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8/07/09 06:16:53 |
Name | 기아트윈스 |
Subject | 왜 일본 만화 속 학교엔 특활부 이야기만 가득한가 - 토마스 라마르 |
토마스 라마르(Thomas LaMarre) 선생의 발표를 듣고 왔습니다. 발표가 넘나 인상적이에서 나중에 찾아보니 위키피디아에 등재된 네임드였다능. https://en.wikipedia.org/wiki/Thomas_LaMarre 이하는 제가 듣고 요약한 내용입니다. 1. 일본의 중고등학교는 애니 속에서 어떻게 표상되는가. 라마르가 보기에 2000년대를 전후로 아주 중요한 변화가 있었답니다. 그 이전의 학원물의 공간적 배경은 교실-복도로 이루어져있으며, 사건은 대개 수업시간의 교실이나 쉬는시간의 복도에서 일어난다든가, 그게 아니라면 하교길에서 일어난다든가 합니다. 학내에서 교실-복도를 제외하고 무언가 일이 벌어지려면 고작해야 운동부 정도. 란마 같은 만화를 생각해보시면 대충 각이 나옵니다. 2000년대에 들어서서 이 구도가 바뀝니다. 방과후 클럽/서클 활동이 들어오면서 학교생활은 이 '부서' 위주로 재편됩니다. 교실의 등장 비중 및 역할이 크게 축소되고 부서활동이 그 자리를 차지합니다. 케이온이나 두근두근 문예부 같은 경우를 생각해보십시오. 학교 다니는 게 학교 다닐라고 다니는 게 아니라 부서활동 할라고 다니는 게 아닌가 싶을 정도. 2. 왜 그런가 일본의 교육정책이 바뀐 게 큽니다. 90년대 말까지의 중고교 교실은 대입 전진기지로서의 역할이 컸습니다. 선생들은 애들 기강을 잡고 (discipline) 벌을 줍니다. 학생들은 옆에 앉은 섁기를 제치고 좋은 대학에 가기 위해 노력합니다. 배틀로얄은 교실의 이러한 성격을 대표하는 작품이자, (어쩌면) 최후의 작품입니다. 2000년대에 들어 일본 정부는 모든 학생에게 특별활동 클럽에 들기를 장려하기 시작합니다. 밴드를 하거나, 다도를 하거나, 좀비아포칼립스를 하거나 (??), 추리를 하거나, 기타등등 뭘 해도 됩니다. 특활은 아이들에게 취미를 개발할 수 있는 시공간을 제공합니다. 일본 애니는 이런 변화를 즉각 받아들였습니다. 왜냐면, 쟝르융합에 아주 유리하거든요. 일본만화의 과반은 학원물인데, 현실의 학교에서 공부만 한다면 만화속 학교가 다룰 수 있는 소재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특활부 위주로 새롭게 재편된 학교는 학원물의 쟝르적 한계를 극복하게 해줍니다. 소재가 뭐가 됐든 대충 어디 고등학교 특활부에서 이런 걸 했다...고 하면 됨. 3. 좋은 거냐 좋을 수도 안좋을 수도 있습니다. 애들 쥐어짜서 동경대 보내는 교육은 미셸 푸코가 말했던 것처럼 유순한 몸뚱아리(docile body)를 만들어내는 과정입니다. 불균일한 개개인에게 강한 기율 (discipline)을 부여해서 고분고분한 인간상을 만들어낸다는 거지요. 특활부 위주의 학교는 유순한 몸뚱이를 만드는 데 적합한 공간이 아닙니다. 대신에, 쥬디스 버틀러가 말한 바 흥분시키기 쉬운 몸뚱아리 (excitable body)를 만들어내는 곳이라고 볼 여지가 있습니다. 유순한 몸뚱이는 국가가 요구하는 몸뚱이들입니다. 애들이 말을 잘 들어야 동원(mobilise)이 되거든요. 반면에 흥분시키기 쉬운 몸뚱아리는 자본이 요구하는 몸뚱이들입니다. 자본이 '자 이거 갖고 싶지?' 라고 말했을 때 맘이 흔들려서 '아아... 호시이데스..'하고 지갑을 열어주는 몸뚱아리들이 있어야 되거든요. 자극에 쉽게 반응하는 몸뚱아리를 조련하기 위해서는 일찍일찍 취미시장에 노출시키고 굿즈 맛을 보여주는 게 중요하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실위주의 학교 (금욕적 학교)보다 활동부 위주의 학교(취미발달 학교)가 더 적합니다. 