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8/07/26 11:23:05수정됨 |
Name | 벤쟈민 |
Subject | 동물의 기본권에 대해서 |
인간은 '정말 다행히도' 진화할 때 다른 사람, 생명체, 자연물 등등에 대해서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었다. 또 인간은 자신이 어떤 잘못을 하면 타인에 의해 그 잘못에 대해 그 댓가를 추궁받는 것을 안다. 한 개인이 죄를 지었을 때 그 죄가 불러오는 사회의 처벌에 대해서 경각심이라는 것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인간은 어떤 논리적 사고를 할 수 있으며 어떤 생각과 판단이 '이치에 맞는지 맞지 않는지' 계속 생각을 멈추지 않으려 하는 동기를 갖는다. 이런 모든 요소들이 조화를 이루어서 인간에게 '도덕심'이라는 것을 심어주고 인간사회에 '도덕'과 '법'을 만들도록 명령한다. 그동안 수천년 수만년 동안에 그 수도 셀 수 없는 삽질과 뻘짓 끝에 인간은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 '모든 인간은 자신이 누릴 수 있는 최대한의 행복을 누릴 권리를 지닌다' -라는 매우 멋진 인권이라는 관념을 창조해내는 데 성공했으며, 이는 시대가 흐르면 흐를수록 더 공고해지고 내적으로 완전해지는 방향으로 나아갈 전망이다. 하지만 인간은 여기에서 멈추지 않고 더 나아가려 한다. 인간 외에도 동물들도 어느정도 존중하고 싶어한다. 내가 정을 붙이고 살은 어떤 동물이 행복하면 나도 기쁘고, 아파하고 슬퍼하면 나도 괴롭다. 그 동물도 (인간에 대해서만큼은 아니더라도) 어느정도 존중하고 싶어한다. 동물을 함부로 학대하는 인간에 대해서도 어느정도의 사회적인 도덕적, 법적인 제재가 있기를 바란다. 그렇지 않고서야 그 동물을 보호하기가 힘들테니까. 나의 이런 '멋진' 생각들에 논리적 완결성을 부여하고 싶다. 나는 귀여운 강아지, 고양이가 아무 이유도 없이 몽둥이로 두들겨맞는 모양을 보기가 괴롭다. 따라서 이를 막기 위해 사회적으로 활동하고 싶다. 하지만 이런 '귀여운 동물들'을 보호하기에 앞서 몇가지 심각한 결정적인 장애물들이 존재한다. 다음과 같은 여러 의문들을 도저히 무시하고서는 동물 기본권에 대해 이치에 맞는 목소리를 낼 수 없을 것이다. 1. 내가 귀여워하는 개, 고양이는 과연 내가 덜 아끼는 소, 돼지, 닭보다 '더' 보호받아야 하는 생명체인가? 2. 내 눈에 띄는 개, 고양이, 소, 돼지, 닭은 내가 싫어하고 나에게 유무형의 피해를 주는 파리, 모기, 바퀴벌레, 개미 등등보다 '더' 보호받아야 하는 생명체인가? 3. 우리는 (적어도 어떤 인공적인 맛있는 고기를 상용화하기 이전에) 동물의 기본권을 지켜주기 위해서 그 동물의 고기를 섭취하지 않을 각오가 되어있는가? 그 각오를 다른 이에게 강요할 수 있는가? 그 각오를 축산업자들에게 강요할 수 있는가? 4. 가축을 사육하고 도축하는 과정을 더 신사적으로 한다니 어쩌니 해도 결국 종말에는 잡아먹을 것이다. 인간이 다른 동물의 목숨을 그 고기나 기타 부산물을 취하기 위해 맘대로 취할 수 있는가? 5. 동물에게 얼마만큼의 권리를 주어도 괜찮다고 생각하는가? 인간만큼, 아니면 인간보다 조금 못하게? 인간들이 겉으로는 아무리 도덕적으로 논의를 진행하고 싶어도 결국 속으로는 그래도 기본적 욕구는 어느정도 채우고 싶어하도록 마음으로부터 요구받는 것은 당연한지라, 결국 이런 동물 기본권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은 루트를 따라갈 것으로 전망된다. 1. 개, 고양이를 함부로 대하는 사람은 야만인으로 취급받을 것이다. 반면, 소, 돼지, 닭을 도축할때, 그 도축과정을 더욱더 뒤에 안보이는 곳에서 숨기어서 처리할 것을 요구받을 것이다. 소, 돼지, 닭이 개, 고양이만큼 인간과 가까운 반려동물화가 되는 데 성공하지 못한다면 마땅히 이렇게 계속 잡아먹히는 신세가 될 것이다. 2. 