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8/10 18:47:36
Name   빛과 설탕
File #1   PYH2015081001300001300_P2.jpg (41.5 KB), Download : 7
Subject   지뢰 사고에 대하여


m.news.nate.com/view/20150810n12050

이번에 1사단에서 북한군이 매설한 것으로 추정되는 목함지뢰를 밟아 수색대대 하사 2명이 중상당하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댓글들을 보거나 제 주변 지인들이 이야기하는 것을 들으니 수색대대 전역자로서 답답해 몇 자 적고자 합니다.

1 북한군이 지뢰 매설하러 오는것을 왜 몰랐나.

여름이 되면 수풀이 울창해져 시야가 매우 제한됩니다. 서부전선은 특히 평지가 많아 트와일라잇에 나올 법한 울창한 숲 지대들도 많습니다. 이런 곳은 대낮에도 밤처럼 어둡고 아군 gp가 쌍안경 혹은 TOD로 감지하기가 매우 힘듭니다.

이런 이유로 서로 비무장지대에 불을 질러, 며칠 내내 병사들이 그 독한 연기를 마셔야 하는 때도 있지요. (비무장지대 안의 불은 끄지 않음)

이번 사고가 벌어진 지역은 수풀 앞 추진철책인데, 빠르게 이동하면 아군 gp에 노출되는 시간이 약 3초 정도라고 합니다. 3초면 '이거 동물인가?' 할 수도 있고, TOD가 360도 모두를 감시하지는 않으므로 잠깐 다른 각도를 감시하고 있었을수도 있습니다.

이런 연유로 한여름 작정하고 넘어온 북한군을 인지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2 수색대대는 지뢰탐지기 없음??

있습니다. 허나 안 씁니다. 지뢰탐지기는 말이 지뢰탐지기고 사실 금속탐지기입니다. 탄피 찾을때 매우 유용하죠..

무게도 무겁습니다. 수색대가 수색할 때 탄, 수류탄, 총기, 기타 보직에 맞는 물품들(무전기, 구급낭, 후레쉬..) 을 챙겨 가면 개인당 등짐무게가 15kg쯤 됩니다. 여기에 선두의 수색조장이 지뢰탐지기를 들고 그 무게에 총기까지 휴대해서 간다? 수색의 본질과도 멀어질 뿐더러 굉장한 비효율입니다. 그리고 애초에 플라스틱 발목지뢰나 목함지뢰는 아주 작은 공이만 쇠로 되어있으므로 잘 탐지되지도 않습니다.

무게도 무게지만 지뢰탐지기를 사용하며 수색을 한다면 10분 거리를 1시간에 가야 합니다. 보통 수색 제한시간이 3~4시간이므로 절대적으로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저희는 지뢰탐지기를 갖고 가되 분리해서 각자 등짐에 부품을 나눴습니다. 의심스러운 지역(계곡이나 물골지역은 지뢰가 떠내려올 수 있습니다)에서만 가끔 조립해서 돌리는 것도 굉장한 FM이라고들 했습니다. 사실 저희 부대도 지뢰따윈 배제하고 지뢰탐지기를 휴대하지 않는 부대였지만 옆 사단에서 지뢰사고가 터져 그때부터 휴대만 했습니다.

3 그럼 지뢰 제거는 안하나?

연례행사로 합니다. 지뢰탐지복이 따로 있습니다. 이번주 진짜사나이를 보신 분은 아실지도 모르겠습니다. 옷 무게만 30키로에 육박합니다. 한여름에 그걸 입고 수색하라면 아마 지뢰 밟고 죽겠다는 사람들이 더 많을 겁니다. 저도 몇 번 안 입어봤지만 그걸 입으면 다른 장비를 착용할수가 없기 때문에 보통은 공병대대가 와서 지뢰탐지를 하고 수색대대가 엄호를 합니다. 그걸 매일 매달 할 수는 없으므로 연례행사로 합니다. 가끔 수색로를 새로이 개척해야 할 일이 있으면 그때도 합니다. 한번 개척된 수색로는 안전하다는 암묵적인 생각이 있으므로 1사단 수색대도 그런 생각에서 의심 없이 수색을 진행하다 지뢰를 밟은 것이 아닌가 합니다. (지뢰가 떠내려오는 지역도 아니고, mdl이남이므로 안전하다는 생각)

이번 사고의 보복으로 대북심리부대가 활동을 재기할 것이라는 말이 있던데요. 북한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는 모르나 고무적인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각자 무사히 전역한 것을 다시 한번 감사하는 하루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추가로 기사가 올라왔네요.