또 한 가지 관련하여 생각해볼 수 있는 부분은 일본 사회의 역동성이 상당히 감소했다는 점입니다. 이부분은 두 가지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는데, 하나는 계층이동, 다른 하나는 이념입니다. 아득바득 동경대에 가야만 했던 사회는 그래도 '출세'가 가능한 사회였는데, 계층이동이 어려워진 지금은 그렇게 아득바득 공부하느니 걍 학교에서 열심히 기타나 치다가 졸업하고 바로 편의점 알바하면서 소소하게 살다 죽는 삶이.... 일본사회가 무이념사회가 됐다는 것도 주목할 만합니다. 90년대까지는 그래도 '우뚝 일어서서 영광스런 일본을 건설하자' 정도의 이념은 있었는데 그 이후론 이렇다할 이념적 동력이 안보입니다. 딱히 우리 모두 열심히 살아서 어딘가로 함께 나아가겠다는 힘이 없으니 걍 어려서부터 기타나 치면서 너도 초식 나도 초식 하는 게 아닌가...;ㅅ; 라마르는 그래서 두 눈 부릅뜨고 발버둥치던 배틀로얄의 시대가 끝났다고해서 모든 교육 문제가 사라진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오히려 그 시대에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새로운 종류의 문제가 나타났고, 특활만 하는 만화속 중고교생들의 모습은 그런 문제를 어렴풋이 시사해주는 일각일지도 모른다고 하네요. 4. 결론 이 아조시가 워낙 달변이라 발표 듣는 동안은 아 그렇구나 설명 참 시원시원하게 잘하시네 하고 넘어갔는데 이제사 복기해보니 어쩐지 헬조선의 향기가 킁킁 나는군요. 크큭... 과연 동조선과 서조선은 형제의 나라라는 것이로군요 (웃음).... 22
이 게시판에 등록된 기아트윈스님의 최근 게시물
|
'유토리 교육'을 슬로건으로 내걸었던 1998년의 학습지도요령일까요...? https://ja.m.wikipedia.org/wiki/ゆとり教育
둘다 마음에 안드네요 끄응 유순한 몸뚱아리도.. 흥분하기 쉬운 몸뚱아리도.. 이념을 따라 우르르 몰려가는 사람들도, 이념이 없어지니 초식초식 하는 사람들도.. 아아.. 통찰력 좋은 글이란 이렇게 사람을 보잘것없이 보이게 만드는 것인가.. ㅜㅠ 끆끅
ㅎㅎ 잘읽었습니다.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어른들이 이런저런 좋은 교육 시스템을 만들어 아이들을 훌륭하게 키우려 노력하는데 그게 잘 안되잖아요? 이렇게 하면 이런 문제가 터져서 시스템 개편을 하면 또 다른 문제가 생겨서 갈팡질팡 하고 그동안 학생들만 피해본다 비판받고 하 ... 더 보기
ㅎㅎ 잘읽었습니다.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어른들이 이런저런 좋은 교육 시스템을 만들어 아이들을 훌륭하게 키우려 노력하는데 그게 잘 안되잖아요? 이렇게 하면 이런 문제가 터져서 시스템 개편을 하면 또 다른 문제가 생겨서 갈팡질팡 하고 그동안 학생들만 피해본다 비판받고 하 ... 더 보기
둘다 마음에 안드네요 끄응 유순한 몸뚱아리도.. 흥분하기 쉬운 몸뚱아리도.. 이념을 따라 우르르 몰려가는 사람들도, 이념이 없어지니 초식초식 하는 사람들도.. 아아.. 통찰력 좋은 글이란 이렇게 사람을 보잘것없이 보이게 만드는 것인가.. ㅜㅠ 끆끅
ㅎㅎ 잘읽었습니다.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어른들이 이런저런 좋은 교육 시스템을 만들어 아이들을 훌륭하게 키우려 노력하는데 그게 잘 안되잖아요? 이렇게 하면 이런 문제가 터져서 시스템 개편을 하면 또 다른 문제가 생겨서 갈팡질팡 하고 그동안 학생들만 피해본다 비판받고 하 노답이네 ㅉㅉ 하는 절망에 빠져들고..
