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5/07/13 18:22:24 |
Name | 난커피가더좋아 |
Subject | 그리스 위기 즈음에 돌아보는 한국의 IMF(2편) |
https://kongcha.net/pb/pb.php?id=free&no=559 (1편은 윗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1. IMF의 삽질 IMF의 구조조정 프로그램은 혹독했습니다. 엄청난 재정긴축, 다양한 재벌개혁 프로그램과 구조조정이 진행됐고, 부실기업들은 헐값에 팔려나갔지요. 그런데 사람들이 잘 모르는 재미난 부분이 있는데, IMF 프로그램은 1년여만에 대폭 수정됐다는 겁니다. 그 이면을 들여다볼게요. 신장섭,장하준 교수가 정리한 바에 따르면('주식회사 한국의 구조조정'이라는 책을 참고했음) 1997년 위기 이후 한국에서 진행된 IMF 프로그램은 크게 세 가지로 구성됩니다. 첫째는 거시경제 긴축, 둘째, 시장개방, 셋째, 구조개혁입니다. 특히 거시경제 긴축은 엄청난 금리 인상과 재정긴축을 의미했고, 전통적으로 자본시장이 아닌 '관치 금융'에 의해 자금을 조달 받았던 한국의 기업들은 그대로 나자빠지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기업들의 금융 대출이 막힌 건 1990년대 초반부터였습니다. 그때부터 외국자본으로부터 단기외채를 끌어다 쓰던 기업들은 부채비율을 늘려갔고 IMF 위기를 전후해서는 꽤나 심각한 상황이 됐지요.) IMF는 거시경제 긴축정책으로 인해 오히려 한국경제가 더 나락으로 떨어지자 별수없이 '케인즈주의'정책 패키지를 도입했다고 합니다다. 금리는 다시 인하됐고, 사회안전망을 위한 지출이 허용됐습니다.(물론 이는 초기 프로그램에도 도입돼 있던 내용이었으나, 긴축재정을 요구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이뤄지긴 힘든 상황이었죠.) 공적자금의 대대적인 투입이 이뤄졌고 경제는 서서히 회복기미를 보입니다. 그 시기 한국사회 전반의 구조개혁을 이끌었던 이헌재 당시 경제부총리도 한국에 대한 신뢰 자체가 떨어진 건 맞았지만, 예상보다 더 암울하게 불황으로 치닫고 있었고 IMF나 정부나 당황스러운 상황이었다는 뉘앙스로 몇 차례에 걸쳐 얘기한 바 있습니다.(이헌재 '위기를 쏘다' 등 참고) 어쨌든, IMF의 프로그램은 세간에 알려진 것과 달리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선회했으며, 초기의 프로그램은 '큰 삽질'에 가까웠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그 이유로는 IMF가 중남미의 경제 위기를 해결할 때, 주로 정부의 방만한 재정지출을 문제삼았고 이를 해결했던 경험만 있었고, 한국과 같은 유형의 위기는 처음이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오는데, 사실 이런저런 이유가 다 조금씩 섞여 있을 것 같습니다. 여기에서 미 금융가의 '음모론'도 종종 등장합니다. 2. 한국경제 위기는 정말로 '정실 자본주의'와 국가주도 발전 모델 때문이었나? 김병국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장하준 캠브리지대 경제학과 교수, 신장섭 싱가포르국립대 경제학과 교수는 거의 같은 의견을 보이는데, 이게 생각보다 설득력이 있습니다. 