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5/15 08:08:54
Name   Zel
Subject   컴퓨터 바이러스에 대한 추억
기사 댓글을 보다 예전 생각이 떠오릅니다. https://kongcha.net/?b=13&n=22491&c=73794
과거 피씨가 나약하지 않았나 회상해봤습니다.
순전히 기억에 의존한 일방적 서술이고 나무위키 등 확인을 안해 사실관계가 다소 다를 수 있고, 결정적으로 별 내용 없습니다 ㅋ 아재들은 다 아는 이야기

컴퓨터 바이러스라는 개념이 처음 들어왔을때,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 하는게 이게 진짜 살아있는 생물학적 '바이러스' 인지  프로그램인지 구분을 못하는거였지요. 이름부터 '~웨어' 가 아니라 '바이러스' 였고.. 이게 주로 플로피 디스크를 통해서 디스크-> 피씨 램 -> 디스크 로 전염되어서 더더욱 그랬던거 같습니다 (피씨 램에 상주해서 실제로 흔적이 안남기 때문에 디스크끼리 접촉했나 하는 사람 있을 정도로). 컴모르는 동기나 후배들에게 디스켓 만질때 장갑끼고 만져라, 디스크 만지고 손씻어라 안씼으면 무슨병 무슨병에 걸린다 라고 구라치면 순진하게 속아 넘어가던 사람들이 상당히 많았던 시절입니다. (이걸로 KFC에서 비스켓 시켜놓고 여대생이랑 미팅할때 썰 풀면 '오빠 ㅄ 같지만 멋있어' 같은 반응이 절로 나오던..)  첫 바이러스였던 (c) brain은 그냥 로고만 바뀌고 아무런 해가 없었기 때문에 (처음부터 파키스탄 컴가게의 홍보목적였습니다.) 뭐 사람들은 그냥 그러려니 하고 열심히 도스를 썼던 기억이 나네요. 그러다 이거만 잡는 전용 백신이 따로 나왔던 거 같습니다. 이게 국산인지 외산인지는 잘 기억안나네요.

그러다 AT의 등장이후 하드드라이브가 기본적인 장비가 되면서 부터 컴퓨터 바이러스는 실제적인 위험으로 느껴지게 되었습니다. 가장 흔한건 특정 프로그램이 안돌아가는 거였고, 심하면 하드 포맷을 해야 하는 거였지요. 뭐 요즘같이 윈도우 환경이 아니어서 하드 포맷해도 도스까는 건 일도 아니었지만, 메모리 설정이 빡신 당시 상황에서 autoexec. bat나 config.sys에서 emm386 이런거 잡던게 더 빡쳐서 얘네들 백업이 없으면 더 귀찮았습니다. 물론 백업 안되어 작업 데이터 날리는건 기본이지만.. 어쨌던 포맷만 하면 다시 쓸 수 있다는 점에선 그렇게 까지 무섭진 않았던거 같아요. 플로피 몇 박스 쌓아놓고 살던 시절이라 다들 백업은 이래저래 많이 했었고, 유틸이 없어도 당시 피씨 통신에는 유료프로그램들이 널려 있었기 때문에 유틸 받아서 까는 건 일도 아니었습니다. pctools, norton commander, 그리고 m 그 외 기타 필수 유틸도 다 있었죠. 문제는 모뎀으로 다운 받다 전화와서 끊기면 이어받기가 안되던 거.. 이건 나중에 z-modem 프로토콜 개선으로 해결되었던거 같긴 합니다. 다운 이어받기가 얼마나 신세계였는 지 요즘 꼬꼬마들은 잘 모를거에요 잇힝

13일의 금요일이니 예루살렘이니 시끄럽긴 했고 제 피씨에도 각종 불법 게임이 잔뜩 깔려있어서 종종 v2plus/v3 그리고 지금은 잊어버린 미국산 엄청 오래 걸리는 스캔프로그램 등 백신 프로그램 돌리면 바이러스가 나왔지만 나와도 뭐 그려러니 하고 그냥저냥 살았습니다. 그러다 된탕 걸렸던 바이러스가 있는데 아마 91년으로 기억나요. 그 이름도 포스 넘치는 '다크 어벤져' .. 아마 삼국지 2에 묻어왔던가 그런데 이걸로 하드 포맷하고 또 살아나고 해서 퇴치에 고생했던 기억이 납니다. 백업 디스켓에도 묻어서 답도 없어서 결국 동네 컴가게에 피씨 들고 갔었어요. 그래도 하드웨어는 망가뜨리지 않아서 위안으로 삼았습니다. 이건 v3도 잘 못잡아서 다크 어벤져 전용 백신을 다시 만들고 변종 또 나오고 생 난리였어요. 아마 일반 pc유저에게 제대로 각인된 첫 바이러스 였습니다.