파리, 모기, 바퀴벌레 등등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동물은 인류가 존속하는 내내 박멸의 대상으로밖에 여겨지지 않을 것이다. 반면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동물에 대한 기본권의 인식 제고 문제는 인류가 먹고사는 게 더 풍족해질수록 더 대두될 것이다. 3. 4.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등은 정말 맛있는 고기이다. 결국 동물보호단체들이 이 가축들에 대해 요구할 수 있는 것은 - 기껏해야 사육, 도축의 과정을 더 신사적으로 인도적으로 개선하라는 것 정도 이외에는 - 딱히 없을 것이다. 사람들은 소, 돼지, 닭을 잘만 먹고 있고 축산업자들은 그들에게 그에 맞춰 '상품'을 제공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이다. 다만 이들을 대체할 만한 상용화된 인공육이 개발된다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5. 동물에게 인간만큼의 권리를 주고 싶어도 결국 그렇게 하지는 못할 것이다. 동물을 보호하니 어쩌니 논의하는 주체가 궁극적으로 인간이 될 수밖에 없기에. 2
이 게시판에 등록된 벤쟈민님의 최근 게시물
|
불을 끄고, 적게 먹고, 음식을 남기지 않고, 샴푸린스대신 비누를 쓰고, 일회용품을 적게쓰고,
떨어진 옷을 기워입고, 소비의 기준을 디자인이 아닌 오래 쓸 수 있는 것에 두어 소비를 줄이는 것이
진정 친생명, 친환경적인 생활이겠지요. 편식하면서 남 식사에 간섭하는 것보다야 백배천배.
떨어진 옷을 기워입고, 소비의 기준을 디자인이 아닌 오래 쓸 수 있는 것에 두어 소비를 줄이는 것이
진정 친생명, 친환경적인 생활이겠지요. 편식하면서 남 식사에 간섭하는 것보다야 백배천배.
이게 개인레벨이랑 사회레벨의 이야기가 나올수밖에 없는게, 산업혁명 이후 인류가 만든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60% 이상을 단 90개의 회사들이 만들어낸거라는 연구가있어서요. 이들 중 83개의 회사가 석유, 석탄, 가스 생산에 관련된 회사고, 다른 7개는 시멘트 제조 회사라고하죠.
이런 상황에서 일차적으로,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 잡아야할것은 개개인 소비자들의 생활 패턴을 바꾸려는것보다는 산업단위에서 1차적으로 걸러내는게 더 중요하다는 말을 하고 싶었어요.
IMF때 국민이 흥청망청 외화낭비해서 경제위기가 왔다는 이야기와 비슷하... 더 보기
이런 상황에서 일차적으로,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 잡아야할것은 개개인 소비자들의 생활 패턴을 바꾸려는것보다는 산업단위에서 1차적으로 걸러내는게 더 중요하다는 말을 하고 싶었어요.
IMF때 국민이 흥청망청 외화낭비해서 경제위기가 왔다는 이야기와 비슷하... 더 보기
이게 개인레벨이랑 사회레벨의 이야기가 나올수밖에 없는게, 산업혁명 이후 인류가 만든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60% 이상을 단 90개의 회사들이 만들어낸거라는 연구가있어서요. 이들 중 83개의 회사가 석유, 석탄, 가스 생산에 관련된 회사고, 다른 7개는 시멘트 제조 회사라고하죠.
이런 상황에서 일차적으로,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 잡아야할것은 개개인 소비자들의 생활 패턴을 바꾸려는것보다는 산업단위에서 1차적으로 걸러내는게 더 중요하다는 말을 하고 싶었어요.
IMF때 국민이 흥청망청 외화낭비해서 경제위기가 왔다는 이야기와 비슷하다고 생각하거든요. 당연히 개인의 선택과 삶을 개선하는것도 중요하지만, 이 문제는 어차피 개개인의 소비 선택 이전, 그 이상의 단계에서 틀어진 문제라고 보거든요.
