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9/05/19 11:46:29수정됨
Name   Messi
Subject   4강 Bo5에서의 SKT 드래프트.txt
일단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1. 드래프트 끝나고 구성된 조합은 그래도 할만했다. 메타픽 가져가기도 했고, 전략적 목표도 있었음.

2. 다만 드래프트 과정의 세밀한 부분이 아쉬웠다.



1) 1,3,5세트. SKT가 블루 사이드에서 플레이한 경기입니다. 여기서 SKT는 첫 밴 페이즈에서 모두 동일한 챔프들을 잘랐습니다. 탐 켄치/니코/제이스. 이건 사전에 설정한 밴 카드입니다.

여기서 굳이 블루 사이드에서 제이스를 밴했어야 하냐는 의문이 남습니다. 1세트에서 소나타릭을 열어주는 과감한 드래프트를 한건 굉장히 좋았고 실제로 성공을 거둔 이상, 소나타릭을 견제할 이유가 사라졌고 밴 카드에 여유가 생겼습니다. 근데 그렇게 확보한 밴 카드를 제이스에 계속 투자했어요. 전 1세트때의 밴카드로 끝날줄 알았는데 아니더라고요. 라이즈, 아칼리, 제이스, 사일러스는 퍼플 사이드에서 밴해야한단 압박을 받는 챔프입니다. G2는 실제로 블루 사이드로 치른 2경기에서 저 4명의 챔프에게 밴카드를 소모하지 않았고 퍼플 사이드에서 모두 밴했습니다. 스스로 손해를 보고 간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2) 2세트에서 G2는 첫 밴 카드를 자르반-갈리오-칼리스타에 투자했습니다. 이번 대회에서 각각의 포지션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 픽들입니다. 자르반-갈리오는 0티어로 취급되구요. SKT는 라이즈-제이스-탐 켄치 순으로 밴을 했고 아칼리를 밴하지 않은 걸 제외하면 정석적인 밴입니다. G2의 탐 켄치는 위협적이기도 하구요. 문제는 아칼리가 살았던 점인데, 이건 사일러스가 레인 페이즈에서 아칼리 상대로 상성이 좋은 챔프라는 점 + 나중에 뽑은 바이가 아칼리를 잘 물 수 있는 챔프란 점으로 상쇄할 수 있다고 생각했을 수 있습니다. 인게임에서 실제로 바이가 아칼리의 과한 포지셔닝을 2번이나 캐치하기도 했구요.

그리고 G2는 풀린 아칼리를 바로 가져가고 여기서 정석적인 대응은 사일러스로 1티어 픽 나눠먹고 2픽으로 정글 귀족챔프를 잡는겁니다. 자르반이 밴됬으니 렉사이가 가장 티어가 높은 정글러고 사일러스-렉사이를 퍼플 사이드가 1,2픽으로 먹는건 많이 보셨을 장면이구요. 근데 여기서 라칸을 픽합니다. 마타는 이번 대회에서 그전까지 단 한번도 라칸을 사용한 적이 없습니다(출처 : https://lol.gamepedia.com/Mata/Match_History). 제 기억에도 없었는데 다시 확인해보니 정말 없었습니다. 이건 G2에게서 라칸을 뺏어오고자 하는 드래프트입니다. 물론 전 라칸을 뽑으면 안되는 픽이라곤 생각하지 않습니다. 충분히 좋은 서포터 챔프고 이번 대회에서 좋은 모습 많이 보여준 챔프에요. 다만 2픽에서 정글을 고르지 않았고 G2는 라칸을 대응하기 위해 모르가나 서폿을 고르고 퍽즈에게 드레이븐을 쥐어줍니다. 그리고 SKT는 1페이즈의 마지막 픽을 정글에 투자하지 않고 자야에 투자합니다. 첫 페이즈에서 바텀 듀오를 완성하는게 무난한 선택인건 맞지만 정글 챔프풀이 아주 좁아진 이번 대회에서 정글을 고르지 못한채 2번째 밴 페이즈로 넘어갑니다.

G2는 맘 편하게 정글에 모든 밴 카드를 투자해서 클리드에게 챔프 폭을 물어봅니다. 여기서 SKT는 5픽으로 솔로 레인 카운터를 쳐야하니 정글을 고르는게 정석적인 판단이고 바이를 고릅니다. 여기서 바이는 여차하면 쓸수 있다고 생각해놓은 카드였을 겁니다. 안 그러고서야 첫 페이즈에서 높은 티어의 정글 챔프를 고를 수 있는 기회를 라칸에 투자할리가 없어요. 그리고 바이는 쓸만한 챔프입니다. 인게임에서도 활약할 여지가 많았구요. 바텀에서 카운터 갱 타이밍을 잡았을때 Q를 못 맞춘건 챔프의 문제가 아니니까요.
하지만 얀코스는 정글 챔프폭이 아주 넗은 정글러고, 상대가 바이를 고르니 성장하면 할 수록 위력적인 세주아니를 고르고 경기 내내 성장에서 앞서는 모습을 보여주며 클리드를 눌렀습니다.