그러곤 또 넘어갔어요. 가끔 바이러스 위기라는 소리가 나왔지만 이 시기 이후엔 v3의 전성시기라 정말 웬만한건 다 막아줬습니다. 안철수씨가 인터뷰도 많이 했었는데.. 바이러스란게 박테리아와는 달리 그 자체로 생명이 아니고 숙주에 기생하는 형태이죠. 컴퓨터 프로그램도 마찬가지로 컴퓨터 바이러스가 숙주 프로그램에 묻어나면서 변형시키는 거였습니다. v2plus시절 경쟁하던 미국 프로그램들은 구체적 알고리즘은 모르겠지만 마치 부루트포스 시행하는거 처럼 처음부터 프로그램 다 찾아서 20메가 하드 하나 스캔해도 하루종일 걸려서 도저히 쓸만하지가 않았어요. (아 이름이 생각이 안나네) 그러고 스캔 프로그램 따로 치료프로그램 따로 였어요. 반면 v2plus/v3는 바이러스의 특정 에피토프 (뭐 염기서열 같은걸로 퉁 칩시다)를 빠르게 검색해서 체감으로 1/100의 시간만으로 찾아주고 바로 지워주고, 더 좋은건 정말 결벽증에 가까운 업데이트 집착으로 항상 국내 환경을 가장 잘 반영했던 걸로 기억납니다. 한국에 안들어 잡다한 바이러스는 디비에 포함을 안시켜서 프로그램이 가벼웠죠. 들어오면 바로바로 등록하고.. 안랩 이전 v3는 오히려 정말 명품이었어요. (그 집착을 대선기간에 확인하게 된 건 슬펐지만요..ㅠㅠ)

이후 컴퓨터 환경이 바뀌었습니다. 제가 있던 직장엔 97년 부터 랜이 하나씩 들어오고..(이거 회사 정보부서가 없어서 저희는 전공의 몇명이 세운상가 가서 허브 사오고 랜선 설치하고 해서 직접 윈도우 95에 깔았습니다) 넷스케잎에 인터넷 한 두개 돌아가고 하던 시점입니다. 그러도 98년 부터 '스타' 가 들어오면서 웃기게도 직장내 랜설치가 폭발적으로 늘었습니다. 다른 하나는 바로 어느 연예인 비디오였죠. 여튼 그래서 ipx로 당직때 몰래몰래 스타하다가 어떻게 인터넷 연결되는 피씨 잡으면 충대 프리서버 같은데서 '여탕위에 옵저버' 이딴 방제 써놓고 콜 받던 시절입니다. 이러다 99년인가에 바로 그 CIH가 터졌어요. 일명 체르노빌 바이러스. 이 바이러스가 저희 직장에는 절반 이상 스타 립버전을 통해서 퍼졌습니다. v3에 스캔하면 항상 뜨긴 뜨는데 치료해도 안없어지고 (상당히 취약했습니다 여기에.. 하우리가 이거 때문에 떴던가 가물가물) 근데 뭐 치료 안해도 아무 문제 없길래 다들 그냥 썼는데 이거 터진날 저희 직장 피씨의 80%가 날라갔습니다. 병원 전산이 제한적으로 사용되던 시기라 어째 어째 막았습니다만 요즘 같으면 초대형 사고였죠. 그 전 바이러스와는 달리 이놈은 보드의 씨모스램을 날려버려서 하드웨어 자체가 망가져서 포맷으로도 살릴 수 없었죠. 이 후 보드에는 듀얼 바이오스가 기본 채택이 되는 역사적인 바이러스였습니다.

