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9/13 20:16:26
Name   기아트윈스
Subject   게임중독
초중등레벨에서의 학업이란 티어부심을 위한 수단...에 가깝습니다. 배우고 때로 익히니 즐겁지 아니한가하면 그런 게 없는 건 아닌데, 즐거운 레벨을 넘어서서 (배움) 몰입하고 경쟁 (공부)하게 만드는 동인은 필시 티어부심입니다. 내가 상위티어고 내 친구가 하위티어면 기분이 가히 나쁘지 않지요. 그 기분이 '보상'으로 작용해서 공부에 매진합니다. 스노우볼을 굴려서 나와 친구 간의 격차를 확대시키고자 하고, 이를 위해 사교육도 하고...마 그렇습니다.

부모가 시켜서 하는 거 아니냐고 생각하기 쉬운데, 애들이 그렇게 부모 말 잘 안 들어요. 초등학생들이 사교육 받으러 다니는 데에는 물론 부모의 역할도 있지만 애들 본인이 그걸 (최소한 어느 정도는) 원해서이기도 합니다.

티어부심은 타고나요. 부모와 사회의 역할은 '무엇'을 가지고 티어부심을 부릴 것인가를 알려주는 정도. [얘야, 롤(LOL) 티어부심보다는 공부 티어부심을 부려보는 게 어떠니. 그게 진짜 열라 짱이다?]

티어부심이 다른 동기부여요소로 대체되는 시기는 (제 경우엔) 중고등학교 전환기였던 것 같아요. 단순히 경쟁의 도구인줄로만 알았던 이 게임이 실은 장차 내 생존경쟁에 직결된 거라는 걸 그 때 즈음 깨달았거든요. 언젠가는 독립해서 내가 벌어서 내가 먹고 살아야하는데 어쩐지 공부티어 딸리면 먹고사는데 큰 지장이 올 것 같은 불안감이 있었어요.

먹고사는 일이 공부티어와 유관하다는 생각은 부모와 사회가 심어준 거지만, 그와 별개로 아이들이 나이먹고 먹고사니스트가 되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에요. 독립을 생각하고, 경제적 자립을 꿈꾸고.... 당연한 수순이지요. 또 공부티어=생존티어 공식을 부모와 사회가 심어줬다고 해서 그게 꼭 틀렸다는 것도 아니에요. 그냥 뭐... 그게 다소간 맞을 수도 있지요. 다소간 아닐 수도 있고.

부모 입장에선 초등레벨 아이들이 공부로 티어부심을 부리는 걸 보면 자못 안심이 돼요. 왜냐하면 결국은 공부로 상위티어를 유지하면 졸업 후에 펼쳐질 생존게임에서도 상위티어를 획득할 거라는 기대와 믿음이 있거든요. 그런데 애들이란 부모 맘대로 안 움직이죠 ㅎㅎ 티어경쟁은 재밌지만 공부는 재미 없을 수가 있지요. 그래서 공부티어와는 다른 종류의 티어 스탠다드를 찾아내서 그 쪽으로 도망쳐버리는 경우가 생겨요. 남자애들의 경우 게임이 여기에 해당해요 (여자애들의 경우는 잘 모르겠음. 남돌 팬덤 화력전? 잭키 vs 쵸티?).

그래서 부모가 게임을 마약이라고 부르는 데는 다소간 진실이 숨어있어요. 마약이란 인간의 생존을 도모하기 위해 설계된 보상체계를 교란하는 것들이에요. 모르핀은 인간의 생존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그걸 주사로 꾹꾹 맞아가면서 히히거리면 생존에 지장이 오지요. 애들의 경쟁-보상 심리가 공부를 기준으로 설립될 경우 애들의 생존도모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최소한 많은 이들이 그렇게 믿지만), 스타, 롤, 오버워치 따위가 그 경쟁-보상 체계를 [해킹]할 경우...음... 생존에 지장이 오지요 (혹은 많은 이들이 그렇게 믿지요).

