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7/07 20:30:13
Name   기아트윈스
Subject   중국 상고음(上古音)으로 본 '한(韓)'의 유래
전 요즘 윌리엄 박스터 센세의 워크샵에 참석중이에요. 이양반은 2014년에 로랑 사가 선생과 함께 공저한 (2014) 책으로 유명해진 분인데, 중국 상고시대 (대략 기원전 1200~200) 음운학의 권위자라고 보시면 돼요.

오늘 워크샵에서 나온 이야기가 지금 -n으로 끝나는 한자음의 많은 부분이 예전엔 -r이었다는 거였어요.

많은 증거가 전/후한 즈음의 기록에서 오는데 예컨대 다음과 같아요.

한나라의 기록자들은 흉노의 우두머리를 선우(單于)라고 음차했어요. 그런데 중세 중국어음 (대략 7세기~11세기)으로 이걸 읽으면 dzyen-hju가 돼요. 뎬휴? 여튼 여기까지는 의심의 여지가 음슴. 이걸 한나라 때의 음으로 재구축하는 데는 약간의 가정이 필요하지만 여튼 꽤 강력하게 *dar-ɦwa 였다고 논증할 수 있대요. 그러면 다르후와 내지는 다르ㅋ와 정도가 돼요. 이건, 역시 추측의 영역이지만, 높은 확률로 중세 몽골어 다루가 (daruɣa)와 관련이 있을 거래요. 다루가는 총독, 지도자 같은 뜻이래요.

또 사기의 대완열전에 보면 저기 서쪽의 중동 지명 중에 환잠(驩潛‎)이라는 곳이 나와요. 이게 중세 중국어음으로는  xwan-dzjem 콴뎸 정도. 여기까진 의심의 여지가 음슴. 이걸 상고음으로 읽으면  ㅋ화르쪰( *xˤwar-dz[e]m) 정도가 돼요. 곧 오늘날 우리가 '호레즘' 정도로 부르는 ‘콰라즘(Khwārazm)’이 그곳이랍니다. 참고로 영어의 알고리즘(Algorithm)이란 말도 여기서 나왔대요 ('알 콰라즈마'). 그러므로 이제부터 우리 개발자 여러분은 코드 짜고 회의할 때 알고리즘이란 말 대신 '알환잠'이라고 해봅시다. 상사에게 사랑받을 듯.

같은 방식으로 韓이라는 이름이 어디서 왔는지도 추적해볼 수 있어요. 설문해자의 설명에 따르면 이 글자는 우변에서 뜻을, 좌변에서 음을 따온 형성자예요. 좌변은 당시에 지금과는 좀 다른 방식으로 썼는데 倝 요고 비슷해요. 지금은 '간'이라고 읽는 군요. 이 '간'이 소리를 구성하는 구성성분으로 들어가는 거의 모든 글자의 상고음은 '카르 (*[k]ˤar-s)' 비슷한 소리가 나요. 카르 뒤에 붙은 -s는 이게 동사로 쓰일 때의 어미변화니 여기선 무시하셔도 됨.

여튼 韓의 상고음을 이런저런 증거를 통해 재구성한 결과가 '가르(*[g]ˤar)'래요.

Baxter센세는 이 재구축의 결과를 보강해줄 증거로 일본측 사료에서 한반도 남부의 여러 나라들의 이름을 기록할 때 거의 일관되게 '가라(kara)'라는 말이 들어간다는 사실을 들었어요. 그러니까, 한이나 가라나 사실 한반도 주민들이 자기네 정치체제를 가리키는 말을 주변국에서 알아서 음차해간 결과라는 거지요. 그 소리는 아마도 주변국 사람들 귀에 가라, 가야, 카라, 가르, 뭐 이런 식으로 들렸을 거구요.

여기까지가 박스터의 분석이고 이 이하로는 그냥 제가 해본 거예요.

같은 방식으로 마한, 진한, 변한 같은 이름을 상고음으로 읽어보면 뭔가 되게 순한국말처럼 들려요.