그 당시 저희 병원에 인터넷에 물려있던 피씨가 20%도 안되었습니다. 반면 인트라넷엔 거의 다 물려 있었고 원인 조사를 해보니 이 스타 립버전이 깔려있던 피씨는 여지 없이 감염되었었죠. 요즘 같으면 아마 감사원까지 올라가서 징계를 받지 않을까 싶은데 그 땐 좋은(?) 시절이라 쉬쉬하면서 넘어갔습니다. (이래서 아재들이 과거시절을 그리워 하는겁니다 ㅋ 알겠니 이 꼬꼬마들아.) 여튼 이 CIH는 대한민국 뿐 아니라 전세계를 강타해서 컴퓨터 바이러스가 실제적인 하드웨어까지 고장나는 'Real threat' 임을 대중에 각인시켜 주었습니다. 그 이후에도 소소한 이벤트들이 있긴 했는데 다들 아실테고 사실 기억이 잘 안납니다. 이번 랜섬웨어도 그 연장선 같네요. 다들 보안 패치 잘 하시길.







5
  • 알겠니 이 꼬꼬마들아? 어?


어렸을 때 하드에 바이러스가 드글드글 했는데... 왜인지 v3를 돌려도 다시 돌리면 또 같은 바이러스가 검출되곤 했었죠.
당시엔 영어가 딸려서 메시지의 내용도 정확히 모르겠고...
그래서 바이러스가 V3를 무력화 시키기 때문에 무력화되지 않은 상태의 V3를 가지고 와서 치료해야 하나보다 정도로 막연히 생각했었습니다.

근데 바이러스가 있어도 게임하는데는 아무 지장이 없었기 때문에 그냥 막 썼지요 ㅋ
돌려도 또 나오는건 못잡기도 하고, 중감염이 되기도 하고, 압축파일 속에 숨어있기도 하고 그래서였죠. 재밌게도 이런 현상 까지도 생물학적 바이러스와도 상당히 일치합니다. 그래서 더 안철수씨의 의학적 접근이 초기에 빛을 발했지요. 백신프로그램 공격해서 변형시켜서 바이러스 유포하는 놈들도 곧 생겨서 v3도 자체 변형 검증 루틴을 만들었던걸로 기억납니다.

그러고 말씀대로 바이러스가 있어도 게임엔 문제가 없었어요 ㅎ. 문제가 되면 뭐 게임 지우고 다시 까는 거 정도나 좀 귀찮은거였고.
Beer Inside
하는 일이 거의 없었던 LBC바이러스도 있었죠.

개인적으로 받은 가장 큰 피해는 Boot sector를 망가트리는 녀석이였는데, 타격이 켰습니다.

당시 안철수는 PC 통신에서의 구루였죠. 정치를 하면서 구루가 되지 못해서 그렇지.....
이병철! 바이러스.. 부트섹터를 다크 어벤져도 건드렸나 그랬던거 같아요. 로우 레벨 포맷 어쩌고 저쩌고 고생했던 기억이 있어요.
Beer Inside
그 개그를 아직도........ 이병철이 사망한지 언제인데....
revofpla
제 생일보다 며칠 빠른 바이러스군요. 압니다.
은채아빠
읽어 내려가다가 브루트포스 에서 흠칫+움찔+긴장 했습니다. 갑 회사에서 어찌나 보안이슈로 괴롭히는지 단어만 봐도 움찔하네요.
웃긴 건... 막상 을들은 단속하면서 실제 갑 회사는 자기들 내부적으로 보안이슈가 끝도 없이 터져나가고 인사비리도 터져나가고 물건도 헐값에 팔아버리는... 그런 공무원 같은 회사라는거..

8088 XT A,B 드라이브 달린 놈 사서 감격하여 이불 속에서 오른손만 내밀고 키패드로 삼국지2 하던 시절이 생각나서 추천드렸습니다 :)
ㅎㅎ 사실 백신하곤 무관한 이야기겠지만 하도 오래 걸려서 그런 생각이 들었어요. 그때 대학교 전산실 가면 컴 중에 2/3은 삼국지 돌리고 있었어요 ㅋ
은채아빠
삼국지는 고전이 제 맛이죠!! ㅎㅎㅎ
Beer Inside
삼국지 3까지는 모니터 끄고 플레이 하던 친구도 있었죠.
은채아빠
대단하신데요!!!
2의 흑백 도트만 보던 제게 삼국지3는 너무나 휘황찬란하던 기억이 있네요..
Darwin4078
비스켓은 kfc보다 파파이스가 더 맛있었다고 삼촌이 얘기해주시네요.
파파이스는 진짜 드물어서..
켈로그김
예루살렘에 정말 호되게 당했지요.
남북전쟁,캘리포니아,코리안테트리스,금광을찾아서 다 날아간;
사나남편
이분 90년대에도 직장인이셨어..ㅜ.ㅜ
tunetherainbow
컴퓨타를 아재님들처럼 오래 쓰진 않아서인지 바이러스 걸린 적이 손에 꼽을 정도네요.
백신이 삐약 거려서 봐도 바이러스보다는 악성코드류였고...

