 IT/컴퓨터엥? 딥러닝 그거 바보 아니냐? 38 Azurespace 15/11/05 17574 7
    26 일상/생각홍차넷을 열기까지 45 Toby 15/05/30 17573 9
    6926 과학/기술거리함수 이야기 (1) 14 유리소년 18/01/10 17441 9
    3299 IT/컴퓨터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3) 15 NULLPointer 16/07/20 17406 13
    7438 영화[불판] 어벤저스 인피니티 워 스포는 여기로 모이자고! 109 naru 18/04/25 17389 1
    2647 의료/건강타이레놀과 울트라셋 이야기 6 모모스 16/04/20 17352 1
    3542 일상/생각(19금)엄청엄청 야한 BDSM 미드 '서브미션'을 보며 14 nickyo 16/08/20 17217 0
    3330 댓글잠금 정치우리는 백윤식을 용납해야하는가. 261 팟저 16/07/23 17156 14
    22 기타안녕하세요 김치찌개입니다! 6 김치찌개 15/05/29 16941 4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