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8/12 02:11:24
Name   마르코폴로
Subject   한국과 비슷한 논리, 미얀마의 최저임금
뉴스위크지를 보다가 한국인에게 익숙한 논리로 무장한 사용자 단체에 관한 기사가 있어 소개해 봅니다.

최근 미얀마는 미얀마 최초로 최저임금을 정하려 하고 있습니다. 하루에 3.25달러 선이라고 합니다. 이에 대해서 350개 공장을 대표하는 미얀마 의류제조업체연합은 정부 최저임금안이 너무 높아서 공장 문을 닫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지난 수년간 갭, H&M, 마크스 앤 스펜서 그룹, 프리 마크 스토어스 같은 서방 의류 소매업체들이 미얀마의 10여개의 의류 공장과 계약을 체결했습니다.지구상에서 가장 싼편에 속하는 미얀마의 인건비와 아시아 시장에 대한 접근성이 기업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온 까닭이지요. 지난해 갭은 미얀마에서 공개적으로 계약을 체결하면서 ' 미얀마 경제가 일어서는 데 의류업계가 큰 도움을 줄 것' 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미얀마 국내의 의류업계 기업주들의 주장대로 최저임금 법안이 통과되지 않는다면 새롭게 창출된 경제성장의 과실이 근로자에게는 돌아갈 일이 없을 듯 합니다. 미얀마 의류제조업연합은 정부 최저임금안이 너무 높아서 공장을 가동할 수 없다고 주장하면서 의류업계에만 하루 2달러 선의 최저임금을 적용해 달라는 창조(?)적인 요구를 하고 있습니다. 공장의 기본 임금은 현재 하루 1달러 선이라고 합니다.

서방기업들 특히 갭과 H&M의 경우 근로환경 개선을 공개적으로 지지했습니다. 강제 노동, 부당한 초과근무 요구, 불법적인 하청관행 같은 문제에 우려를 표명하고 전국적인 최저임금 제도의 시행을 지지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막상 정부가 최저임금안을 제시하자 서방브랜드들은 입을 다물고 있습니다.이에 대해서 국제노동조합연맹의 법률팀장인 제프리 보그트는 서방브랜드들은 임금인상과 근로자의 생활향상에 대한 분명한 책임을 가지고 있다는 의견을 밝혔습니다. 현재의 미얀마의 대다수 의류공장들은 전통적인 노동착취공장과 다를 바 없고 안전문제, 임금체불, 잔업수당 미지급, 노조 차별 등 온갖 전형적인문제를 안고 있는데 갭과 H&M이 마음만 먹는다면 이 같은 문제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지요. 미얀마 당국이 외자유치에 열을 올리기 때문에유력기업이 비즈니스환경에 경종을 울릴 때는 귀를 기울이는 편이라는 점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소한 서방브랜드들이 납품 공장들을 독려해 정부안에 저항하지 않도록 할 수는 있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재미난 점은 미얀마로 몰려드는 외국 의류업체 중에는 중국과 한국 기업이 가장 많다는 점입니다. 베트남, 캄보디아, 방글라데시 보다 휠씬 낮은 미얀마의 인건비와 느슨한 규제환경때문에 기업들이 미얀마로 많이 진출하고 있다고 합니다. 방글라데시 같은 경우도 현지의 월 최저임금은 70달러선에 불과하지만 민간부문 임금 하한선이 없는 미얀마에 비해선 상대적으로 높은 금액이라고 합니다. 미얀마의 공장주들은 이같은 상황을 자산으로 여깁니다. 이웃나라 태국은 하루 평균임금이 20달러인 반면 미얀마에선 2달러에불과해서 상당한 원가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곤 합니다. 임금 뿐만 아니라 미얀마에선 작업환경에 대한 기준과 안전 기준 같은 것들이 갖춰져 있지 않기때문에 이를 위한 비용도 극히 적게 듭니다. 공장주들이 지켜야하는 안전과 건강에 대한 규정이 1951년에 마지막으로 개정된 있으나마나 한 수준이기 때문이지요. 건축물에 관한 규정 역시 열악하긴 마찬가지입니다. 이웃국가들도 건축물에 대한 규제가 약한 편이지만 미얀마의 경우 애당초 전국적인 건축법 자체가 없습니다. 최저임금과 마찬가지로 정부가 관련법을 마련하기위해 노력하고 있는 단계에 있습니다.