헤카림에 대해서도 의견이 분분했던거 같은데, 9.8버젼의 헤카림은 점화 타이밍때 케넨, 니코등 원거리 탑 레이너를 혼자서 잡아낼 수 있는 힘이 있습니다. 실제로 니코를 혼자 잡아냈구요. 그러나 레인 페이즈 이후 헤카림의 궁극기가 교전에 중요하게 쓰였어야할 타이밍이 한번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미드 2차타워 앞에서부터 밀고가서 1차 타워 잔해에서 대규모 교전이 일어났을때 바텀 2차 타워에서 미니언을 정리하고 합류하던 헤카림은 니코의 1대1 마크에 막혀 스킬 써보지도 못하고 퇴각했고, 모르가나의 블랙쉴드와 아칼리에게 나머지 아군들의 스킬이 정확하게 카운터를 당하며 교전에서 패배했습니다. 그나마 잘 들어 간게 퍼플 사이드 레드버프 지역에서의 교전인데 이때 드레이븐은 이미 유령무희과 초시계를 구비하여 생존을 도모할 수 있었구요. 헤카림의 강한 타이밍을 못 살렸던게 아쉽습니다.



3) 4세트에서 G2는 첫 밴 카드로 자르반-갈리오-이렐리아를, SKT는 제이스에 2세트에서 호되게 당한 아칼리, 그리고 라칸을 밴합니다. 2세트에서도 그렇고 라칸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는 반증입니다.

라이즈가 살았으니 G2는 바로 가져가고 SKT는 2세트와 달리 사일러스-렉사이를 가져가는 정석적인 대응을 보여줍니다. G2는 1페이즈에서 바텀 완성하는게 정석적이니 바루스-브라움이란 평가가 좋은 바텀 듀오를 빠르게 선점했고 SKT는 역시 높은 티어의 서폿인 탐 켄치를 가져가고 2번째 페이즈로 넘어갑니다.

2번째 페이즈에서 SKT는 첫 밴을 세주아니에게 투자했고 이건 좋은 판단입니다. 브라우니를 막아주는 선택이죠. G2는 테디의 이즈리얼을 밴했고 SKT는 그 다음 니코를 밴했습니다. 니코가 탑 챔프로 높은 평가를 받는다는 걸 보여주고 G2는 본인들이 케넨을 안 쓰니 케넨 주기 싫고 케넨을 밴합니다.

이렇게해서 양 팀의 전체 밴 카드 10장중 5장이 탑 챔프에 투자됬습니다. 탑에서 고를 챔프들이 여의치 않아졌어요(https://serieamania.com/game/55943078?sfl=wr_subject&stx=%EC%B1%94%ED%94%84&sop=and&page=1). 4픽으로 애쉬를 고르는건 정석적인 대응이고 G2는 렉사이 카운터로 서양팀들이 상정하는 스카너에 나르를 고릅니다. 전 빅토르만큼이나 나르도 똥이라고 생각이 드는데 래퍼드 복기방송에서 9.8에서의 나르는 못 쓸 카드는 아니라고 했고 채팅에서 EDG 탑 레이너인 레이 또한 동의하더라고요.

어쨋든 나르가 나왔고 나르 상대로 갱플랭크나 블라디미르는 레인 페이즈에서 버티기 힘드니 맞상대할 챔프가 필요했고 그래서 빅토르를 뽑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만, 우린 생각해볼 게 있죠. 사일러스란 챔프는 탑-미드 스왑이 가능하단거. 사일러스를 탑에 보내서 어떻게든 버티게 시키고 미드를 다른 챔프를 뽑는 가짓수는 없었을까. 실제로 SKT는 사일러스를 모두 미드에 썼고, 본인들은 스왑 심리전을 걸었다고 생각했을 수 있지만 G2는 그 심리전을 당했다는 느낌을 전혀 받지 않았습니다. 미드 사일러스임을 확신하는 드래프트를 했어요. 칸에게 사일러스를 쥐어줄 수 없다는건 사일러스 픽의 포텐셜을 스스로 깎아먹는 일입니다. 다행이도 페이커가 이 경기 만큼은 사일러스로 엄청난 모습을 보여줘서 5세트때 G2가 사일러스를 밴하게 만들었지만.