그래서 어쩌면 프로게이머의 존재가 더 중요했던 걸지도 몰라요. 공부티어부심이 정당화될 수 있는 이유는 공부티어가 생존티어로 태환된다는 믿음 때문이에요. 그러므로 게임티어부심을 정당화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게임티어가 생존티어로 태환된다는 걸 입증하는 거였어요. 1세대 프로게이머들은 이 태환을 시도한 선구자들이었지요. 이들이 성공한다고해서 내 주머니에 돈이 들어오는 것도 아니지만, 어쩐지 이들의 성공으로부터 내 학창시절이, 내 인생이, 내가 게임을 하며 느껴왔던 뜻모를 불안과 죄의식이 구원받을 것만 같은 느낌이 들었던 데에는 이런 이유가 있지 않나 싶어요. 그래서 자꾸 부모님께 '봐봐, 프로게이머가 얼마나 잘나가는데. 억대연봉 받는다니까'라며 [억대연봉]을 강조했는지도 몰라요. 그런의미에서 임요환과 1세대 후로게이머들은 그들과 시대를 공유했던 모든 스타1 게이머들의 세대투쟁, 인정투쟁의 전위였어요. 그들 대부분이 엇나가지 않고 이렇게 번듯하게 잘 살고 있다는 데서 전 지금도 큰 위안을 받아요.




그러던 어느날, 두구두구둥, 제가 최근에 애들에게 (만4세) Wii U (게임기)를 사줬어요. 진짜 정신나간 것처럼 해대는 걸 보니 한 편으론 제 선물이 먹혀들었다는 생각에 기분이 좋았지만 다른 한 편으론 이거 [중독]되는 거 아냐 싶어서 무섭더라구요 ㅋㅋㅋㅋㅋ

그래서 넘나 오래한다 싶으면 적당히 달래서 끄고, 하고 싶다고 졸라도 밖에 나가 놀라고 하고 안켜주고 막 그러거든요? 그러다보면 애들이 막

[아빠 너무해! 진짜 나빠! 아빠랑 안놀거야! 왜 게임 못하게해!!] 이러면서 막 울부짖고 난리가 나요.

아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거 다 제가 치던 대사들인데 ㅋㅋㅋㅋ 진짜 아니꼽고 더러워서 빨리 독립해서 죽어라 게임만 하고 싶었는데 ㅋㅋㅋㅋ

미안하다 얘들아 ㅋㅋㅋ 꼬우면 늬들도 빨리 내집에서 나가든가ㅋㅋㅋ



10
  • 부모부심 앞에선...ㅜㅠ
  • 그 때부터였을까요..독립을 다짐한게..


레지엔
아 그래서 우리 아버지가 그렇게 나한테 '그럼 나가서 니 돈으로 사'라고 하신거구나... 그래서 독립했습니다...
기아트윈스
저도 그렇게 독립하고 제 애들도 그렇게 독립할 거고.. 대대손손 독립만세.
CONTAXS2
제 예전 페북 포스팅이 생각나서 퍼왔습니다.
기아트윈스
나니... 이렇게 페북 아우팅을
빡센 학교였네요 제 학교는 수우미양가 절대평가였는데
켈로그김
게임부심때문에 제가 고등학교때 공부를 안했던거군요..
게임성적을 학업으로 그대로 옮겼으면 서울대는 거뜬했을텐데...
겜부심은 모르는 영역인데 삼국지10을 한참 열심히 할 때 - 거기 육아 시스템 있잖아요. 집에 들어갈 때마다 이쁜 아이가 '아버님 오늘은 무얼무얼 읽었습니다...' '아버님이 안 계시면 아무래도 외롭습니다...' 그러고 조숙한 체하는 아이를 보고 있으니 갑자기 애가 너무 갖고 싶은 거예요. 내가 귀가할 때마다 아기가 저런 말을 (해줄 리 없지만) 해주면 너무 황홀할 거 같아, 삼10을 모니터에 띄워놓은 채 가리켜 보이면서 집친구한테 이런 아이가 있으면 좋겠다 했어요. 그랬더니 왈 "너를 닮은 아기면 정말 귀엽고 좋은 아기일 거야... 아이한텐 가학(家學)을 가르칠 거야. 수학은 배워서 가르치고 외국어는 아는 대로 가르치고 세계사랑 문학은 같이 책 읽으면서 가르치고..." 그러는 집친구가 너무 귀여운 거예요. 한번 꼭 안아주고 기쁜 마음으로 삼10을 계속 플레이했어요. 근데 웬걸 열심히 키워놨더니 능력치가 60 60 60 60 60 젠장
기아트윈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결론이 ㅋㅋㅋ