이 같은 환경들에 비춰볼 때 최저임금은 기준향상을 위한 합리적인 조치라고 제프리 보그트는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는 정부의 최저임금안이 통과 되더라도 미얀마의 임금수준은 세계최저수준이며 미얀마업계가 엄살을 부리는 것으로 정부에 부담을 줘서 임금을 재조정하려 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미얀마 공장 협회에서는 최저임금에 대한 논쟁이 중국, 한국 일본 등지의 투자자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미 신규투자가 예전만 못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미얀마에 최저 임금이 도입되더라도 경쟁국들에 비해 낮은 수준의 임금인 것은 맞지만 초과근무 수당 의무 지급비율이 이웃나라들보다 높다는 것이지요. 근로시간이 주당 44시간을 초과하면 시급이 약 2배가 되는데 정부의 최저임금안이 통과된다면 비용에 대해 압도적인 경쟁력을 가지던 이전에 비해서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와 간신히 경쟁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전락한다는 것이 공장 협회의 주장입니다. 미얀마가 다른 나라들에 비해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낮은 임금으로 외국 기업들을 유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가본적도 없는 낯선 나라에서 어딘가에서 많이 보고 들은 것 같은 논리를 접하고는 반가운(?)마음에 소개해 봤습니다. 참고로 올해 영국의 위험 분석업체 베리스크 메이플크로프트 조사에 따르면 미얀마의 인건비는 조사대상 172개국중 171번째라고 합니다. 만약 정부가 제시한 최저임금안이 발효된다 하더라도 주변의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베트남, 태국보다 인건비가 더 싸다고 하네요.




0


    난커피가더좋아
    가끔...월러스타인이 완전히 틀린얘기 한건 아니구나 싶어요...휴
    마르코폴로
    사회주의로 가는건가요. 흐흐
    Neandertal
    낯선 미얀마에서 익숙한 향기를 맡는 느낌이네요...--;;;
    마르코폴로
    저도 여긴 어디고 나는 누군가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Beer Inside
    의류업체라고 하기보다는 봉제공장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익숙한 업체들이지요.

    한국의 한세실업으로 대표되는 이런 봉제업은 전기와 저렴한 임금 또는 괌처럼 세제혜택이 있으면 전세계 어디든지 날아가서 공장을 만듭니다.

    그래서 그들에게는 저렴한 임금이 필수적이지요.

    우리가 입고있는 저렴한 의류들은 대부분 이러한 공장에서 만들고 있고, 보통 고가의 옷들은 한국에서 만드는 경우가 많다고 하더군요.
    마르코폴로
    이윤을 남기는 것이 분명 중요합니다만 도를 넘은 듯한 느낌이 있어요.
    Beer Inside
    봉제업 자체가 시설투자비가 아주 저렴하기 때문에 미안마의 인건비가 오르면 다른 곳으로 달려갈 확률은 아주 높지요.

    기술 축적이라는 것이 거의 없는 산업이라서....
    미얀마 뿐이 아니라, 제가 있는 캄보디아도 그렇고 저임금 국가에서 많이 이슈가 되는 문제이지요..
    우선 봉제산업 자체가 노동집약 산업이기에 임금 이슈에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한다는점도 있고,
    생산 업체들은 대부분 2차 3차 벤더들이 된다는 점 등이 문제를 어렵게 만들고는 합니다.
    여기서도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임금상승에 체감하는 온도차가 크게 나기도 하구요.

    캄보디아 최저임금의 경우 2011년 55$(한달입니다...) 에서 2015년 128$ 이 되었고, 상승폭으로만 매년 20%정도가 증가한 수준입니다.
    업체들은 이러한... 더 보기
    미얀마 뿐이 아니라, 제가 있는 캄보디아도 그렇고 저임금 국가에서 많이 이슈가 되는 문제이지요..
    우선 봉제산업 자체가 노동집약 산업이기에 임금 이슈에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한다는점도 있고,
    생산 업체들은 대부분 2차 3차 벤더들이 된다는 점 등이 문제를 어렵게 만들고는 합니다.
    여기서도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임금상승에 체감하는 온도차가 크게 나기도 하구요.