-구홍모 합참작전부장은 "7월22일 이전에는 우리 병력이 거기에서 활동했기 때문에 그전에는 매설하지 않았고 7월23일부터 지뢰가 폭발한 8월4일 전날인 8월3일까지 그 사이에 매설했다"고 설명했다.

수색 코스는 사단마다 약 20여개가 있는걸로 압니다. 매주 날씨, 북한군의 동향, GP와의 연계작전 등을 고려해 작전명령서가 내려오는데 어디 코스를 몇명이 가라, 라고 내려오지요. 합참작전부장 말대로라면 7월 22일에 사고지역 수색이 있었고 8월 4일에 같은 코스의 수색이 있었다는 말이 됩니다. (중간에 빈 날짜들은 다른 코스를 돌았겠죠)
불과 10여일 안에 북한군이 내려와서 지뢰를 심었다, 라는 생각은 GP가 관측 자체를 못했기 때문에 수색대대원들이 하기는 불가능합니다.
그렇다고 GP를 탓하기에는 위에서 언급한대로 많은 어려움이 있어서.. 여러모로 안타깝습니다.



0


    난커피가더좋아
    아오...현실도 모르고 막 닥달하고 욕하는 거...그러지 말아야죠. 이 날씨에도 나라지킨다고 죽을둥 살둥 고생하는 사람들이 아니라, 자기들의 정치놀음에 빠져있는 고위지휘관과 관료조직을 매섭게 비판을 들이대야지요. 현실을 잘 알 수 있도록 정보를 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빛과 설탕
    폭발이 난 후 병사들이 당황하지 않고 기습일 가능성을 두고 경계를 하는 모습과 엄호하에 부상자를 후송하는 것이 찍혔다고 하는데 비난받는게 안타까워서요..
    최종병기캐리어
    통문 나가자마자 1차 폭발이 일어나고, 피해자(1명)을 응급처치하고 후방으로 이송하려고 다시 통문으로 들어오는데 2차 폭발이 터졌다고 하더라구요.

    피해자를 비롯한 수색대원들을 비난해서는 안되죠.
    최종병기캐리어
    저렇게 게릴라식으로몰래 지뢰를 매설해놓고 간다면 당하는쪽은 꼼짝없죠. 전선이 1~2키로라면 모를까...

    근데 안보에 신경쓴다는 정부가 이런 국지도발에 아무것도 안하고 있는다는게 더 답답하네요. 대북방송 재개하는걸로 퉁치고 끝낼기세던데....에휴.
    빛과 설탕
    북한 gp을 보복성으로 타격하려다 미군의 반대로 무산되어 대북방송으로 퉁치게 됐다고 하더군요. 북한이 사실 \'옛날에 묻힌 게 유실된거 아님?? 목함지뢰에서 송진냄새가 나니 최근에 묻은 거라구? 너희들이 조사한건 못 믿겠는데?\' 라고 하면 할 말이 없거든요.
    대북심리부대가 활동을 재기하는 것이 고무적이라면 어떤 의미에서 그러한가요?
    최종병기캐리어
    국정원의 활동이 활발해집니다?!
    병사들 입장에선 공격당해놓고 외교적 정치적 이유로 아무 손도 못쓰고, 아무 움직임도 보이지 않는다면 사기가 저하되겠죠? 그런 뜻이 아닐까 싶네요.
    난커피가더좋아
    저도 이렇게 이해 했습니다.
    그렇게 볼 수 있겠군요.
    기사 읽어보니 현장이 추진철잭 통문 바로 옆인 거 같던데 원래 통문쪽에는 CCTV 달아놓는 거 아니었나요? 아군 GP에 노출되는 시간이 3초라고 해도 그건 이동시간이지 매설하고 다시 이동하는 건 그보다 시간이 더 걸릴텐데 시야 문제로 경계가 어렵다는 게 이해가 잘 안 가요. 전 처음에 시야 문제 얘기 나오길래 DMZ 수색이나 매복하려고 돌아다니다가 터진 줄 알았거든요.
    빛과 설탕
    통문은 3가지가 있습니다.
    1 GOP 통문. 새해뉴스나 기사 사진에 나오는 거대한 통문들입니다. 2중 3중으로 되어 있습니다.
    2 GOP 소통문. 작은 통문으로, GP가 아닌 수색로 등으로 통하는 작은 문입니다. 일반 가정집 현관문 정도의 크기입니다.
    3 추진철책 통문. GP라인 혹은 GP라인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추진철책에 있는 작은 통문입니다. 귀순자들을 위한 귀순자수기함과 핫라인 등이 설치되어 있는 곳입니다.