이런 상황에서 일차적으로,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 잡아야할것은 개개인 소비자들의 생활 패턴을 바꾸려는것보다는 산업단위에서 1차적으로 걸러내는게 더 중요하다는 말을 하고 싶었어요.
IMF때 국민이 흥청망청 외화낭비해서 경제위기가 왔다는 이야기와 비슷하다고 생각하거든요. 당연히 개인의 선택과 삶을 개선하는것도 중요하지만, 이 문제는 어차피 개개인의 소비 선택 이전, 그 이상의 단계에서 틀어진 문제라고 보거든요.
약간 닭이 먼저냐 알이 먼저냐 같은데, 사회든 회사든 관념적인 명칭이고 결국 사람들의 집합입니다.
생산을 하니까 소비를 한다 할 수는 있지만 소비를 하니까 생산을 한다 할 수도 있는겁니다.
개개인의 소비 선택 이전, 이상의 단계에서 틀어졌다 해도 그것이 스스로의 소비행태를 바꾸지 않을
이유가 되지 않습니다. '핑계'가 될 뿐이죠. 내가 이거 안쓴다고 환경이 깨끗해지는 거 아니다.
아뇨 그만큼 깨끗해질 수 있죠. 그게 얼마 안되는 사소한 것이라 그렇지요. 더럽히는 것도 마찬가지고요.
그 소비행태를 바꾼 개개인이 단체... 더 보기
생산을 하니까 소비를 한다 할 수는 있지만 소비를 하니까 생산을 한다 할 수도 있는겁니다.
개개인의 소비 선택 이전, 이상의 단계에서 틀어졌다 해도 그것이 스스로의 소비행태를 바꾸지 않을
이유가 되지 않습니다. '핑계'가 될 뿐이죠. 내가 이거 안쓴다고 환경이 깨끗해지는 거 아니다.
아뇨 그만큼 깨끗해질 수 있죠. 그게 얼마 안되는 사소한 것이라 그렇지요. 더럽히는 것도 마찬가지고요.
그 소비행태를 바꾼 개개인이 단체... 더 보기
약간 닭이 먼저냐 알이 먼저냐 같은데, 사회든 회사든 관념적인 명칭이고 결국 사람들의 집합입니다.
생산을 하니까 소비를 한다 할 수는 있지만 소비를 하니까 생산을 한다 할 수도 있는겁니다.
개개인의 소비 선택 이전, 이상의 단계에서 틀어졌다 해도 그것이 스스로의 소비행태를 바꾸지 않을
이유가 되지 않습니다. '핑계'가 될 뿐이죠. 내가 이거 안쓴다고 환경이 깨끗해지는 거 아니다.
아뇨 그만큼 깨끗해질 수 있죠. 그게 얼마 안되는 사소한 것이라 그렇지요. 더럽히는 것도 마찬가지고요.
그 소비행태를 바꾼 개개인이 단체가 되고 늘어나면 기업이든 사회든 새로운 소비행태에 맞지 않는
생산은 줄이게 됩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당당할 수 있고요. 누가 알고 전체에 무슨 영향이야 있겠는가.
내가 알고 나에게 영향이 있지요. 내가 알고 네가 알고 하늘이 알고 땅이 알지 않느냐..
네가 몰라도 하늘이 땅이 몰라도 상관없습니다. 내가 아니까요.
생산을 하니까 소비를 한다 할 수는 있지만 소비를 하니까 생산을 한다 할 수도 있는겁니다.
개개인의 소비 선택 이전, 이상의 단계에서 틀어졌다 해도 그것이 스스로의 소비행태를 바꾸지 않을
이유가 되지 않습니다. '핑계'가 될 뿐이죠. 내가 이거 안쓴다고 환경이 깨끗해지는 거 아니다.
아뇨 그만큼 깨끗해질 수 있죠. 그게 얼마 안되는 사소한 것이라 그렇지요. 더럽히는 것도 마찬가지고요.
그 소비행태를 바꾼 개개인이 단체가 되고 늘어나면 기업이든 사회든 새로운 소비행태에 맞지 않는
생산은 줄이게 됩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당당할 수 있고요. 누가 알고 전체에 무슨 영향이야 있겠는가.