馬韓은 므랔가르 *mˤraʔ [g]ˤar
辰韓은 데르가르 *[d]ər [g]ˤar
弁韓은 브론가르*C.[b]ro[n]-s [g]ˤar)

마지막 브론가르의 경우 앞에 붙은 C는 뭔지 몰라도 자음이 하나 더 있었음이 분명한데 그게 뭔지는 모르겠다는 기호예요. 그러니까 이건 크브론가르일 수도 있고 르브론가르일 수도 있고... 알 수 없음.

고려 高麗 구려 句麗 등으로 불렸던 고구려에 대해서도 비슷한 분석을 시도해볼 수 있어요.

구려의 경우는 크로레, 코레, 고레  *[k]ˤ(r)o [r]ˤe-s
고려의 경우는 코레 *Cə.[k]ˤaw [r]ˤe-s 정도인데 저 앞에 붙은 대문자 C에서 볼 수 있듯 그 앞에 어떤 자음이 더 붙어있었는지는 알 수 없어요. 어쩌면 코코레였을지도 모름.

어떤 경우에도 '가르'랑 많이 달라보이진 않아요. 그렇다면 '가라'는 현대한국어의 '나라'에 대응하는 일반명사가 아니었을까 추측해볼 수 있어요. 우리가 외국의 나라이름에 습관적으로 '~나라'라고 붙이듯 (당나라 한나라 명나라) 고대 한반도 거주민들도 자기들이 'XX나라'라고 생각했을 수 있지요. 그래서 므랔나라 아래에 50여개의 나라가 있었고 데르나라 아래에 20여개의 나라가 있었고 르브론나라 아래엔 30여개의 나라가 있었고 저 북쪽엔 자기들을 그냥 '나라'라고 하는 좀 힘쎈 애들도 있었고 그랬던 게 아닐까요.

그런데 자꾸 가르가르 록타르 오가르 하니까 와우가 막 땡기네요.

제발 한국인이면 호드합시다.

-끗-




참고자료:

여러가지 고대음 재구축 결과를 종합해둔 사이트로는

http://starling.rinet.ru/

요론게 있구요.

Baxter&Sagart (2014)의 재구축 결과는

https://www.google.co.uk/url?sa=t&rct=j&q=&esrc=s&source=web&cd=1&ved=0ahUKEwjN4azYiPfUAhVJJ1AKHX3kBkgQFggoMAA&url=http%3A%2F%2Focbaxtersagart.lsait.lsa.umich.edu%2FBaxterSagartOCbyMandarinMC2014-09-20.pdf&usg=AFQjCNFeoegsJx1QV_4xpyTtw8ESkwcpzw&cad=rjt

여기에 무료로 공개되어있어요.



18
  • 호드는 춫천 르브론가르에서 킹의 향기가...
  • 오.
  • 新 한민족 참역사: "환족의 기원은 사실 드레노어 대륙을 지배하던 갈색 피부의 유목민 집단."
  • 브론가르... 브론그.. 브론즈.


April_fool
우리는 가라의 민족이었던 거신가...
기아트윈스
그래서 다들 일을 가라로 하나...ㄷㄷ
유리소년
그래서 군대에서 본능적으로 가라군장을 하는거군요
기아트윈스
상무정신 화랑도..
벤젠 C6H6
그러니까, 한이나 가라나 사실 한반도 주민들이 자기네 정치체제를 가리키는 말을 주변국에서 알아서 음차해간 결과라는 거지요. 그 소리는 아마도 주변국 사람들 귀에 가라, 가야, 카라, 가르, 뭐 이런 식으로 들렸을 거구요.

