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7/07/20 15:05:32 |
Name | 벤젠 C6H6 |
Subject | (+정보 추가) 문과/이과의 구분과 2018 문/이과 통합 |
![]() (Isaac Newton의 Philosophiae Naturalis Principia Mathematica) 문과/이과 둘 중 하나라고 딱 정할 수 없는 영역들이 있어요. 1. 언어학과 : 언어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인간이 언어를 어떻게 이해하고 또 산출하는지 그 신경 메커니즘을 알아야 하기 때문에 어느정도 생물학적 지식도 있어야 하고, 또 논리적으로 언어와 그 언어의 구조/의미를 분석해야 할 때도 있으므로 논리학 및 기타 등등을 알아야 하고, .. 그런데 또 때때로는 국문과 등등과 공유하는 영역도 조금 있고 그들과 협력해서 연구를 해야 하는 경우도 많은지라 흠 2. 심리학과 : 심리학은 인간과 동물의 행동과 심리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그래서 이과적인 접근도 쓰이는데 또 이 학문이 또 문과적인 접근도 역시 무시할 수 없다고 합니다. 그리고 심리학에는 하위분과가 여럿 있는데 그 중 어떤 과인지에 따라 이과에 더 가까운 과도 있고, 문과에 더 가까운 과도 있다고 들었어요. 그 외에도 통계학과, 경제학과, .. 등등 문과/이과 중에 딱 어느 쪽이라고 단정지어 말하기 힘든 영역이 꽤 많습니다. 저는 솔직히 수학에 대해서.. 수학이 그 논리체계의 구성이 약간 문과틱한 영역이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건 너무 과격한 주장인가요.. 2018 고등학교 1학년부터 문/이과 통합한다 http://www.insight.co.kr/newsRead.php?ArtNo=106200 2018년도 고등학교가 문/이과가 통합된다고 하는데, 여기에 대한 정보를 아무리 찾아도 위 기사 정도 이상으로는 그 디테일이 잘 나오지 않는군요. 아무튼 이 역시 문/이과로 딱 나누는 것에 反하는 움직임이 아닌가 싶습니다. 정말 여기에 대해서 아는 바가 없지만, 혹시 이 글의 리플로 좋은 의견 제시 및 정보 수집 및 토론의 장을 열 수 있지 않을까(= =;;) 해서 글을 써봅니다. ----- (+ 2018 고교 문/이과 통합에 대해 정보 추가.) http://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16&boardSeq=62381&lev=0&searchType=null&statusYN=C&page=3&s=moe&m=030201&opType=N 위 링크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 질의 응답 자료.hwp라는 파일에 2018 고교 문/이과 통합 관련한 내용이 상세히 나와있습니다. 그 중 몇몇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들만 요약 제시하면 - 단편지식보다 핵심개념과 원리에 대한 지식을 중심으로 개편 - 학생의 발달 단계와 국제적 기준을 고려한 학습량의 감축 및 적정화 - 토의·토론, 실험·실습 등등 학생들의 직접 참여를 중시 - 과정 중심의 평가 - 기초적인 소양 및 역량의 함양을 위해 공통 과목 이수, 학생의 다양한 진로를 고려해 선택 과목 이수 - 공통 과목은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통합사회,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으로 구성됨 - 선택 과목은 일반 선택과 진로 선택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음. 일반 선택은 고교 단계에서의 기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과목, 진로 선택은 융합학습/진로안내학습/실생활체험학습 등 자신의 진로에 맞추어 심화된 학습임. - 필요한 해당 교과(군)의 최소이수단위가 있음 - 일반 선택의 기본 이수단위는 5단위이며, 2단위 범위 내에서 증감 운영이 가능 - 진로 선택의 기본 이수단위는 5단위이며, 3단위 범위 내에서 증감 운영을 허용 ex> 국어 교과의 필수이수단위는 10단위이다. 우선 공통 과목인 '국어'는 8단위로 이를 무조건 이수해야 하고, 그 나머지 2단위를 개인의 진로나 적성에 따라서 추가로 일반 선택 혹은 진로 선택 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하게 된다. - 문학 교육을 이론이 아닌 감성과 소통 중심의 학습으로 전환 - 소프트웨어(SW) 교육을 강화 - 2015 개정 교육과정은 2018학년도 1학년부터 적용되며, 이에 따른 수능은 2021학년도 대학입시부터 적용됨. - 개정된 교육과정에 맞추어서 개편되는 수능의 세부적인 사항은 2017년에 확정 발표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벤젠 C6H6님의 최근 게시물
|
http://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16&boardSeq=62381&lev=0&searchType=null&statusYN=C&page=3&s=moe&m=030201&opType=N
여기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 질의 응답 자료.hwp
가 있네요.
