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7/21 18:57:30
Name   마르코폴로
Subject   콩국수, 서민음식과 양반음식의 하이브리드


콩국수는 냉면과 더불어 여름철을 대표하는 음식입니다. 하지만 정서적으로는 꽤나 차이가 있는 음식이기도 합니다.
냉면이 주로 밖에서 사먹는 외식의 이미지인 반면에 콩국수는 집에서 해먹는 가정식의 느낌이 강하지요.
이북에 연고가 있으신 분들이 아닌 한 냉면보다는 콩국수에서 옛향수를 느끼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일 겁니다.

이렇게 우리가 즐겨먹는 콩국수는 1911년에 발행된 '시의전서'에서 처음으로 그 형태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내용을 살펴보면 콩을 물에 불린 후 살짝 데치고 갈아서 소금으로 간을 한 후, 밀국수를 말아 깻국처럼 고명을 얹어 먹는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지금의 콩국수와 크게 다를 것이 없습니다만 깻국처럼 먹는다는 설명이 좀 특이합니다.

깻국은 양반들이 주로 먹던 음식으로 '동국세시기'에서 그 모습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여름철 계절 음식으로 밀가루 국수를 만든 다음 거기에 오이와 닭고기를 넣어 백마자탕에 말아 먹는다고 적혀있는데, 백마자탕이라는 것이 바로 들깨를 갈아
만든 깻국입니다.

-깻국에 닭육수를 섞은 임자수탕(농촌진흥청 사이트에 있는 깻국의 이미지를 쓰려니 자꾸 에러가 나네요.)

옛문헌을 살펴보면 조리서에 콩국을 말아먹는 면식에 관한 설명은 찾아보기 힘듭니다.
아마도 콩국이라는 것이 서민들이 향유하던 음식이었기 때문에 양반들의 기록에서는 찾아보기 힘든것이라 생각됩니다.
우리가 먹는 콩은 만주가 원산지일 정도로 역사도 깊고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곡물이었습니다.
과거부터 부족한 양식 대신에 콩을 갈아 국물을 만들어 놓고  배가 고플때마다 수시로 마시며 영양을 보충했습니다.

실학자 이익은 '성호사설' 에서 콩먹는 모임인 삼두회를 만들어 콩 음식을 즐겼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때 이익이 즐겼던 것이
콩죽과 콩국 한잔에 콩나물 한 쟁반 이었습니다. 다산 정약용 역시 춘궁기에 뒤주가 비면 콩국 마시는 것으로 만족하며 지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콩국이라는 것이 살림이 넉넉치 않은 사람들이 양식 대신에 먹던 음식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지금이야 콩이 쌀보다 비싸지만 과거에는 흔해 빠진 곡식이었죠. 우리가 지금까지 흔히 쓰는 '쑥맥'이라는 말에서 쑥이 바로 콩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가장 흔하고 많은 작물인 콩과 보리도 구분하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나온 말이죠.

이렇듯 가난한 사람들이 곡식 대신에 먹던 콩국에 과거에는 귀하기 그지없었던 밀국수를 말아 먹지는 않았을 겁니다.
그러니 밀가루 국수를 역시 귀한 깻국에 말아먹는 형태의 음식을 양반들이 여름철 별미로 즐겼던 것이고
이런 이유로 1900년대에 들어와서야 지금의 콩국수 형태가 만들어지게 된 것이지요.
냉면과 마찬가지로 1930년대에 무쇠제면기가 발명되면서 대중들이 흔히 즐기는 음식으로 보급되었을 겁니다.

과거에는 양반들이 주로 먹던 기름진 형태의 깻국에 면을 말아먹었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담백한 콩국에
밀국수를 말아먹는 경우가 더 많아 집니다. 그래서 양반들이 먹던 깻국은 사라지고 지금의 형태의 콩국수가 남게 된 것이지요.
  

  



0


    Beer Inside
    좋은 글 감사합니다.

    삼시세끼에서 맷돌로 콩국만드는 장면을 보니 상놈은 먹기 힘들었을 것 같기도 하더군요.

    세명이 앉아서 손을 바꿔가면서 맷돌을 돌렸다니...
    마르코폴로
    상놈은 대충 건더기가 있는 상태로 먹지 않았을까요. 흐흐
    난커피가더좋아
    오호. 또 하나 배웁니다.
    마르코폴로
    모르고 먹어도 맛있는 콩국수!
    아케르나르
    사실 콩국에 깨도 같이 갈아넣기는 합니다.
    마르코폴로
    사문난적?
    아케르나르
    시중에서 판매하는 콩국들얘기에요. 마트에서 파는 콩국 성분표 보시면 깨나 땅콩 같은 견과류 갈아넣은 것들이 좀 있습니다. 그리고 재래시장에서 파는 것들도 콩만 갈면 별로 안 고소하다고 깨를 갈아넣는 경우가 있다더라고요.
    마르코폴로
    그렇군요. 하긴 깨를 넣어야 고소한 맛이 많이 나긴 할 것 같습니다.
    까페레인
    주로 잣을 함께 갈아 넣기도 하지요.
    파란아게하
    여름이 되면 제 몸 성분의 20% 정도를 콩국수가 채웁니다.
    마르코폴로
    위에 분 말씀을 들어보니 그 중에 일부는 깨가 채우고 있는 듯 합니다.
    파란아게하
    저는 집에서 콩을 갈아 먹긴 하는데
    다 만든 국수 위에 깨를 뿌려먹으니까 그것도 그렇겠습니다 흐흐
    헬리제의우울
    바로 지난주에 어머니가 직접 밭에서 키우신 콩을 갈아서 콩국수를 해주셨습니다
    그런데 맛이 없더라구요
    검은콩을 썼는데 콩이 맛이 없었던걸로...
    마르코폴로
    검은콩도 쓰는군요. 블랙푸드??
    콩국수!