    추진철책 통문은 MDL과 거리가 매우 가깝고 이 추진철책을 점검하고 통과하는 수색코스가 몇 있습니다. 수색 ... 더 보기
    통문은 3가지가 있습니다.
    1 GOP 통문. 새해뉴스나 기사 사진에 나오는 거대한 통문들입니다. 2중 3중으로 되어 있습니다.
    2 GOP 소통문. 작은 통문으로, GP가 아닌 수색로 등으로 통하는 작은 문입니다. 일반 가정집 현관문 정도의 크기입니다.
    3 추진철책 통문. GP라인 혹은 GP라인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추진철책에 있는 작은 통문입니다. 귀순자들을 위한 귀순자수기함과 핫라인 등이 설치되어 있는 곳입니다.

    추진철책 통문은 MDL과 거리가 매우 가깝고 이 추진철책을 점검하고 통과하는 수색코스가 몇 있습니다. 수색 도중에 터진 것 맞습니다.
    여기엔 CCTV가 없고 GP의 감시에 의존합니다.
    저희 사단은 매년 불이 3~4번씩 나서 추진철책에도 시야가 밝았는데 위 지뢰폭발 사진을 보시면 시야가 수목으로 매우 제한되어있는걸 보아하니 매설 자체도 노출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네요.
    이게 부대마다 다른 건지 아니면 제가 잘못 기억하고 있는 건지 철책 통문에도 CCTV 달아둔 걸로 기억하고 있었거든요. CCTV가 따로 없다면 감시하기 상당히 까다롭겠네요. 윗선에서는 GP감시 소홀로 부대 뒤엎고 있겠군요...
    빛과 설탕
    저희 사단은 추진철책 감시는 GP가 TOD와 쌍안경으로 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다만 GOP 철책라인에는 촘촘히 CCTV가 있었습니다.
    영원한초보
    인당관리해야 하는 통문이 몇개나 되나요?
    노크 귀순 사건도 있고 감시가 소흘하면 산악지형에서는 접근이 쉽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모든 철조망을 감시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출입구는 항상 주시가 되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저런 문이 인원에 비해서 그정도로 많은 가요?
    또한 감시할 수 없는 출입문이라면 문자체를 없애야 하는것 아닌가요?
    빛과 설탕
    그림으로 설명드리자면

    -----(통문)------GP--------(통문)------(통문)------GP---

    대게는 이런 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추진철책 통문을 없애면 우리가 추진철책 너머를 가지 못하잖아요.
    MDL 근처도 관리를 해야 하고 그쪽 부근에도 수색로가 형성되어있는 경우도 있어 추진철책을 없앨 수는 없습니다.
    물론 북한군이 넘어오지 못하게 억제하는 효과도 있고요.

    그리고.. 보통은 교육 받을때 철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감시하라고 하죠.
    북한군은 철조망을 L자로 절단하고 철조망을 극복한다, ... 더 보기
    그림으로 설명드리자면

    -----(통문)------GP--------(통문)------(통문)------GP---

    대게는 이런 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추진철책 통문을 없애면 우리가 추진철책 너머를 가지 못하잖아요.
    MDL 근처도 관리를 해야 하고 그쪽 부근에도 수색로가 형성되어있는 경우도 있어 추진철책을 없앨 수는 없습니다.
    물론 북한군이 넘어오지 못하게 억제하는 효과도 있고요.