내가 알고 나에게 영향이 있지요. 내가 알고 네가 알고 하늘이 알고 땅이 알지 않느냐..
네가 몰라도 하늘이 땅이 몰라도 상관없습니다. 내가 아니까요.
1. 지금도 자신이 기르는 개나 고양이가 쌩판 모르는 행인 1보다 소중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극단적인 상황을 가정하면, 모르는 사람 1 or 자신의 개 둘 중 하나만 살릴 수 있는 상황에서 자신의 개를 구한다는 것이죠.
2. 천부인권사상의 첫번째 믿음이 바로 인간 생명의 절대 존엄성입니다. 그러나 1과 같은 경우를 생각하면, 어디까지나 인간의 생명도 상대적으로 존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죠.
3. 만약 1과 같은 사람이 절대 다수가 되는 사회가 된다면, 당연히 개 또한 인간에 가까운 수준으로 법적인 보호를 받게 되겠죠.
2. 천부인권사상의 첫번째 믿음이 바로 인간 생명의 절대 존엄성입니다. 그러나 1과 같은 경우를 생각하면, 어디까지나 인간의 생명도 상대적으로 존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죠.
3. 만약 1과 같은 사람이 절대 다수가 되는 사회가 된다면, 당연히 개 또한 인간에 가까운 수준으로 법적인 보호를 받게 되겠죠.
한편으로는 무섭지만 한편으로는 대단히 이해가 가긴 해요. 내가 기르는 개의 죽음은 직접적으로 고통스러운 나 자신의 상실이고, 모르는 사람의 죽음은 한 단계 거쳐 상상해야 공감을 시도할 수 있는, 타인의 상실이니까요. 뭐가 옳으냐 하면 답은 어느 정도 있는 문제라 생각하지만, 그 선택이 쉽지는 않다고 봅니다. ‘내 양다리를 잃고 모르는 사람을 살리겠느냐.’ ‘내 시력을 잃고 모르는 사람을 살리겠느냐’와 비슷한 딜레마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1. 제가 그런 사람입니다. 예전에 그런 논쟁이 있었죠. 제가 거기서 제 개를 택한 사람입니다..의외이실 수도 있겠네요.
그러나 그것은 제가 했던 논쟁의 구체적 사례가 '물에 빠진 내 개와 모르는 사람 사이에 누구를 구하러 뛰어들 것이냐'는 문제였기에 그런 결론을 낼 수 있었던 것이죠. 그것은 위험부담을 오로지 제가 진다는 전제의 문제이기 때문에 제가 그렇게 행동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것이지 개의 권리가 사람과 같다고 생각해서 그러는 것이 아니죠.
다른 예시를 들자면, 내 개와 모르는 사람이 물에 빠졌는데 튜... 더 보기
그러나 그것은 제가 했던 논쟁의 구체적 사례가 '물에 빠진 내 개와 모르는 사람 사이에 누구를 구하러 뛰어들 것이냐'는 문제였기에 그런 결론을 낼 수 있었던 것이죠. 그것은 위험부담을 오로지 제가 진다는 전제의 문제이기 때문에 제가 그렇게 행동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것이지 개의 권리가 사람과 같다고 생각해서 그러는 것이 아니죠.
다른 예시를 들자면, 내 개와 모르는 사람이 물에 빠졌는데 튜... 더 보기
1. 제가 그런 사람입니다. 예전에 그런 논쟁이 있었죠. 제가 거기서 제 개를 택한 사람입니다..의외이실 수도 있겠네요.
그러나 그것은 제가 했던 논쟁의 구체적 사례가 '물에 빠진 내 개와 모르는 사람 사이에 누구를 구하러 뛰어들 것이냐'는 문제였기에 그런 결론을 낼 수 있었던 것이죠. 그것은 위험부담을 오로지 제가 진다는 전제의 문제이기 때문에 제가 그렇게 행동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것이지 개의 권리가 사람과 같다고 생각해서 그러는 것이 아니죠.
다른 예시를 들자면, 내 개와 모르는 사람이 물에 빠졌는데 튜브가 하나밖에 없다면 튜브는 사람에게 던져주겠죠. 그 때 내가 부담하는건 나의 위험이 아니니까요.