    서울 처음 와서 설탕 쳐 먹는걸 보고 기겁했던 기억이 납니다.
    저는 된장에 버무린 땡초랑 같이 먹는걸 너무나 선호합니다. 환장하지요.
    콩국수 먹고싶네요ㅠ
    Beer Inside
    이분 채소 경북분....
    마르코폴로
    전 겉절이랑 먹는걸 선호합니다. 된장에 버무린 땡초도 먹어보진 않았지만 좋을 것 같네요.
    우와.... 그렇군요...
    또 다른 사실을 알고 가네요 흐흐
    저는 콩국수를 좋아하는 편은 아니지만...
    임자수탕은 먹어보고 싶어지네요
    마르코폴로
    임자수탕은 저도 먹어본적이 없어요. 흑
    王天君
    안녕하세요 설탕파입니다. 슈가슈가 없이는 콩국수 비려서 못먹어요.
    쑥맥의 어원이 재미있군요.
    그런데 콩국수가 가정식의 이미지였나요...???
    마르코폴로
    저같은 경우에 어릴때 집에서 많이 해주셨죠. 냉면은 즉석식품류가 나오기 전까진 집에서 해 먹은 적은 없는 것 같아요. 그리고 전 순정으로 즐깁니다. 결국 모두 다 순정으로 돌아올겁니다. 그 곳에서 만나요.
    王天君
    전 슈가 없이는 아예 먹어본 적이 없어요 제게 순정이란 설탕입니다.
    백종원씨 마리텔 방에서 만나요 그럼 이만
    마르코폴로
    사문난적으로 경찰서에 신고했습니다.
    西木野真姫
    http://sudalnest.egloos.com/315570
    오래된 글이지만 콩국수에 설탕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게 하는 글입니다.
    마르코폴로
    설탕을 저 정도로 많이 넣는 건가요. 전 살짝 한스푼가량 넣는 줄 알았네요.
    구밀복검
    밋밋해서 그리 좋아하진 않습니다. 못 먹는다 이런 것은 아닌데 말 그대로 무미無味해서...무슨 맛인지 잘 모르겠어요. 뭐 안 먹어본지 5년 넘어서 그런지도 모르겠지만.
    마르코폴로
    고소한맛이랑 살짝 비린맛 정도 아닐까요. 그냥 맛있는 맛으로 먹고 있습니다. 흐흐흐
    시부야린
    부모님과 살때는 집에서 여름에 꼭 한두번은해주셔서 먹었는데 서울 올라와서는 그때 그맛을 못 느끼고 있네요. 아쉬운대로 서울 시청 앞 모 가게에 생각날때마다 한번씩 먹으러 가네요
    마르코폴로
    저도 혼자사는데 집밥이 그리울때가 많아요. 사먹는 건 나름의 맛이 있긴하지만 역시 집밥만 못한 것 같아요.
    솔지은
    극불호....
    마르코폴로
    짧은 단어에서 진심이 느껴집니다.
    스웨이드
    몸에서 안받는지 먹고나면 두드러기가 나서ㅠㅠ
    올해는 괜찮을까싶어서 먹어봤는데 여지없더군요
    마르코폴로
    이건 안 먹는게 답인 것 같아요. 흑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42 요리/음식한국식 파스타는 왜 맛이 없을까? 14 마르코폴로 15/08/25 12924 1
    831 요리/음식유툽삼매경 - 중국 Changhai 스트릿푸드 5 눈부심 15/08/23 4972 0
    769 요리/음식더운 여름에 마셔볼만한 값싸고 시원한 화이트와인 11 마르코폴로 15/08/11 9592 0
    704 요리/음식지금은 사라진 서양식 젓갈, 가룸 15 마르코폴로 15/08/02 18244 0
    695 요리/음식'내 마음은 항상 깔롱에 있소' - 샤또 깔롱 세귀르 8 마르코폴로 15/08/01 7418 0
    672 요리/음식'폴 로저' - 처칠이 사랑한 와인 13 마르코폴로 15/07/28 7562 0
    667 요리/음식연인 혹은 아내에게 선물하기 좋은 의미를 가진 와인(~3만원이하) 24 마르코폴로 15/07/27 11677 0
    628 요리/음식콩국수, 서민음식과 양반음식의 하이브리드 33 마르코폴로 15/07/21 8617 0
    605 요리/음식이연복셰프의 라면 직접 만들어먹은 후기 6 피아니시모 15/07/17 6972 0
    564 요리/음식이탈리안 식당 주방에서의 일년(5) - 마지막 이야기 46 뤼야 15/07/11 10021 0
    548 요리/음식이탈리안 식당 주방에서의 일년(4) - 토마토소스만들기 29 뤼야 15/07/09 10865 0
    544 요리/음식냉면에 관한 잡설 35 마르코폴로 15/07/08 10428 0
    539 요리/음식이탈리안 식당 주방에서의 일년(3) 20 뤼야 15/07/08 8859 0
    536 요리/음식이탈리안 식당 주방에서의 일년(2) 24 뤼야 15/07/07 7650 0
    529 요리/음식이탈리안 식당 주방에서의 일년 38 뤼야 15/07/07 8904 0
    513 요리/음식저는 음식을 가리지 않는 편입니다. 한국음식 중에선... 14 이젠늙었어 15/07/05 9181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