가야..?
기아트윈스
그러니까, 전라도와 경상도 일대에 쭉 퍼져있었다는 수십개의 가야들, 대가야 금관가야 무슨가야 이런가야 저런가야 이게 실은 무슨 대단한 정치연맹이 아니라 그냥 당시 한반도판 UN 같은 엄청 느슨한 '나라'연합이 아니었나싶슾..
물푸레
매우 흥미롭습니다. 고대의 발음이라니!
기아트윈스
ㅎㅎ.... 저야 결과물만 받아먹는 입장이고 정작 박스터선생이 논증하는 건 하나도 못따라가고 있어용 ㅠ.ㅠ
유리소년
그런데 의문점이 생겼습니다.
고대어의 발음은 어떻게 복원하는 것인가요? 언어 교과서 같은 것을 발굴하나여?
기아트윈스
다양한 종류의 증거가 동원되는데, 일단 가장 크고 중요한 소스는 운서(韻書)들이에요. 중국애들은 시를 지을 때 운맞추는게 엄청 중요했기 때문에 고래로 자기들 글자의 음을 기록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개발해왔어요. 그러다가 기원후 2세기 이후 불교의 전래와 함께 산스크리트어 구사자들의 음운정리기법이 도입되면서 여기에 한 번 더 큰 혁신이 일어나요. 고대인도인 차냥해. 이미 기원전에 음을 기록하는 법을 개발해냈음.

여튼 이런저런 혁신이 더해지면서 다양한 운서가 편찬되는데, 현존 운서중 가장 오래된 게 기원후 608년에 제작된 절운... 더 보기
다양한 종류의 증거가 동원되는데, 일단 가장 크고 중요한 소스는 운서(韻書)들이에요. 중국애들은 시를 지을 때 운맞추는게 엄청 중요했기 때문에 고래로 자기들 글자의 음을 기록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개발해왔어요. 그러다가 기원후 2세기 이후 불교의 전래와 함께 산스크리트어 구사자들의 음운정리기법이 도입되면서 여기에 한 번 더 큰 혁신이 일어나요. 고대인도인 차냥해. 이미 기원전에 음을 기록하는 법을 개발해냈음.

여튼 이런저런 혁신이 더해지면서 다양한 운서가 편찬되는데, 현존 운서중 가장 오래된 게 기원후 608년에 제작된 절운(切韻)의 기원후 700년판 필사본이고 대략 11~12세기에 제작된 광운(廣韻) 역시 매우 중요한 자료예요. 이런 운서들에 대한 연구, 그러니까, 음운학에 청나라 때 고증학자들이 달라붙으면서 거의 이론의 여지가 없는 수준으로 중세중국어음이 복원됐어요.

여기에 오늘날의 학자들은 인접언어들과의 비교 (한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기타등등) 및 중국 내 지방어들 (하카, 민어, 광동어 등등) 연구성과를 종합해서 청나라 센세들의 연구를 보강했어요.

상고음, 그러니까 기원전 300년 이전의 음을 구성하는 데는 더 많은 품이 들어요. 가장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해도 여전히 '가설'의 영역을 벗어나기 힘들구요. 그래서 박스터&사가 (2014)는 자기들이 복원한 상고음의 경우 늘 그 앞에 *를 붙여서 이게 언제든 반론으로 무너질 수 있는 가공의 결과물임을 표기했대요.

상고음 재구성의 주요재료는 시경 및 출토문헌에서 많이 보이는 운문들이에요. 운문은 반드시 정해진 자리에 같은 운을 가진 글자를 쓰게 되어있으니, 어떤 글자와 다른 글자가 (초성을 제외하고) 같은 소리가 났을 거라는 정보를 주지요. 또 문헌연구를 통해 어떤 글자와 다른 글자가 서로 통가자(通假字: 소리가 서로 통해서 빌려쓸 수 있는 글자)였는지도 알 수 있어요.

추가로 민어(오늘날 복건지방 방언)가 이르게는 기원전후로 현대 중국어의 조상으로부터 분화됐다는 증거가 있어요. 그러면 그쪽 지방어 연구를 통해서도 상고음 몇개에 대한 강한 추측을 할 수 있지요.