그들에 따르면 한국의 경제 위기는 칼 마르크스식 어법으로 말하자면, '낡은 것은 사라졌으나, 새로운 것이 도래하지 않은 상황'때문에 발생했다는 겁니다. 전편에서 서술한 스티븐 해거드의 '발전국가 그 자체가 위기의 원인'이라는 주장을 전면 반박하는 얘기입니다. 즉, 동아시아 발전국가 모델이 경제위기를 불러온 게 아니라, 대안없는 해체가 위기를 불러왔다는 설명입니다. 이는 1980년대 전두환 정부 시절 김재익을 비롯한 미국 유학파 관료와 1990년대 초반부터 세계화를 부르짖던 김영삼 정부와 재벌간의 대결 구도를 이해해야만 알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제도주의 경제학, 혹은 정치경제학이 재밌는 건 바로 이런 역사적 제도와 맥락에 대한 부분을 짚기 때문인데요, 다음편에서는 1980년대부터 한국에서 지속된 재벌과 정부의 갈등 과정, 그리고 위기의 도래와 해소과정을 설명해보겠습니다. (다음편에 계속)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난커피가더좋아님의 최근 게시물
|
제도주의 경제학도 나름의 분석틀은 다 있습니다만, 이 인간들 특성이 자기네 분야 안에서도 미친 상호디스를 시전하는 지라...흐흐
제가 보니까 대충 이렇습니다. 노스의 후예들인 제도주의 경제학자들은 그 특유의 삐딱함과 역사적 맥락을 끝없이 거슬러 올라가는 \'경로의존성\'에 대한 지나친 강조로 인해서 \"니네 사안별 설명력은 짱짱맨인거 인정하는 데 당최 일반화가 안되잖아.\"라는 말을 들으며 주류경제학의 언저리를 맴돌게 되지만, 의외로 정치학과 만나면서 꽃을 피운 것 같습니다. 경제학의 비주류인 제도주의 경제학이 정치학에서는 오히려... 더 보기
제가 보니까 대충 이렇습니다. 노스의 후예들인 제도주의 경제학자들은 그 특유의 삐딱함과 역사적 맥락을 끝없이 거슬러 올라가는 \'경로의존성\'에 대한 지나친 강조로 인해서 \"니네 사안별 설명력은 짱짱맨인거 인정하는 데 당최 일반화가 안되잖아.\"라는 말을 들으며 주류경제학의 언저리를 맴돌게 되지만, 의외로 정치학과 만나면서 꽃을 피운 것 같습니다. 경제학의 비주류인 제도주의 경제학이 정치학에서는 오히려... 더 보기
제도주의 경제학도 나름의 분석틀은 다 있습니다만, 이 인간들 특성이 자기네 분야 안에서도 미친 상호디스를 시전하는 지라...흐흐
제가 보니까 대충 이렇습니다. 노스의 후예들인 제도주의 경제학자들은 그 특유의 삐딱함과 역사적 맥락을 끝없이 거슬러 올라가는 \'경로의존성\'에 대한 지나친 강조로 인해서 \"니네 사안별 설명력은 짱짱맨인거 인정하는 데 당최 일반화가 안되잖아.\"라는 말을 들으며 주류경제학의 언저리를 맴돌게 되지만, 의외로 정치학과 만나면서 꽃을 피운 것 같습니다. 경제학의 비주류인 제도주의 경제학이 정치학에서는 오히려 환영할만한 부분이 많았고 정치학이 갖고 있던 도식화된 몇가지 틀이나 이론과 만나면서 오히려 더 발전하게 된 듯 합니다.(실제로 한국에서는 아니지만, 미국에서는 정치경제라는 분야가 경제학과 내에 있기도 하고 정치학과 내에 있기도 한데-주로 정치학과쪽에 있습니다만- \'정치경제적 현상\'에 대한 독보적인 설명력으로 꽤나 인정을 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정치학에서 정치경제를 접했던 사람들은 사실 장하준 교수가 한국에서 공전의 히트를 기록하는 책을 냈을 때 그걸 읽어보고 \"엉? 이거 우리가 다 하던 얘긴데 뭘 새삼스레\"라는 반응을 많이 보였던 거죠.
