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7/06/14 23:59:29 |
Name | Leeka |
Subject | 애플이 한국에서 이중인증을 지원합니다 |
* 이중인증(2-factor auth) 이란? 이중 인증은 다른 사람이 사용자의 암호를 알고 있는 경우에도 본인만 본인 계정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된 Apple ID의 보안 강화 기능입니다. 애플의 '최신 보안 기능' 인 이중인증을 그동안 한국에서는 사용할 수 없었으나.. 금일 기습적으로 한국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오픈되었습니다. 이중인증을 사용하시려면 아이폰 기준으로 설정 -> 최상단에 내 계정 터치 -> 암호 및 보안 -> 이중인증 켜기를 누른 후 '뜨는 팝업창에서 아이폰의 번호'를 입력하면 문자가 수신됩니다 문자수신시 '아이폰일 경우엔 자동으로 코드만 쏙 빼가서 애플이 인식하고 이중인증이 활성화 됩니다' 이중인증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 신뢰하는 기기 : 평소와 사용방법 동일 -> 신뢰하지 않는 기기 : 로그인 시도 시 '신뢰하는 기기로 전송된 6자리 확인코드'를 입력해야 접속 가능. -> 신뢰하는 기기가 없다면 초기에 등록한 번호로 문자를 수신해서 신뢰하는 기기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애플 제품 다수를 사용할 경우엔 안전하게 보안을 지킬 수 있는 편리한 기능..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단지 신뢰하는 기기가 없음 + 신뢰할 수 있는 번호로 문자를 받을 수 없음.. 2단계 상황이 된다면 헬게이트를 시원하게 열 수 있는 만큼.. 두가지가 동시에 사라지는 일은 없도록 하시는게 좋습니다. 이중인증 기능은 'ios 11' 에서는 자동으로 활성화가 적용되며 활성화 상태에서는 '애플워치' 가 있을 경우, '내 맥이 잠겨있을 때' 애플워치를 찬 상태로 근처로 가면 자동으로 맥의 잠금이 풀리는 잠금 해제 기능. 아이패드에 기본으로 있는 '홈킷' 을 활용해서 외부에서도 집에 각종 사물장치들을 컨트롤할 수 있는 홈킷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그 외에도 '내가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위치 확인을 비롯한 몇가지 기능이 더 있습니다만 해당 기능은 한국에선 사용이 불가합니다' 결론은 '애플기기가 많을수록 겁나 편하게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기능이며.. 애플기기가 많을수록 뻘짓 안하면 헬게이트도 안열립니다' 애플기기가 한대밖에 없다면 '최소한 번호는 항상 문자 수신 가능한 번호로 등록' 하셔야 합니다.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Leeka님의 최근 게시물
|
애플의 철옹성 자체가 '애플 제품은 모이면 모일수록 엄청난 시너지'를 만든다는 점에 있지요 -.-;
'회사에서 아이폰으로 앱을 다운받은뒤에 집에 오면' -> 집에 있는 아이패드에 이미 그 어플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애플워치를 착용한 상태로 내 맥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잠금이 풀리고' -> 내가 다시 멀어지면 자동으로 잠깁니다.
회사 맥북에 벅스 플레이어를 설치한 뒤에 집에 오면 -> 집에 있는 아이맥에 이미 벅스 플레이어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밖에서 신나게 놀면서 아이폰으로 사진을 마구 찍은 ... 더 보기
'회사에서 아이폰으로 앱을 다운받은뒤에 집에 오면' -> 집에 있는 아이패드에 이미 그 어플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애플워치를 착용한 상태로 내 맥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잠금이 풀리고' -> 내가 다시 멀어지면 자동으로 잠깁니다.
회사 맥북에 벅스 플레이어를 설치한 뒤에 집에 오면 -> 집에 있는 아이맥에 이미 벅스 플레이어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밖에서 신나게 놀면서 아이폰으로 사진을 마구 찍은 ... 더 보기
애플의 철옹성 자체가 '애플 제품은 모이면 모일수록 엄청난 시너지'를 만든다는 점에 있지요 -.-;
'회사에서 아이폰으로 앱을 다운받은뒤에 집에 오면' -> 집에 있는 아이패드에 이미 그 어플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애플워치를 착용한 상태로 내 맥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잠금이 풀리고' -> 내가 다시 멀어지면 자동으로 잠깁니다.