또 오늘날 타림분지 인근에 위치한 민족들 중 토카르...였나? 이친구들이 남긴 언어가 최근 발굴을 계기로 재구성됐어요. 얘들 언어 중에 고대중국어로부터 빌려온 말들이 제법 있는데 그걸 비교해서 몇가지 재구성에 성공한 상고음도 있어요. 예컨대 현존하는 모든 언어 중에 숫자 1만에 해당하는 말을 가진 언어가 많지 않아요. 이건 거의 분명히 고대 중국인들이 먼저 쓰기 시작한 말 같은데 그 증거는 없었지요. 헌데 토카르 말을 연구해보니 1만을 투만 tuman 트마네 tmane 처럼 쓰는 거예요. 그런데 또 이게 다른 증거들로부터 만(萬)이 상고시대 때는 2음절단어이거나 최소한 2개 이상의 자음으로 시작한 말임이 분명하다는 추측이 있었어요. 그래서 두 증거를 조합해서 해당글자의 중국상고음을 재구성하는 데 성공했지요.

그중에 가장 큰 근거는 사실 발굴된 문헌들의 정서법 자체에서 와요. 진-한 두 제국의 문헌정리작업을 거치기 전의 한자는 표음문자나 마찬가지였어요. 글자에서 '음'을 나타내는 부분만 자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그 외에 다른 부분 (뜻을 나타내거나 하는 부분들)들은 썼다 안썼다 이렇게 썼다 저렇게 썼다... 매우 불안정했어요. 그래서 어떤 글자의 '음'을 나타내는 부분이 어떤 부분인지만 확인되면 그 부분을 공유하는 다른 글자들과 동음어였다고 강하게 짐작해볼 수 있어요.

예컨대 난(難: 어렵다)과 탄(灘: 여울)은 중세중국어 이후로 음이 달라졌지만 자형을 보면 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이 같아요. 그래서 대부분의 음운학자들은 이 두
글자가 실제로 동음어였던 것으로 보고 있어요.

그리고 에... 또 뭐가 있드라... 티벳 언어랑 버마 언어랑도 막 비교하고 그러는데 그건 제 능력 밖이라 그게 어떻게 가능한지 설명을 몬하겠네요 -_-;
유리소년
와 그렇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막연히 당대 지식인들의 상호 지식교류 증거물로부터 복원하겠거니 여겼는데 디테일은 상상도 못하고 있었거든요.
레지엔
선우=다루가 얘기는 한 15년 전쯤에 본 거 같은데 그 원전이 저 분의 연구결과였겠군요. 처음 본 건 모 삼국지 커뮤니티의 분탕종자가 동이 유목민족설에 저걸 대입해서 헛소리를 한 거였지만(..)
기아트윈스
오오. 이미 삼빠들에겐 유명한 이야기였나 보군요.
April_fool
그러고보니 칸국(Khanate)을 한자로 쓰면 汗國(한국)이 되는 게 생각나네요.
기아트윈스
그 얘기도 많았지요. 아마 정말로 연관이 있을지도 모르지요 ㅎㅎ
깊은잠
가르가르 .... 말가르... 준가르... 아무거나 생각나는대로 막 갖다붙여보면 환국 판도가 만들어지지 않을까요? (설마...)
기아트윈스
환가르...ㄷㄷ
르브론이 환국에서 쓰던 이름이라는 사실에 무릎을 탁 치고 갑니다.
소노다 우미
가라와 가야가 같은거라면 그야말로 대격변인가요(....)
기아트윈스
그건 이미 같은 걸로 치고 있어요. 삼국사기, 삼국유사, 광개토대왕비, 일본서기 등에서 '가라'랑 '가야'를 거의 구별하지 않고 섞어쓰거든요.
기쁨평안
가락국, 겨레, (먹을)꺼리, 거리(길, street), 이런 것들이 생각나네요.
기아트윈스
겨레 그럴 듯한데요 ㅎㅎ
기쁨평안
ㅎㅎㅎ 겨례는 거의 확실하고,
네거리 사거리 저잣거리 등 특정 지역을 의미하는 말로 거리도 그 흔적이 아닐까 싶슾셉슾
제주감귤
엄청나게 흥미롭네요. 본업으로 하면 재밌나요?
기아트윈스
전 전공이 12~3세기 중국이라 이번 워크샵은 그냥 외부인 입장에서 참여한 거나 마찬가지예요. 외부인이 보기엔 그럭저럭 재밌어 보이는데 이게 본업인 다른 참가자들은 열라 심각해보이네요 ㄷㄷ
오오 송나라 원나라 명나라 얘기 해주세요!
기아트윈스
본업은 재미없...
Morpheus
가르....