    캄보디아 최저임금의 경우 2011년 55$(한달입니다...) 에서 2015년 128$ 이 되었고, 상승폭으로만 매년 20%정도가 증가한 수준입니다.
    업체들은 이러한 상승폭은 너무 높다면서 여전히 임금 동결을 주장하고 있고, 노동자 측에서는 절대치가 너무 낮다고 말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임금을 더 올리는게 맞다고 생각하는데...
    공장들은 또 생각보다 쉽게 떠나갈 수 있어서 어려운 문제입니다.
    한개 공장이 고용하는 인력이 적게는 3~400명에서 많게는 1000명이 넘어가는데 한개 공장이 문을 닫으면 이 인력들이 시장에 풀리는 거고,
    이를 모두 수용할 일자리가 있는가? 생각해보면 또 어렵고..
    하고 싶은 말은 많았는데 댓글로 달려니 좀 그렇네요 ㅜㅜ.
    마르코폴로
    그래도 캄보디아는 미얀마보단 상황이 조금 나은 것 같긴 하군요. 거기서 거기긴 합니다만. 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7 기타안녕하세요~ 3 오즈 15/05/30 8320 0
    780 정치한국과 비슷한 논리, 미얀마의 최저임금 9 마르코폴로 15/08/12 7014 0
    69 기타홍차넷이라.. 25 아몰라 15/05/30 10891 0
    2428 기타스타크래프트1 프로게이머 커리어 랭킹 TOP 10 1 김치찌개 16/03/19 8316 0
    2429 방송/연예[프로듀스 101] 4차 경연 후기 4 Leeka 16/03/19 6567 0
    72 기타종로 번개 모임을 가져볼까요 44 Toby 15/05/30 11098 0
    73 기타안녕하세요~~ 4 세상의빛 15/05/30 9046 0
    781 음악나나 무스꾸리 - 젊은 우체부의 죽음 7 새의선물 15/08/12 6758 0
    782 일상/생각한 폭의 그림같은 직장 이야기 #6 5 No.42 15/08/12 5880 0
    79 기타반갑습니다! 홍차넷~ 6 ARIA Company 15/05/30 7660 0
    83 기타영구강등 이야기 20 헬리제의우울 15/05/30 8879 0
    84 기타회사에서 가입했습니다. 4 세인트 15/05/30 7384 0
    145 기타[과학철학] “H₂O는 물이 아니다” 13 삼공파일 15/06/01 14505 0
    96 기타[펌] 메르스 사태 향후 대처 예상 5 西木野真姫 15/05/30 7031 0
    98 기타혹시 친구가 단 한명도 없는 분 계신가요? 28 Yato_Kagura 15/05/30 18347 0
    184 기타6/9일 새벽 2시, WWDC 15 - To learn about the future of iOS and OS X 4 Leeka 15/06/03 8667 0
    185 기타[축구] 제프 블래터 FIFA 회장이 사임했습니다. 12 kpark 15/06/03 8370 0
    186 음악요즘 듣고 있는 해외앨범(Mark Ronson 새앨범 Uptown Special) 1 김치찌개 15/06/03 10982 0
    187 기타[엘가] 위풍당당 행진곡 - 오르간에 대해 아시나요? 24 표절작곡가 15/06/03 9424 0
    183 기타첫 사망자보다 먼저 숨진 의심 환자 있다 7 오즈 15/06/03 9484 0
    105 기타반갑습니다... 8 마네 15/05/31 8631 0
    106 기타[불판] 가입 인사 불판입니다. 88 Toby 15/05/31 13722 0
    107 기타[회전목마의 심야영화] 스파이 9 회전목마 15/05/31 10193 0
    109 기타범인은 잡았는데 정의는 과연 이루어졌는가? - 실종느와르 M 2 시아 15/05/31 9497 0
    112 기타최근 봤고 보고 있는 아니메(망가포함, 약스포 주의) 16 Yato_Kagura 15/05/31 15832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