뭐 어쨌든 정치학과 조우하게된 제도주의는 \'역사적 제도주의\'와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로 분화가 되고요 역사적 제도주의는 각 지역이나 나라 혹은 세계 경제를 설명할 때, \'역사\', \'맥락\', \'현재 경제지표\', \'행위자\', \'거시경제 정책\' 등 모든 걸 고민하고 변수로 집어넣어야 하는 관계로 살인적인 공부량으로 유명해집니다. 합리적 선택 쪽은 아예 수학적 모델링을 시작하죠. 최근 들여다본 몇개의 정치학과 내 정치경제 논문은 경제학 논문 이상으로 그냥 수식 몇개로 점철되는 모습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저는 어쨌든 머리가 나쁘면 몸이 고생한다는 생각으로 수학에 취약해 모델링은 어려울 거 같고 역사제도주의에 관심을 갖고 지도교수께 석사때 전공했던 계량적 선거분석과 통계 대신 \'이거 하면 어떨까요?\'라고 여쭤봤으니, 지도교수님은 냉정하게 두 가지 정치경제 불가론을 제시합니다. 첫째, 정치경제학은 재미있다. 이 나라에선 절대 재밌는 건 돈이 안된다. 둘째, \"자네는 근데 내가 억지로 넣어준 이 대학원 유일의 파트타임 박사과정 아님? 그런데 역사제도주의 정치경제로 박사논문을 쓰려면 풀타임으로 최소 5년이상을 잡는데...넌 안될거야 아마\"(제가 생각해도 그렇습니다 이건) 뭐 이런 상황이 됐습니다.
(음..기승전자기한탄이 됐네요)
제가 보니까 대충 이렇습니다. 노스의 후예들인 제도주의 경제학자들은 그 특유의 삐딱함과 역사적 맥락을 끝없이 거슬러 올라가는 \'경로의존성\'에 대한 지나친 강조로 인해서 \"니네 사안별 설명력은 짱짱맨인거 인정하는 데 당최 일반화가 안되잖아.\"라는 말을 들으며 주류경제학의 언저리를 맴돌게 되지만, 의외로 정치학과 만나면서 꽃을 피운 것 같습니다. 경제학의 비주류인 제도주의 경제학이 정치학에서는 오히려 환영할만한 부분이 많았고 정치학이 갖고 있던 도식화된 몇가지 틀이나 이론과 만나면서 오히려 더 발전하게 된 듯 합니다.(실제로 한국에서는 아니지만, 미국에서는 정치경제라는 분야가 경제학과 내에 있기도 하고 정치학과 내에 있기도 한데-주로 정치학과쪽에 있습니다만- \'정치경제적 현상\'에 대한 독보적인 설명력으로 꽤나 인정을 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정치학에서 정치경제를 접했던 사람들은 사실 장하준 교수가 한국에서 공전의 히트를 기록하는 책을 냈을 때 그걸 읽어보고 \"엉? 이거 우리가 다 하던 얘긴데 뭘 새삼스레\"라는 반응을 많이 보였던 거죠.
뭐 어쨌든 정치학과 조우하게된 제도주의는 \'역사적 제도주의\'와 \'합리적 선택 제도주의\'로 분화가 되고요 역사적 제도주의는 각 지역이나 나라 혹은 세계 경제를 설명할 때, \'역사\', \'맥락\', \'현재 경제지표\', \'행위자\', \'거시경제 정책\' 등 모든 걸 고민하고 변수로 집어넣어야 하는 관계로 살인적인 공부량으로 유명해집니다. 합리적 선택 쪽은 아예 수학적 모델링을 시작하죠. 최근 들여다본 몇개의 정치학과 내 정치경제 논문은 경제학 논문 이상으로 그냥 수식 몇개로 점철되는 모습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저는 어쨌든 머리가 나쁘면 몸이 고생한다는 생각으로 수학에 취약해 모델링은 어려울 거 같고 역사제도주의에 관심을 갖고 지도교수께 석사때 전공했던 계량적 선거분석과 통계 대신 \'이거 하면 어떨까요?\'라고 여쭤봤으니, 지도교수님은 냉정하게 두 가지 정치경제 불가론을 제시합니다. 첫째, 정치경제학은 재미있다. 이 나라에선 절대 재밌는 건 돈이 안된다. 둘째, \"자네는 근데 내가 억지로 넣어준 이 대학원 유일의 파트타임 박사과정 아님? 그런데 역사제도주의 정치경제로 박사논문을 쓰려면 풀타임으로 최소 5년이상을 잡는데...넌 안될거야 아마\"(제가 생각해도 그렇습니다 이건) 뭐 이런 상황이 됐습니다.
(음..기승전자기한탄이 됐네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