나르....

메가나르....
기아트윈스
브론즈나르...브론나르...
구밀복검
갸루라는 어휘가 일본에서 유통되는 걸 보면, 고대 일본 내에 한국계 여성 공동체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죠..
Beer Inside
ㅋㅋㅋ
기아트윈스
키야. 그렇다면 우리나라 국호는 사실 대갸루민국...!
기쁨평안
생각해보니 고을도 있네요. 좀 늦었지만 ㅎㅎ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984 역사백작이랑 공작이 뭐에요? 24 Raute 17/07/20 8191 15
5944 역사 영화 "덩케르크" 의 배경이 되는 1940년 독일-프랑스전투 2 모모스 17/07/14 10458 8
5918 역사삼국통일전쟁 - 6. 안시성에서 멈추다 7 눈시 17/07/09 5191 8
5913 역사중국 상고음(上古音)으로 본 '한(韓)'의 유래 33 기아트윈스 17/07/07 7173 18
5903 역사삼국통일전쟁 - 5. 황제는 요하를 건너고 7 눈시 17/07/06 4087 8
5874 역사삼국통일전쟁 - 4. 642년, 두 거인의 만남 4 눈시 17/07/01 4233 11
5852 역사삼국통일전쟁 - 3. 여수전쟁의 끝, 새로운 시작 11 눈시 17/06/28 5342 7
5841 역사삼국통일전쟁 - 2. 살수대첩 22 눈시 17/06/26 4614 13
5808 역사삼국통일전쟁 - 1. 일백일십삼만 대군 15 눈시 17/06/18 4831 17
5777 역사6세기, 나제동맹의 끝, 초강대국의 재림 36 눈시 17/06/11 5890 13
5688 역사조선왕조의 왕이 한 말 중 가장 멋졌던 말 2 피아니시모 17/05/23 4317 0
5552 역사근로자의 날이 아닌 노동절. 4 와인하우스 17/05/01 4064 9
5528 역사임전무퇴 - 너는 죽었어야 했다 17 눈시 17/04/26 4872 11
5520 역사?? : 백제는 전라도였다고! 6 눈시 17/04/25 4364 1
5423 역사강태공의 이름은 무엇인가. 8 마카오톡 17/04/12 7629 13
5245 역사일본 역사의 남색 문화 16 눈시 17/03/20 10665 6
5191 역사새벽에…… EE 이야기. 2편(결). 9 Elon 17/03/15 3909 3
5190 역사새벽에…… EE 이야기. 1편. 5 Elon 17/03/15 4079 3
5143 역사왕흘 이야기 (부제:나무위키 꺼라) 7 Raute 17/03/11 6307 3
5132 역사전국시대 세 자매 이야기 (완) 2 눈시 17/03/10 6435 5
5046 역사전국시대 세자매 이야기 (3) 6 눈시 17/03/02 7027 6
5010 역사나는 왜 역사를 좋아했는가 2 피아니시모 17/02/25 3613 3
5004 역사일본의 다도(茶道)가 재미있는 점 5 눈시 17/02/25 6200 4
4958 역사붉은 건 [ ]다 12 눈시 17/02/22 5335 11
4934 역사전국시대 세 자매 이야기 (2) 8 눈시 17/02/19 6315 5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