그런데 지금 기아트윈스님 글을 읽고, 아, 정말 다행이다. 교육시스템이란 것이 불완전할수밖에 없어 정말 다행이다, 만약에 잘 만들어진 교육시스템이 있어 그 의도대로 <유순한 몸뚱아리>든 <흥분하기 쉬운 몸뚱아리>든 무럭무럭 양성된다면 얼마나 끔찍한 세상인가, 하고..
시대마다 상상하기 힘든 <새로운 종류의 문제>가 발생하는 덕분에, 어쩌면 인간은 길들여지지 않고 개성을 지키고 자기만의 이념을 위해 흥분하며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 했는데.. 아.. 아닌거 같아요.. 희망사항 같아요.. 허허허 출세와 계층이동의 가능성이 아니면 의욕이 없어지는게 인간이라는 평범한 결론에 왜 이렇게 힘이 빠질까요.. ㅜㅠ 말씀하신대로 옆나라만의 이야기가 아닌거 같아 더욱.. 그래도 이 논리에 속해 있지 않은 사람들을 개별적으로 여러번 겪을 수 있었던 저의 행운에 감사드립니다..
ㅎㅎ 잘읽었습니다.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어른들이 이런저런 좋은 교육 시스템을 만들어 아이들을 훌륭하게 키우려 노력하는데 그게 잘 안되잖아요? 이렇게 하면 이런 문제가 터져서 시스템 개편을 하면 또 다른 문제가 생겨서 갈팡질팡 하고 그동안 학생들만 피해본다 비판받고 하 노답이네 ㅉㅉ 하는 절망에 빠져들고..
그런데 지금 기아트윈스님 글을 읽고, 아, 정말 다행이다. 교육시스템이란 것이 불완전할수밖에 없어 정말 다행이다, 만약에 잘 만들어진 교육시스템이 있어 그 의도대로 <유순한 몸뚱아리>든 <흥분하기 쉬운 몸뚱아리>든 무럭무럭 양성된다면 얼마나 끔찍한 세상인가, 하고..
시대마다 상상하기 힘든 <새로운 종류의 문제>가 발생하는 덕분에, 어쩌면 인간은 길들여지지 않고 개성을 지키고 자기만의 이념을 위해 흥분하며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 했는데.. 아.. 아닌거 같아요.. 희망사항 같아요.. 허허허 출세와 계층이동의 가능성이 아니면 의욕이 없어지는게 인간이라는 평범한 결론에 왜 이렇게 힘이 빠질까요.. ㅜㅠ 말씀하신대로 옆나라만의 이야기가 아닌거 같아 더욱.. 그래도 이 논리에 속해 있지 않은 사람들을 개별적으로 여러번 겪을 수 있었던 저의 행운에 감사드립니다..