4) 5세트에서 SKT의 조합 자체는 좋았다고 봐요. 비정석 조합 상대로 ADC를 갖고있단건 큰 보험이 됩니다.  

서로 첫 페이즈때 SKT는 전술한대로 밴했고 G2는 아칼리와 라이즈, 사일러스라는 1티어 픽들을 모조리 밴했습니다. 자르반과 갈리오가 살았고 SKT는 자르반을 선픽, G2는 갈리오와 렉사이를 가져오면서 나눠먹었구요. 그 다음에 바루스-브라움을 고른것도 정석적인 대응입니다. G2는 그리고 과감한 파이크 픽.

이 경기에서 아쉬운건 카밀 밴입니다. 경기에 영향을 미친 밴은 아닌데, 상대가 피오라와 헤카림을 밴하면서 탑 파이크임을 보여줬다고 생각하는데 SKT는 이미 상대가 정글 챔프를 뽑아놓은 상태에서 카밀을 밴했습니다. 이유가 아무리 생각해도 떠오르지 않아요. 하지만 어찌됬든 카밀 밴은 게임에 영향은 없는 밴이었습니다.

2번째 페이즈에서 케넨과 르블랑을 픽한것도 좋은 드래프트라고 생각합니다. 케넨은 무난하니 좋은 탑 챔프니 설명할게 없고, 작년 월챔에서 젠슨 리산드라를 농락하는 캡스 르블랑. 퍽즈의 리산드라를 필두로 자기를 잡아먹으려 덤비는 G2를 상대하던 루키 르블랑을 기억하실 겁니다. 르블랑이 충분히 리산드라를 상대할 수 있어요. 정화를 들었다는 전제하에서. 래퍼드는 정화와 텔포 모두 장단이 있다고 설명했고 저도 동의하는 바입니다만, 정화가 맞았다고 봅니다.



4


    겜만없이지만 5경기 카밀 밴이 곱씹을 수록 아쉽더라고요. 말씀하신 대로 파이크 밴을 하고 르블랑이 정화만 들었어도 게임 양상이 크게 달랐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 카밀은 2페이즈때의 밴 카드였습니다. 파이크는 첫 페이즈 마지막 픽.

    케넨으로 파이크상대로 레인 페이즈를 압박하지 못했던게 아쉬운데, 파이크란 픽은 레인 페이즈에서 방패들고 견제당하면 부쉬나 뒤로 가서 체력 회복하고 다시 와서 경험치 먹는걸 반복하면서 버티고, 집에 귀환하여 티아맷과 기동력의 장화를 구비하여 미니언 밀고 로밍을 반복하는 챔프입니다. 그룹 스테이지 2경기에서 칸이 제이스로 파이크를 압박한건 앨리스와 함께 푸시를 잘한것도 있고, 파이크의 체력 회복수단을 활용하지 못하게 레인을 점거하여 미니언 대치전선을 상대 타워 앞에서 형성시켰다는게 주요했습니다. 그 대신 자르반의 갱킹에 당해서 죽었지만.
    아 제가 파이크를 막픽이라고 착각했네요 흐흑.
    5경기 밴픽은 슼이 이겼죠. 르블랑 노정화가 아쉽긴 하지만 글골 너무 크게 벌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바루스가 2코 이상 + 멜모까지만 나오면 원딜 없는 조합으로 할게 업슴... 그래서 7k 차이 한타에서 슼이 이기고 그랬던거죠. 한타 이기거나 세미싸움 날때마다 슼의 다음 한타는 더 난이도가 쉬워졌고 G2는 캐리라인이 파이크 리산 신드라라 바론 딜도 개안습이여서 바론 버스트로 한타 강제하는 운영도 상당히 애매한 상황이었죠. 4킬 노데스로 대승한 한타에서도 바론을 못쳤으니. 슼이 역전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부분을 다 넘기고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쉬운 스탭 몇번만 밟으면 이기는건데 자기 발에 걸려서 넘어짐ㅋ 그래도 멋진 시리즈 봤으니 만족합니다.
    네 5경기는 SKT가 조합 구성이 좋았죠. G2의 인게임 운영이 좋긴 했는데 어쨋든 원더가 던지면서 기회를 줘서 바루스가 게임을 끝낼 수 있었죠. 최악의 수는 바론 버스트였고.