근데 애 있으면... 참 좋아요. 무얼무얼 읽었다는 이야기 따윈 절대 안해주는데, 근데 애가 넘나 티나게 절 좋아해요. 막 좋아서 어쩔줄 몰라함. 전 그렇게 대단한 놈이 아닌데 막 그렇게 좋아함을 당하다 보면 아이에게 과분한 사랑을 받고 있다는 마음이 들어요. 그런 마음이 들면 행복하구요. 그 행복감이 다시 삶의 동력이 되고... 여튼 막 좋음. 나중에 능력치 올 70만 되어다오 ㅋㅋㅋ
넘나 좋은 티가 넘나 폴폴 지복의 아빠... ㅋㅋ 아이 없이 둘이 지내면 두 어른이 일정 정도 아이 역할까지 나누어 하고는 해요. 막 좋아서 어쩔줄 몰라하는 척 해주기, 아는 것도 괜히 다시 물어보고 칭찬해주기... 문제는 아이에겐 미지의 능력치에 대해 기대와 두근거림을 가질 수 있는데 - 뭐 어떤 결과가 나와도 좋은 거지만 - 어른들은 이미 통무지정매 수치가 다 발각돼 있어서 딱히 꿈꿀 것이 없.. -_- 아 나이 들면 능력치가 더 높아지는 삼11로 이전해야겠다
저희집 둘째놈은 아직 두 살인데 눈치가 빨라서 아빠가 외출복 입고 차키 들고 있을 때만 좋아합니다.......
구밀복검
뭐 사실 전 능력치 60대면 리얼 월드에선 보기 드문 명사로 꼽혔겠죠..애초에 삼10에 등장하는 자체로 당대 중국 인구 5천만 중 500등 안에 드는 셈 ㅋㅋ
부모의 욕심이 그런 거라능 ㅋㅋ 둘째 애는 과외 시킬 거 다 시키고 통솔 90대로 키웠어여.
Erzenico
등장하긴 하지만 500등 안엔 안 들거 같은 인물도 꽤나...
구밀복검
황호 유선잼 ㅋㅋㅋ 엄백호 성님 ㅜㅠ
Erzenico
손호도 있고 한현도 있고...
호라타래
으아아 달달하다
home sweet home, sweet pillow talks and bittersweet memories... (아무말잔치)
집친구(?)가 뭔가요? 남편인가요..
네 남편... 남편은 남의 편...
다시갑시다
구밀복검님 말대로 시작 능력치가 올60이면 나중에 영토가 커졌을떄 작은성 성주까지도 노려볼만하자나요! 사실 상당한 능력자인데... 역시 유저가 좋아하는 캐릭터들은 80중후반은 찍어야하니... ㅋㅋㅋ
구석탱이에 성 하나 던져줄까 했는데 자식을 멀리 보내기는 또 싫더라구요? 농업 상업 가르쳐서 열심히 내정 착취.
대학보낼때 멀리보내기 싫다는..그런 이야기가 실제 나오기도해요. ㅎㅎ
끄앙 넘모 스윗달달 터진댜 8ㅁ8 이럼서 읽다가 겜 1도 모르는 머글인데도 막줄에서 잌ㅋㅋㅋㅋㅋㅋ
삼공파일
심즈하세요. 심즈가 짱입니다.
맞습니다 ㅋㅋ티어부심때문에 상식도 높이려하고 운동도 하고 그렇죠 어린애들이... 근디 어렸을 때부터 공부든 게임이든 그외 기타등등이든 뭘해도 투입대비산출량이 남들보다 비효율적인걸 깨달아서 아 X망인생이구나 하는걸 깨달았지요. 어렸을때부터 계속 검증시켜준 우리 사랑스러운 동생들...♡ 심지어 군대에서도 말년에 심심하니 일경들 데리고 이거저거 하다가도 느낀 ㅡㅡ;
다시갑시다
막줄에서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제가 들은 얘기지만, 어느 아버지가 힘들게 야근하시고 퇴근하셧는데, 자기는 힘들게 돈 벌어왔구만 다 큰 아들딸이 환하게 반겨주지는 않고, 자기들끼리 게임하고 티비보면서 신나서 낄낄 대는걸 보니 급짜증이나셔서 "너네 다 컷으니까 이제 다 독립해! 이젠 너네집가서 놀아!!!"를 시전하셧다고 ㅋㅋㅋㅋㅋ
막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근데 티어부심 ㄹㅇ이에여 저는 대입준비할때쯤엔 티어부심 최고로 터져서 로우티어 애들 상종도 안하다가 대학가고나니 제가 아무리해도 간~~~신히 미드티어 턱걸이 정도라서 아 내가 넘나 ㅂㅅ이었구나 느꼈다능요 ㅠㅠㅋㅋㅋㅋㅋㅋ
근데 그래서 공부해야 할 이유를 비교질 없이 제 내면에서 다시 찾느라 힘들었어요 ㅠㅠㅋㅋㅋ
저는 티어부심이 없었어요. 과연......