글쵸. 교육을 아무리 건드려도 애들이 꼭 거기 맞춰서 자라진 않지요 ㅋㅋ 다만 그... 뭐랄까... 이건 그냥 개인적인 짐작인데, 전반적인 분위기? 그런 건 교육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 같긴 해요. 배틀로얄 분위기/교실이데아 분위기를 입시정책과 분리해서 생각하기 어려운 것처럼요. 교육정책은 그런 면에서 '교육'계를 넘어서는 영향력이 있는 것 같아요. 그러니 늘 예의주시 해야 ㅎㅎ
무이념의 세상, 계층이동이 없는 세상이 얼마나 힘빠질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저도 평소에 어렴풋이 짐작만 하던 건데 라마르 센세가 바로 그 이야기를... 더 보기
무이념의 세상, 계층이동이 없는 세상이 얼마나 힘빠질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저도 평소에 어렴풋이 짐작만 하던 건데 라마르 센세가 바로 그 이야기를... 더 보기
글쵸. 교육을 아무리 건드려도 애들이 꼭 거기 맞춰서 자라진 않지요 ㅋㅋ 다만 그... 뭐랄까... 이건 그냥 개인적인 짐작인데, 전반적인 분위기? 그런 건 교육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 같긴 해요. 배틀로얄 분위기/교실이데아 분위기를 입시정책과 분리해서 생각하기 어려운 것처럼요. 교육정책은 그런 면에서 '교육'계를 넘어서는 영향력이 있는 것 같아요. 그러니 늘 예의주시 해야 ㅎㅎ
무이념의 세상, 계층이동이 없는 세상이 얼마나 힘빠질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저도 평소에 어렴풋이 짐작만 하던 건데 라마르 센세가 바로 그 이야기를 콕 찝어줘서 속이 시원했어요. 왜 그렇잖아요. 둘 다 제 취향은 아니지만, 그래도 꿈이라곤 재산 불리는 것 밖에 없는 수꼴러의 개진개진한 눈보단 조국과 민족의 무궁한 영광을 외치는 수꼴러의 날 선 눈빛이 쬐끔 낫지 않나요 ㅋ
무이념의 세상, 계층이동이 없는 세상이 얼마나 힘빠질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저도 평소에 어렴풋이 짐작만 하던 건데 라마르 센세가 바로 그 이야기를 콕 찝어줘서 속이 시원했어요. 왜 그렇잖아요. 둘 다 제 취향은 아니지만, 그래도 꿈이라곤 재산 불리는 것 밖에 없는 수꼴러의 개진개진한 눈보단 조국과 민족의 무궁한 영광을 외치는 수꼴러의 날 선 눈빛이 쬐끔 낫지 않나요 ㅋ
"경쟁을 해봤자 별 의미 없으니 경쟁따위 해서 뭐해..."같은 흐름으로 읽혀서 보기 좋아보이는 경쟁없는 입시의 그림자라고 해석해도 되겠네요.
일본의 고등학교선생님이 하는 말인데,
부활동관련 장려는, 학교를 가기 싫다는 아이들에게 왜 학교에 가기 싫냐고 물어보니 학교에서는 공부만 한다. 그래서 그것을 바꾸어 보자는게 시초가 되었다고 합니다. 운동을 하지 않고 책상에 앉아만 있으니 아이들이 체력적으로 약해지고 이것은 정신적으로 약해지므로 외부활동, 부활동을 유치원 부터 강화시켜서 발란스를 맞추려고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일본의 유치원부터 초중고학교들은 공부와 운동을 병행하는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장소가 불가할 경우 옥상에라도 운동장소를 만들어서 운영합니다. 특히 수영장을 옥상에 많이 만들어요
부활동관련 장려는, 학교를 가기 싫다는 아이들에게 왜 학교에 가기 싫냐고 물어보니 학교에서는 공부만 한다. 그래서 그것을 바꾸어 보자는게 시초가 되었다고 합니다. 운동을 하지 않고 책상에 앉아만 있으니 아이들이 체력적으로 약해지고 이것은 정신적으로 약해지므로 외부활동, 부활동을 유치원 부터 강화시켜서 발란스를 맞추려고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일본의 유치원부터 초중고학교들은 공부와 운동을 병행하는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장소가 불가할 경우 옥상에라도 운동장소를 만들어서 운영합니다. 특히 수영장을 옥상에 많이 만들어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