쭈욱 봤는데, 여기에 써 있는 항목만으로는 괜찮아 보이는군요. 제가 예전부터 생각했던 좋은 교육의 방향이긴 한데, 음..
여기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 질의 응답 자료.hwp
가 있네요.
쭈욱 봤는데, 여기에 써 있는 항목만으로는 괜찮아 보이는군요. 제가 예전부터 생각했던 좋은 교육의 방향이긴 한데, 음..
문이과 구분 자체가 시대의 특성을 반영해서 그런 것이죠. 말씀하신대로 수학은 엄밀하게는 이과도 아니고 문과도 아니고, 수학적 방법론이 적극적으로 채용된 다른 학문(통계학, 회계학, 경제학... 어째 다 재화를 건드리는 기분인데)도 '수학 싫어서' 문과갔던 애들 피보게 하는 전공이죠. 의학의 경우도 이게 이과로 분류되는 것은 기본 원리가 자연과학에 기반을 두기 때문이지, 의료 현장에 밀접하고 커리큘럼에서 절대다수의 시간을 차지하는 임상의학은 문과도 이과도 아닙니다. 더군다나 사회과학계열 학문의 '과학화'가 진행된 것도 이제 세기를 논... 더 보기
문이과 구분 자체가 시대의 특성을 반영해서 그런 것이죠. 말씀하신대로 수학은 엄밀하게는 이과도 아니고 문과도 아니고, 수학적 방법론이 적극적으로 채용된 다른 학문(통계학, 회계학, 경제학... 어째 다 재화를 건드리는 기분인데)도 '수학 싫어서' 문과갔던 애들 피보게 하는 전공이죠. 의학의 경우도 이게 이과로 분류되는 것은 기본 원리가 자연과학에 기반을 두기 때문이지, 의료 현장에 밀접하고 커리큘럼에서 절대다수의 시간을 차지하는 임상의학은 문과도 이과도 아닙니다. 더군다나 사회과학계열 학문의 '과학화'가 진행된 것도 이제 세기를 논할 수준이라 고전적인 문이과 분리는 상당히 시대착오적인 부분이 많죠.
문제는 한국은 선택과목제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기 어려운 교육환경에 있고, 그 점에서 그나마 문이과 분리제도가 기능을 하고 있던 상황이라 문이과 분리제도의 폐지가 오히려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내신/학적부 중시의 평가제도는 역으로 선택과목제가 학생 변별력을 극도로 망가뜨리도록 만들 수도 있죠.
문제는 한국은 선택과목제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기 어려운 교육환경에 있고, 그 점에서 그나마 문이과 분리제도가 기능을 하고 있던 상황이라 문이과 분리제도의 폐지가 오히려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내신/학적부 중시의 평가제도는 역으로 선택과목제가 학생 변별력을 극도로 망가뜨리도록 만들 수도 있죠.
수학은 그냥 '언어'에 가깝지 않나요.
한국어는 모국어, 영어는 제1외국어, 수학은 자연의 언어..
저는 통계학, 회계학, 경제학.. 등등이 문과인지 이과인지 구분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생각하고, 의학도 같은 이과로 분류되지만 그게 다른 이과인 학과와 함께 묶이는 것도 굉장히 이질적인데..
수학과 과학이 안 쓰이는 학문이 몇이나 되나 싶기도 하고요.
선택과목제를 도입하기 어려운 이유와 예상되는 악영향에 대해서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지금의 고교 현실도 모르고(졸업한지 몇 년이 되었는데..ㅠㅠ), 2018 문이과 통합에 대한 자료를 못 찾겠어요 = =;;
한국어는 모국어, 영어는 제1외국어, 수학은 자연의 언어..