    그나마 비판할게 카밀밴 정도인데 이것도 경기에 영향이 가는 밴은 절대 아니긴했습니다. 하지만 밴한 이유는 정말 모르겠음. 탑 파이크인거 광고하는데 대체 카밀을 왜?
    롤갤에도 올렸는데 롤갤에선 묻히겠네. 옆동네는 아이디가 없고.
    AGuyWithGlasses
    저는 5경기에서 G2의 강제이니시가 볼 때마다 너무 잘들어가서 바론 친 판단까지도 충분히 이해가 됩니다. 역전각 보인다고 다들 말하는데 리산 갈리오만 점멸있어도 G2는 어떤 각에서도 강제이니시를 걸 수 있죠. G2가 그전까지 한타에서 싸던것도 잘 보면 비원딜인데 텔믿고 5:4로 한타거는 실수를 해서 그렇습니다. 5:5면 SKT는 한 번은 반드시 지는 그림이 나온다고 봤거든요.

    저도 신드라 픽은 생각보다 그렇게 유의미하진 않았던 거 같습니다. 뼈아프다면 파이크를 3픽으로 보고도 아무런 대응을 못 한게 더 아프지...
    최고의 판단은 3레인 모두 컨트롤하면서 좀더 시간을 끄는 거였을 겁니다. 아마 그리고 G2 챔프들의 텔포 쿨타임 체크에서 미스가 있었을 거에요. 리산드라가 텔포타고 날라온 타이밍에 SKT가 크게 당황했죠.

    신드라는 바루스 브라움으로 대응이 가능했고 자르반이 2렙 갱으로 점멸도 뽑아주면서 유리하게 시작했는데, 퍽즈의 신드라 숙련도는 남다르고 거기에 3대3 교전에서 대패한게 컸습니다.
    AGuyWithGlasses
    그 교전이 너무 컸죠. 클리드가 점멸 2개 뺀사이 얀코스는 우걱우걱 쳐먹고 있었는데 3대3에서 g2합류가 훨 빠른 바람에 클리드가 해놓은게 무용지물이 됐으니까요.
    얀코스가 성장 동선에 집중한건 G2의 타이밍은 궁극기를 찍은 6렙부터여서 그랬던건데, 리산드라 못잡은게 아쉽죠. 여진이 사기룬이라.
    후반 한타구도로 갔을때 G2는 전통적인 앞라인부터 치는 구도로는 답이 없고 바루스를 윈콤 내거나 전장이탈 시켜서 딜로스를 내야하는데 정화도 들었고 브라움 케넨이 지키고 있는데다가 벤시, 존야, 적응형 투구, 헤르메스, 멜모 등 AP 치중된 G2의 버스트딜을 가성비 좋게 방지할 수 있는 템들이 워낙 많이 나와서 실패할 확률이 정말 높습니다. 실패하면 두번째 스킬쿨 돌아오기 전에 한명씩 바루스 평타 세례에 다 녹아내리고요. 이것도 바루스가 점멸 없을때 얘기고 플 있으면 프로플레이에선 정말 퍼센테이지 낮은 플레이에 해당하죠. G2는 그래... 더 보기
    후반 한타구도로 갔을때 G2는 전통적인 앞라인부터 치는 구도로는 답이 없고 바루스를 윈콤 내거나 전장이탈 시켜서 딜로스를 내야하는데 정화도 들었고 브라움 케넨이 지키고 있는데다가 벤시, 존야, 적응형 투구, 헤르메스, 멜모 등 AP 치중된 G2의 버스트딜을 가성비 좋게 방지할 수 있는 템들이 워낙 많이 나와서 실패할 확률이 정말 높습니다. 실패하면 두번째 스킬쿨 돌아오기 전에 한명씩 바루스 평타 세례에 다 녹아내리고요. 이것도 바루스가 점멸 없을때 얘기고 플 있으면 프로플레이에선 정말 퍼센테이지 낮은 플레이에 해당하죠. G2는 그래서 한타 말고 우월한 시야와 기동성으로 미스포지셔닝한 상대 끊어먹거나 소수교전으로 시작해서 합류전으로 흘러가는 싸움을 통해 굴려야 했고 실제로도 바루스가 신드라에 비해 존재감이 먼지에 불과하고 마방 없어서 슼 챔피언들이 파리처럼 죽어나가는 타이밍엔 좋은 각을 많이 만들었죠. 근데 바깥쪽 터렛 라인 밀리고 슼의 수비진영이 좁아진 상태에선 근본적으로 한타에 하자가 있는 조합이라 어마어마한 글골 차이로도 좋은 각이 잘 나오지 않았고, 슼이 커버쳐줄 멤버는 잘 커버치고 위험할땐 그냥 타워 줘버리면서 '결정타'까진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럼 어디까지 벌어지면 슼이 이기는게 불가능한 수준까지 간 것인가가 중요한데, 제가 본 티핑포인트는 좋은 마방-유틸템의 코어 완성 직후 타이밍에도 체급차이가 넘사로 벌어져서 걍 DPS 자체가 바루스 끼고도 상대에 비해서 밀리는 지점이었는데 한타를 계속 이기면서 그 단계까진 가지 않았죠. 물론 바론-사이드 운영으로 슼을 흔들면서 미스포지셔닝을 유도하면 여전히 차이가 커서 슼이 유리하다고는 할 수 없긴 합니다. 파이크의 은신, 기동성, CC기가 워낙 큰 변수라서. 근데 순수하게 5:5 싸움 꽝붙는 싸움이면 슼이 절대 불리하지 않았다고 봅니다. 그냥 잘라먹히면서 허무하게 gg치는 구도가 얼마든지 가능하듯 신드라, 리산의 버스트딜 부족으로 파이크가 멍때리면서 한타 스무스하게 슼이 이겨버리는 그림도 얼마든지 가능했다고 봐요. 바론 앞에서 조급할 수 밖에 없는건 이해 가능하지만 슼이 그토록 예방에 심혈을 기울이던 '그 구도'를 그냥 가져다 바쳤고, 그거 안했어도 이길 가능성이 그 정도로 낮지는 않았다고 봐서 아쉽더라고요.
    내용추가하자면 제이스 밴에 대한 얘기입니다.