전화비가 아까운 시절엔 께임 잡지사면 번들 시디에 딸려있던 v3neo를 사용했던 기억이 납니다.

직장에서 정보보안기사 자격증을 따라고 하는데 너무 귀찮...
여기 삼촌들 많으시네요...
삼촌 소리 들을까봐 댓글을 못달겠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338 IT/컴퓨터acer aspire r15 후기 4 팅핑랩썬브클 17/09/26 5054 0
6333 IT/컴퓨터가성비 끝장 노트북 추천해드립니다. 14 팅핑랩썬브클 17/09/25 6212 2
6307 IT/컴퓨터컴퓨터 견적 150만원대 뽑아왔습니다. 구매 하루전. 많은 조언바랍니다.(키보드,모니터,스피커 포함가) 5 콩자반콩자반 17/09/19 6141 0
6277 IT/컴퓨터아이폰 7로 보는 아이폰8, 8+, X의 예상 가격 6 Leeka 17/09/13 3439 1
6272 IT/컴퓨터아이폰 차이점 간략 요약 19 Leeka 17/09/13 4827 0
6249 IT/컴퓨터T맵이 평소랑 다른 길을 안내할 때... 13 Toby 17/09/08 4977 0
6236 IT/컴퓨터아이패드 프로 12.9 2세대 2일차 사용후기 15 Leeka 17/09/06 11499 0
6231 IT/컴퓨터[긴급] 혹시 알툴바나 스윙 브라우저의 자동 로그인 기능 “알패스”를 쓰시는 분이 계신가요? 24 April_fool 17/09/05 5992 0
6195 IT/컴퓨터컴쫌알이 해드리는 조립컴퓨터 견적(2017. 9월) 25 이슬먹고살죠 17/08/29 8265 20
6150 IT/컴퓨터다음달부터 시작될 애플과 구글의 코덱전쟁 2라운드 16 Leeka 17/08/23 7080 2
6037 IT/컴퓨터전일제 비전공자 코딩교육 업체에 대한 간단한 정리. 21 April_fool 17/08/01 15134 0
6002 IT/컴퓨터재미로 써보는 웹 보안이야기 - 1 18 Patrick 17/07/25 4398 6
5966 IT/컴퓨터스스로 장애물을 피하는 인공지능 6 Toby 17/07/17 6366 3
5956 IT/컴퓨터마우스 영역 제한 프로그램(듀얼 모니터 이상을 사용하는 분을 위한 프로그램) 5 ArcanumToss 17/07/15 18675 4
5938 IT/컴퓨터캘린더앱 리딤 나눔 결과 발표 13 jk25d 17/07/13 3659 0
5931 IT/컴퓨터iOS캘린더앱 나눔 28 jk25d 17/07/12 4003 5
5857 IT/컴퓨터신종 랜섬웨어 페트야 예방법 11 ArcanumToss 17/06/29 4558 1
5793 IT/컴퓨터애플이 한국에서 이중인증을 지원합니다 11 Leeka 17/06/14 7726 1
5755 IT/컴퓨터탭 내빙(Tabnabbing) 보안 공격 8 Toby 17/06/07 4719 11
5742 IT/컴퓨터판을 바꾼 애플과, 가장 빨리 따라간 삼성 9 Leeka 17/06/04 4404 1
5706 IT/컴퓨터게임업체로 살펴보는 IT 5대 기업의 영향력 8 Leeka 17/05/27 5459 2
5700 IT/컴퓨터어쩌다보니 지른 에어팟 사용 후기 21 Leeka 17/05/25 9606 3
5693 IT/컴퓨터The New Surface Pro 11 싸펑피펑 17/05/24 4162 0
5679 IT/컴퓨터애플과 접근성 - 애플의 다양한 사용자 경험 5 Leeka 17/05/20 4330 4
5673 IT/컴퓨터애플이 밝힌 맥과 관련된 통계들 5 Leeka 17/05/19 4244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