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8/03/18 00:02:23 |
Name | 기아트윈스 |
File #1 | M_obama.jpg (247.6 KB), Download : 9 |
Subject | 현실, 이미지, 그리고 재생산 |
초딩들에게 한국말 가르치고 있습니다. 만 9세짜리 소녀에게 '나중에 뭐가되고 싶니'라고 물어보니 망설임 없이 [영의정!(Prime minister!)]이라고 하네요. 너무 당당하고 씩씩하고 자신감넘쳐서 넘나 이뻤던 것. 얼마 전엔 한 흑인소녀가 미셸 오바마의 초상화를 보고 넋이 나간 사진이 화제가 됐었어요. 애 엄마가 아무리 애를 달래도 애는 하염 없이 초상화만 봤대요. 나중에 애가 엄마한테 '저건 Queen이야. 나도 저렇게 되고 싶어.'라고 했다고 해요. 이미지는 현실을 압축적으로 모방해요. 나폴레옹의 권위와 힘을 이미지화하기 위해 각기 다른 초상화를 1천장 씩 그릴 필요는 없어요. 그냥 이런 거 하나 그리면 되지요. https://www.worldatlas.com/articles/napoleon-bonaparte-world-leaders-in-history.html 나폴레옹은 먼저 힘으로 현실세계를 정복한 뒤 그 여세를 몰아 그림으로 상징세계를 정복한 거예요. 이렇게 정복된 상징세계는 다시 현실세계를 구속하는 힘을 가져요. 프랑스 육사생도들을 개처럼 굴려서 키워낸 후 전선으로 보내는 데는 저 그림 하나면 충분했어요. 개쩐다. 간지좀 봐. 이러면서 저 그림이 상징하는 영원한 영광을 획득하기 위해 부나방처럼 포탄 속으로 돌격하게 되지요. 그래서 사회운동하는 사람들은 현실세계에서의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상징세계를 정복하려고 열을 올려요. 오바마가 당선되기 약 10여년 전부터 할리우드 영화를 비롯한 각급 픽션에서 꾸준히 흑인 대통령이 등장했던 건 우연이 아니예요. 1998년작 딥임팩트에서 모건 프리만이 위기에 처한 미국(이라기보단 전세계...)를 현명하게 진두지휘하는 모습이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진 시점에서 이미 '흑인대통령'의 이미지는 상징세계를 정복하기 시작한 거지요. 이와 같은 맥락에서 저는 성범죄 뉴스를 접할 때만큼 뽀로로를 볼 때에 한국사회의 젠더감수성에 실망하곤 해요. 전 딸이 둘인데... 애들한테 되도록 한국/일본 만화는 안보여줘요. 여자애가 안나오는 건 아닌데 여자애에게 주도권(initiative)을 주는 만화는 매우 드물거든요 (콩순이 정도?). 제가 금손이면 직접 그려보고 싶은데...에이... 논문이나 쓰러가야지... 6
이 게시판에 등록된 기아트윈스님의 최근 게시물
|
미셸 오바마 초상화가 멋있네요. 근데 쌀국은 대통령 말고 영부인 초상화도 저렇게 (아마 세금으로?) 그려서 걸어놓는군요. 한국적 정서로는 좀 이해가 안 되고 개인주의가 강한 서유럽인들도 으잉 할 만한데. 메르켈 남편은 부인의 취임식에도 참석 안한대잖아요. 쌀국문화 독특.
독일 이야기가 나와서 말인데, 트위터의 한 독일 유학러가 말하길 요즘 독일 애들은 수상 Kanzler, Kanzlerin 이란 단어에서 여성형인 후자에 길들여져 있잖아요. 그래서 가끔 부모한테 물어보는 애들이 있대요. 엄마 혹시 Kanzler란 단어도 존재하는 거야? 하고.. 메르켈 장기집권이 낳은 혼돈 ㅋㅋ
독일 이야기가 나와서 말인데, 트위터의 한 독일 유학러가 말하길 요즘 독일 애들은 수상 Kanzler, Kanzlerin 이란 단어에서 여성형인 후자에 길들여져 있잖아요. 그래서 가끔 부모한테 물어보는 애들이 있대요. 엄마 혹시 Kanzler란 단어도 존재하는 거야? 하고.. 메르켈 장기집권이 낳은 혼돈 ㅋㅋ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