회사 맥북에 벅스 플레이어를 설치한 뒤에 집에 오면 -> 집에 있는 아이맥에 이미 벅스 플레이어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밖에서 신나게 놀면서 아이폰으로 사진을 마구 찍은 뒤에 집에 오면 -> 아이맥과 아이패드에 이미 그 사진들이 다 있습니다
아이폰으로 와이파이를 연결한뒤에 아이패드를 열면 -> 이미 아이패드도 해당 와이파이에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아이맥으로 웹서핑을 하고 있는데 전화가 오면 -> 아이맥으로 전화가 자동으로 와서 받기를 눌러서 아이폰 안찾고 받을 수 있습니다
에어팟을 사서 '아이폰 옆에서 뚜껑만 열고 연결을 누르면' -> 내 모든 애플 기기에 에어팟이 다 등록됩니다.
아이폰으로 애플뮤직에서 원하는 노래를 추가하면 -> 맥북, 아이맥, 아이패드에 그 노래가 다 다운받아져 있습니다.
대충 이런 기능들이 '이용자가 설정할 필요 없이' 애플이 다 알아서 해주는 연속성.. 의 일환이라 쓰다보면 계속 모이게 되는..
'회사에서 아이폰으로 앱을 다운받은뒤에 집에 오면' -> 집에 있는 아이패드에 이미 그 어플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애플워치를 착용한 상태로 내 맥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잠금이 풀리고' -> 내가 다시 멀어지면 자동으로 잠깁니다.
회사 맥북에 벅스 플레이어를 설치한 뒤에 집에 오면 -> 집에 있는 아이맥에 이미 벅스 플레이어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밖에서 신나게 놀면서 아이폰으로 사진을 마구 찍은 뒤에 집에 오면 -> 아이맥과 아이패드에 이미 그 사진들이 다 있습니다
아이폰으로 와이파이를 연결한뒤에 아이패드를 열면 -> 이미 아이패드도 해당 와이파이에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아이맥으로 웹서핑을 하고 있는데 전화가 오면 -> 아이맥으로 전화가 자동으로 와서 받기를 눌러서 아이폰 안찾고 받을 수 있습니다
에어팟을 사서 '아이폰 옆에서 뚜껑만 열고 연결을 누르면' -> 내 모든 애플 기기에 에어팟이 다 등록됩니다.
아이폰으로 애플뮤직에서 원하는 노래를 추가하면 -> 맥북, 아이맥, 아이패드에 그 노래가 다 다운받아져 있습니다.
대충 이런 기능들이 '이용자가 설정할 필요 없이' 애플이 다 알아서 해주는 연속성.. 의 일환이라 쓰다보면 계속 모이게 되는..
예시에서 초기설정을 해야 되는건 그냥 '애플워치로 자동 잠금해제 할꺼냐 체크' / 앱 자동 다운로드 할꺼냐 체크.. 정도밖에는...
구글은 대부분 직접 세팅을 해야 되는 구조고.. 애플은 옵션 하나 키거나 / 그냥 자동으로 되거나.. 정도의 구조 차이죠 뭐..
그게 되는 기본은 애플은 지금 버전 기준으론 로그인하면 그냥 아이클라우드를 비롯한 모든게 한큐에 로그인이 강제로 되면서 활성화 되는 구조고, 구글은 수동으로 켜야 되는 차이와..
애플은 맥이 있지만 구글은 PC엔 프로그램을 깔아야 되는 차이.. 같은거에서 오는 점이긴 합니다만..
구글은 대부분 직접 세팅을 해야 되는 구조고.. 애플은 옵션 하나 키거나 / 그냥 자동으로 되거나.. 정도의 구조 차이죠 뭐..
그게 되는 기본은 애플은 지금 버전 기준으론 로그인하면 그냥 아이클라우드를 비롯한 모든게 한큐에 로그인이 강제로 되면서 활성화 되는 구조고, 구글은 수동으로 켜야 되는 차이와..
애플은 맥이 있지만 구글은 PC엔 프로그램을 깔아야 되는 차이.. 같은거에서 오는 점이긴 합니다만..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