게임은 정말 하...
냅두면 진짜 저것만 하고 있을거 같고.
하지만 그 마음은 내가 너무나 잘 알고.
어렵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87 일상/생각좀 많이 아팠습니다. 30 tannenbaum 17/10/08 5927 16
6386 일상/생각나라가 위기인데 연휴가 길어서 큰일이야 26 알료사 17/10/08 5116 24
6375 일상/생각해외 플랜트 건설회사 스케줄러입니다. 41 CONTAXS2 17/10/05 7212 11
6373 일상/생각명절때 느낀 사람의 이중성에 대한 단상(수정) 4 셀레네 17/10/05 4801 0
6366 일상/생각해외 근무의 피곤한 점... 9 CONTAXS2 17/10/03 4544 1
6359 일상/생각학력 밝히기와 티어 29 알료사 17/10/01 7048 35
6349 일상/생각삐딱했었구나... 싶습니다. 20 켈로그김 17/09/27 4695 7
6347 일상/생각평등2 11 삼공파일 17/09/27 4746 11
6345 일상/생각돈을 날리는 전형적인 방법 26 17/09/26 5420 3
6342 일상/생각여러분 생각이 듣고 싶습니다. 20 콩자반콩자반 17/09/26 4040 0
6341 일상/생각최근 성매매 합법화 의견에 대한 짤막한 생각. 26 와인하우스 17/09/26 7279 3
6339 일상/생각평등 31 알료사 17/09/26 4654 24
6335 일상/생각과호흡 환자 목격담 6 사악군 17/09/25 4603 0
6332 일상/생각다른 곳에서 보고 은근히 생각하게 되는... 2 알겠슘돠 17/09/25 3750 0
6325 일상/생각애 키우다 운 썰 풉니다.txt 20 Homo_Skeptic 17/09/23 5337 15
6317 일상/생각조카사위 이야기. 46 tannenbaum 17/09/21 6349 22
6316 일상/생각극한직업 _ 회의 예약.. 5 CONTAXS2 17/09/21 3539 0
6314 일상/생각부족하면 찾게 된다. 로오서 17/09/21 3257 6
6309 일상/생각불혹의 나이는 .. 개뿔. 19 한달살이 17/09/20 5939 7
6306 일상/생각경험주의와 실증주의의 몇 가지 문제 15 二ッキョウ니쿄 17/09/19 9159 6
6299 일상/생각언론, 섹스토스, 행복 22 우리아버 17/09/17 5685 6
6298 일상/생각영화 딥 워터 호라이즌을 보고 있는데.. 6 CONTAXS2 17/09/17 3866 1
6297 일상/생각베트남 사람들 그리고 다문화의 매력 3 Liebe 17/09/17 4354 5
6293 일상/생각이별의 종류. 5 tannenbaum 17/09/16 4728 19
6280 일상/생각폰팔이 이야기 16 1일3똥 17/09/14 4674 3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