개와 사람이 동등해서가 아니라, 나의 생명과 신체의 위험을 감수할 가치를 부여할 대상은 내가 선택할 수 있으니 내 개를 택한다는 겁니다.
즉, 1과 같이 생각하는 사람이 절대 다수가 된다해도 개가 인간과 같은 수준으로 법적보호를 받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내 개'와 '개'를 구별못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그런 위험이 좀 커질 수는 있겠죠.
그러나 그것은 제가 했던 논쟁의 구체적 사례가 '물에 빠진 내 개와 모르는 사람 사이에 누구를 구하러 뛰어들 것이냐'는 문제였기에 그런 결론을 낼 수 있었던 것이죠. 그것은 위험부담을 오로지 제가 진다는 전제의 문제이기 때문에 제가 그렇게 행동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문제가 없다는 것이지 개의 권리가 사람과 같다고 생각해서 그러는 것이 아니죠.
다른 예시를 들자면, 내 개와 모르는 사람이 물에 빠졌는데 튜브가 하나밖에 없다면 튜브는 사람에게 던져주겠죠. 그 때 내가 부담하는건 나의 위험이 아니니까요.
개와 사람이 동등해서가 아니라, 나의 생명과 신체의 위험을 감수할 가치를 부여할 대상은 내가 선택할 수 있으니 내 개를 택한다는 겁니다.
즉, 1과 같이 생각하는 사람이 절대 다수가 된다해도 개가 인간과 같은 수준으로 법적보호를 받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내 개'와 '개'를 구별못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그런 위험이 좀 커질 수는 있겠죠.
맞습니다. 다만 인간 생명의 존엄성이란, [모든 인간의 생명은 가치를 뛰어넘는 가치를 갖고 있다]입니다. 저기 1번의 상황이 보편화 되면 단지 이것이 약간 부셔진다는 것을 말했습니다. 만약 이렇게 되면 인간의 생명의 존엄성이 훼손되거나, 개의 존엄성이 인정되겠죠.
물론 [개 또한 인간에 가까운 수준으로 법적인 보호를 받게 되겠죠] 요 말은 과장이 너무 심한 듯하네요. 하지만 적어도 지금보다 훨씬 더 법적인 보호가 강화될 것이고, 충분한 시간만 흐르면 ... 더 보기
물론 [개 또한 인간에 가까운 수준으로 법적인 보호를 받게 되겠죠] 요 말은 과장이 너무 심한 듯하네요. 하지만 적어도 지금보다 훨씬 더 법적인 보호가 강화될 것이고, 충분한 시간만 흐르면 ... 더 보기
맞습니다. 다만 인간 생명의 존엄성이란, [모든 인간의 생명은 가치를 뛰어넘는 가치를 갖고 있다]입니다. 저기 1번의 상황이 보편화 되면 단지 이것이 약간 부셔진다는 것을 말했습니다. 만약 이렇게 되면 인간의 생명의 존엄성이 훼손되거나, 개의 존엄성이 인정되겠죠.
물론 [개 또한 인간에 가까운 수준으로 법적인 보호를 받게 되겠죠] 요 말은 과장이 너무 심한 듯하네요. 하지만 적어도 지금보다 훨씬 더 법적인 보호가 강화될 것이고, 충분한 시간만 흐르면 자신의 '가족'인 개를 보호하기 위해서 인간에 가까운 수준의 보호를 받게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근대 이후의 역사적 흐름 중 하나가 '인간'의 범위 확대라고 생각하는데요, 당장은 '개'가 후보 1순위 아닐까요? 2등 시민의 지위에만 오른다면, 평등을 주장하기란 어려운 일이 아니니까요.
물론 [개 또한 인간에 가까운 수준으로 법적인 보호를 받게 되겠죠] 요 말은 과장이 너무 심한 듯하네요. 하지만 적어도 지금보다 훨씬 더 법적인 보호가 강화될 것이고, 충분한 시간만 흐르면 자신의 '가족'인 개를 보호하기 위해서 인간에 가까운 수준의 보호를 받게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근대 이후의 역사적 흐름 중 하나가 '인간'의 범위 확대라고 생각하는데요, 당장은 '개'가 후보 1순위 아닐까요? 2등 시민의 지위에만 오른다면, 평등을 주장하기란 어려운 일이 아니니까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