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7/05/27 21:16:48 |
Name | Leeka |
File #1 | it.jpg (104.8 KB), Download : 4 |
Subject | 게임업체로 살펴보는 IT 5대 기업의 영향력 |
현재 전세계 시총 1~5위면서 IT 5대 기업인 위 5개 기업과 게임업계의 관계를 짤막하게 적어볼까 합니다. 제가 현재 몇년째 서비스 중인 모바일 게임을 기준으로 하면 - 애플 / 구글의 플랫폼에서 서비스 합니다. (매출의 30%를 수수료로 줍니다.. 물론 그 30% 안에는 결제 수수료와 통신사 수수료가 포함되어 있긴 합니다.) - 마소와 애플의 소프트웨어로 개발합니다. (마소의 윈도우 + 오피스 + 비주얼스튜디오 + 애플의 맥 + 엑스코드) - 아마존의 서버를 사용합니다. (글로벌 서비스 하는 게임업체의 대부분은 다 아마존 서버 씁니다.) - 페이스북의 이용자 통계를 활용합니다. (가입시에 페이스북으로 로그인 한번 누른. 그 내용 하나로 페이스북에서 정량화된 정보를 제공해줍니다.) - 구글과 페북을 활용해서 유저를 모객합니다. (구글, 페북의 광고 시스템은 정말.. 글로벌 모객은 이넘들 만한게 없습니다.. 네이버 광고처럼 특정 국가 특화 광고랑은 또 별개의 영역이라..) 위 내용은 '왠만한 모바일 게임 회사'는 다 통용된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 대부분의 사람들이 아마존, 페이스북에 대해선 그냥 책파는 회사, SNS 회사 정도로만 알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위 IT 5대기업이.. 생각보다 IT 업계에서 먼가 개발을 해보시면... 현재 미치고 있는 영향력이 정말 장난이 아닙니다 -.-;; 뭐 요즘엔 지들끼리 컨소시엄 구축해서 미래먹거리 표준들도 결정하는 마당에... 2
이 게시판에 등록된 Leeka님의 최근 게시물
|
2002년에 제프 베조스는 그 당시로서는 뜬금없이 [앞으로 우리 회사의 모든 팀은 예외없이 부서의 모든 기능과 데이터를 외부 개발자들이 쓸 수 있도록 개방 API로 제공해야 한다. 회사 내부 컴퓨터끼리도 이 API를 통해서 통신해야 한다. 이를 따르지 않을 경우 해고하겠다.]는 명령을 내립니다. 아마존닷컴은 사람들이 많이 몰릴 때(예를 들면 블랙프라이데이)를 대비하여 서버를 잔뜩 가지고 있는데, 평소에는 이 서버들을 놀리고 있다는 사실이 CEO로서는 마음에 안 들었던 모양이지요. 따라서 평소에는 이 서버들의 처리 능력을 외부 사람들에게 임대하기 위해, 회사 내부부터 싸그리 갈아엎은 것이지요. 결국 이 결정 덕분에, 아마존닷컴은 단순히 물건을 파는 회사에서 컴퓨팅 리소스를 판매하는 회사로 탈바꿈하게 됩니다. 세계 제일의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이 된 것이지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