저는 통계학, 회계학, 경제학.. 등등이 문과인지 이과인지 구분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생각하고, 의학도 같은 이과로 분류되지만 그게 다른 이과인 학과와 함께 묶이는 것도 굉장히 이질적인데..
수학과 과학이 안 쓰이는 학문이 몇이나 되나 싶기도 하고요.
선택과목제를 도입하기 어려운 이유와 예상되는 악영향에 대해서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지금의 고교 현실도 모르고(졸업한지 몇 년이 되었는데..ㅠㅠ), 2018 문이과 통합에 대한 자료를 못 찾겠어요 = =;;
수학은 외국어지만, 여타 인간 세계의 외국어와 습득 과정도 이해 과정도 필요한 재능도 다르니까요. 수학이 언어라는 건 프로그래밍 언어와 결국 같은 맥락인데, 언어의 정의와 조건을 만족하기에 언어라고 부르는 것이지 교육과정에서 언어처럼 가르치면 된다는 걸 의미하지 않습니다.
선택과목제를 도입하기 어려운 이유는 이건 너무 방대해서 요약이 안되는데... 기본적으로 한국 교육의 기조와 소비자들의 심리는 '저 잘사는 집 애도 우리 애도 같은 교육을 받고 같은 결과를 내야 한다'라는 점에 있다는데에서 출발합니다. 선택과목제는 이 부분을 거스르고, 실질적으로도 집안에서 학습 피드백 등의 백업이 용이한 애들만이 그 수혜를 제대로 받고 나머지는 '제대로 배우지도 못하고' 사회로 내몰리는 현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선택과목제를 도입하기 어려운 이유는 이건 너무 방대해서 요약이 안되는데... 기본적으로 한국 교육의 기조와 소비자들의 심리는 '저 잘사는 집 애도 우리 애도 같은 교육을 받고 같은 결과를 내야 한다'라는 점에 있다는데에서 출발합니다. 선택과목제는 이 부분을 거스르고, 실질적으로도 집안에서 학습 피드백 등의 백업이 용이한 애들만이 그 수혜를 제대로 받고 나머지는 '제대로 배우지도 못하고' 사회로 내몰리는 현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문/이과 구분은 고교 교육과정의 편의상 분리시킨 것이지 각 단과대의 성격의 차이가 생기는 지점과는 거리가 멀죠. 사실 각 단과대의 분리도 학적 대상에 따른 분리일 뿐이고 분과 내에서의 연구 방법론은 지들이 알아서 좋다고 생각하는 걸 가져다 쓰는 것이지 미리 규정되어 있는 것도 아니고요. 결국 문/이과 프레임으로 학문을 나누는 건 행정적 편의에 의한 구분이 실제 학계의 양상을 대변한다고 보는 이상한 편향을 낳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저는 솔직히 고교수준에서 문/이과 선택의 고유한 효과가 학자로서 한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더 보기
문/이과 구분은 고교 교육과정의 편의상 분리시킨 것이지 각 단과대의 성격의 차이가 생기는 지점과는 거리가 멀죠. 사실 각 단과대의 분리도 학적 대상에 따른 분리일 뿐이고 분과 내에서의 연구 방법론은 지들이 알아서 좋다고 생각하는 걸 가져다 쓰는 것이지 미리 규정되어 있는 것도 아니고요. 결국 문/이과 프레임으로 학문을 나누는 건 행정적 편의에 의한 구분이 실제 학계의 양상을 대변한다고 보는 이상한 편향을 낳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저는 솔직히 고교수준에서 문/이과 선택의 고유한 효과가 학자로서 한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작다고 보고 있습니다. 배우는 내용 자체가 문과든 이과든 그다지 대단찮은 것들이라; 오히려 해당 선택을 하게 된 각 개인들의 내재된 성향차이와 진학하게된 학부의 성격이 훨씬 강력한 영향을 줄 가능성이 지극히 높다고 생각합니다. 문/이과 출신이라는 레이블은 개개인의 학습자로서의 특성과 강한 상관관계가 존재할 확률은 높지만 인과관계를 설정하기엔 그다지 좋은 지표가 아니라는 것이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