    이건 제이스를 계륵으로 생각했다면 이해가 가는 부분인데, 자르반의 티어가 너무 높고, 본인들에게 제이스는 좋은 카드가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상대에게 주긴 껄끄러운, 정말 말 그대로 계륵이라고 생각했어서 밴을 했을 수 있죠.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3052 7
    15437 정치민중당, 정의당, 민주노동당. 10 마키아토 25/05/12 675 15
    15436 정치이준석의 일갈 25 + 당근매니아 25/05/12 1214 0
    15435 문화/예술쳇가씨 기성작가 문체모사 - AI시대 바둑의 기풍 3 알료사 25/05/12 284 2
    15434 일상/생각사진 촬영의 전문성을 인정하자는 것. 12 메존일각 25/05/11 660 17
    15433 사회중대재해처벌법은 악법인가 29 당근매니아 25/05/08 1387 24
    15432 방송/연예백종원 사태에 대한 생각 16 Daniel Plainview 25/05/07 1516 20
    15431 정치덕수옹은 대체.. 16 Picard 25/05/06 1765 0
    15430 방송/연예2025 걸그룹 2/6 15 헬리제의우울 25/05/05 642 16
    15429 음악오늘 유난히도 다시 듣게 싶어지는 곡들 이이일공이구 25/05/05 479 0
    15427 육아/가정광명역에서 세 번의 목요일, 그리고 어머니 22 그런데 25/05/05 779 50
    15426 정치운석은 막을 수 없다: 정상성(Normality)의 관점에서 8 meson 25/05/05 714 13
    15425 정치내각제와 대법원 4 당근매니아 25/05/04 621 13
    15424 정치한국현대사에 파시즘 정권이 존재했는가? 10 meson 25/05/04 595 2
    15423 스포츠[MLB] 김혜성 LA 다저스 콜업 김치찌개 25/05/04 318 0
    15422 정치당연히 이재명이겠거니 하는 공유된 태도 29 명동의밤 25/05/03 2251 19
    15421 일상/생각옛생각에 저도 suno로 하나 만들어봤어요. 1 큐리스 25/05/02 534 0
    15420 정치양비론이 가소로워진 시대 1 meson 25/05/01 822 11
    15419 게임(ChatGPT게임) 2025 콘클라베 - 루이스 안토니오 타글레 시뮬레이션 똘빼 25/05/01 391 0
    15418 도서/문학백종원과 신창섭 사이에는 무슨 관계가 있을까? 2 구밀복검 25/05/01 769 6
    15417 정치오늘의 일에 부쳐 영원한웬디 25/05/01 658 3
    15416 오프모임서양근대사 세미나에 참여하실 회원을 모집합니다 3 영원한웬디 25/05/01 594 1
    15415 창작탐라를 지키는 100명의 회원들 MV 13 수퍼스플랫 25/05/01 698 11
    15414 기타노트북LM으로 만들어본 팟캐스트 16 토비 25/04/30 677 9
    15413 일상/생각나아가고 있겠죠? 9 골든햄스 25/04/29 802 2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