    그리고.. 보통은 교육 받을때 철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감시하라고 하죠.
    북한군은 철조망을 L자로 절단하고 철조망을 극복한다, 땅을 파서 철조망 아래로 기어온다, 뭐 이런 식으로요.
    누가 당당하게 통문 자체에 다가오리라고 생각했겠어요. 문 자체를 감시할 생각은 하기 힘들었을 겁니다.
    눈부심
    북한이 \'근래에\' 매복한 지뢰때문에 생기는 사고가 원래 가끔 있는 일인가요. 아니면 지금까지 있었던 - 만약 있었다면- 아주 옛날에 매복되었던 지뢰뿐이었기 때문에 이번 사고의 의미가 특별한 건지요.
    몰래 내려와서 지뢰를 묻고 가다니 참 못돼 쳐먹은 악마들이군요.
    고견 나누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빛과 설탕
    근래 매복한 지뢰때문인건 40여년만이라고 합니다. 보통은 옛날 지뢰 때문에 사고가 나지요.
    하정우
    개인적으로 연평도 포격사건 이후에 발생한 국지도발인데, 심지어는 우리 철책까지 넘어와서 심고 도망간건데 대북심리전만 진행한다는게 진짜 많이 안타깝습니다. 연평도 사건때는 엉뚱한데다 자주포 쏘아댄걸로 끝내고, 이번엔 대북심리전만 하고, 이거 뭐 전쟁 무서워서 매번 이렇게 당하기만 하니 답답해 미칠지경입니다. 진짜 사고난 지점에서 가까운 북한의 군부대들에 직접 타격 너어야 하는거 아닌지 정말 화딱지가 나서.. 뭐 전쟁으로 번질까 하는 두려움에 그런다는건 잘 알겠지만, 젊은 친구들 2명이 평생 다리없이 살아가야 하는 고통을 겪을텐데, 가해자인 북한은 우리 병사 2명 보냈다는걸로 포상받고 있을 생각하니 쌍욕이 튀어나와서 못버티겠습니다.

    에휴. 진짜 정신나간 3대째 돼지놈을 잡아 죽였으면 좋겠네요.
    gop에서 근무할때, 여름에 철책 밖 제초작업 해야 하는데 방폭복을 제가 입었습죠. 지뢰탐지기 들고서요. 중대에서 제일 키크고 힘 세다고....

    본문에 적으신 그대로 차라리 지뢰밟고 죽고 싶은 심저이었습니다. 덥고 답답하고 무겁고 땀은 안빠지고 땅은 경사져서 제대로 서있기도 힘들고.....

    덕분에 6/25때 철모와 불발탄을 찾았습죠. TOD 애들 와서 치울때까지 그쪽은 작업 못해서 짜증이.....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3009 7
    15432 방송/연예백종원 사태에 대한 생각 11 + Daniel Plainview 25/05/07 420 9
    15431 정치덕수옹은 대체.. 14 + Picard 25/05/06 1076 0
    15430 방송/연예2025 걸그룹 2/6 11 + 헬리제의우울 25/05/05 412 15
    15429 음악오늘 유난히도 다시 듣게 싶어지는 곡들 이이일공이구 25/05/05 345 0
    15427 육아/가정광명역에서 세 번의 목요일, 그리고 어머니 22 그런데 25/05/05 643 48
    15426 정치운석은 막을 수 없다: 정상성(Normality)의 관점에서 8 meson 25/05/05 571 13
    15425 정치내각제와 대법원 4 당근매니아 25/05/04 485 11
    15424 정치한국현대사에 파시즘 정권이 존재했는가? 10 meson 25/05/04 452 2
    15423 스포츠[MLB] 김혜성 LA 다저스 콜업 김치찌개 25/05/04 263 0
    15422 정치당연히 이재명이겠거니 하는 공유된 태도 29 명동의밤 25/05/03 2061 19
    15421 일상/생각옛생각에 저도 suno로 하나 만들어봤어요. 1 큐리스 25/05/02 467 0
    15420 정치양비론이 가소로워진 시대 1 meson 25/05/01 741 11
    15419 게임(ChatGPT게임) 2025 콘클라베 - 루이스 안토니오 타글레 시뮬레이션 똘빼 25/05/01 322 0
    15418 도서/문학백종원과 신창섭 사이에는 무슨 관계가 있을까? 2 구밀복검 25/05/01 677 6
    15417 정치오늘의 일에 부쳐 영원한웬디 25/05/01 605 3
    15416 오프모임서양근대사 세미나에 참여하실 회원을 모집합니다 3 영원한웬디 25/05/01 544 1
    15415 창작탐라를 지키는 100명의 회원들 MV 13 수퍼스플랫 25/05/01 656 11
    15414 기타노트북LM으로 만들어본 팟캐스트 16 토비 25/04/30 608 9
    15413 일상/생각나아가고 있겠죠? 9 골든햄스 25/04/29 728 27
    15412 음악탐라를 지키는 100명의 회원들 68 토비 25/04/29 1660 38
    15411 오프모임(급벙)칡이 광주에 내려온다 4.30 22 25/04/29 748 8
    15410 도서/문학쳇가씨 답정너 대담 백치 1 알료사 25/04/28 408 2
    15409 요리/음식옛 중국집에 관한 환상? 15 당근매니아 25/04/28 956 8
    15408 도서/문학'야성의부름' 감상 1 에메트셀크 25/04/27 437 5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