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3/15 02:22:29
Name   Elon
File #1   IMG_2387.JPG (43.7 KB), Download : 5
File #2   IMG_2384.JPG (182.8 KB), Download : 2
Subject   새벽에…… EE 이야기. 2편(결).




이번에는 지구 반대편 네덜란드로 갑니다.

네덜란드는 정보통신망이 발달한 나라로서 전자정부지수를 나타낸 12년도 표를 보면 대한민국에 이어 네덜란드가 2위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네덜란드가 고도의 정보화 사회를 이룩할 수 있었던 이유는 1990년대부터 국가적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정보화를 추진했기 때문입니다. (이거 완전 우리 얘기 아닙니카?)

네덜란드는 1989년에 전자선거법을 제정하고, 1998년을 시작으로 순조롭게 전자선거를 실시하였습니다.
그 효과는 굉장했다! 투표소가 줄어들어 그에 따르는 비용이 줄어들었고, 정확하고 신속한 개표가 이루어졌으며, 무효표가 줄어들었습니다. 네덜란드 국민들도 전자선거를 쉽게 받아들여서 90%가량의 유권자가 이 방법으로 투표하였습니다.

네덜란드에서 전자선거가 공고히 자리잡아가던 2006년, 전국을, 나아가 유럽을 충격으로 몰아넣은 대 사건이 발생합니다. 전자선거에 반대하는 시민단체(두 번째 사진)의 적극적인 활동 때문이었습니다. 2006년 10월 4일, 이 단체는 방송을 통해 전자선거에 활용된 프로그램을 해킹하여 결과를 바꾸는 시연회를 열었습니다. 5분이 채 되지 않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네덜란드 선거의 역사를 바꾸기에는 충분했습니다.

2007년 10월 1일부로 알크마르(Alkmaar) 지방법원은 당시 사용하던 전자투표기기인 Nedap/Groenendaal 컴퓨터를 모두 허가취소하였습니다. 그리고 네덜란드의 공직선거에서 전자투표는 공식적으로 중단되었어요. 비슷한 시기 독일 연방법원은 '전자식 투표는 불법'이라고 판결했습니다. 2017년 현재 네덜란드는 러시아의 해킹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개표마저 손으로 합니다. 최근 서유럽국가들은 같은 이유로 전자선거를 축소 또는 폐지하고 있답니다.

지금까지 브라질과 네덜란드의 전자선거 도입과 추이를 살펴보았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목적으로 전자투표를 도입하였으나 브라질은 전자선거가 시행중이고, 네덜란드는 중단되었습니다. 두 나라는 어떤 점이 달랐기에 전자선거에 대해서 상반된 결과가 나온 것일까요?
저는 두 나라의 국민정서와 현실적 제약에 원인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브라질은 투표를 하지 않으면 처벌한다는 벌칙규정이 있습니다. 인구밀도는 낮지만 많은 인구와 대부분이 미개척지인 넓은 땅이 있습니다. 투표하기가 쉽지 않지요.
네덜란드는 인구밀도와 도시화율이 높고 작은 나라입니다. 투표소가 가깝고, 개표하기도 쉽지요. 또한 벌칙이 없음에도 80%이상의 높은 투표율을 보이는 나라입니다.

브라질은 문맹률이 상당히 높은데, 글을 읽지 못하는 사람들은 화면에 표시되는 후보자의 얼굴을 보고 투표합니다. 반면 네덜란드는 문맹이 거의 없어서 글자만으로 이루어진 투표지도 보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브라질은 전자선거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었습니다. 부정으로 얼룩진 선거, 길고 긴 개표기간, 투표율을 높여야 한다는 생각 등 국민들은 새로운 제도를 강하게 바랐습니다. 브라질에서도 전자기기의 신뢰성에 의문을 가진 사람이 있습니다. 하지만 전자선거를 필요로 하는 사람은 더 많이 있습니다. 때문에 전자선거제도를 고쳐서 쓰지, 과거의 종이투표로 돌아가지는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네덜란드는 브라질과는 반대였습니다. 국민들은 정부와 선거관련기관을 신뢰하였으며, 개표기간은 짧고, 투표율은 본래 높았으므로 딱히 투표율을 올려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았습니다. 애초에 전자선거를 할 필요성이 크지 않은 나라였는데 투표기기를 해킹했다는 소식을 들은 국민들은 전자선거기기를 불신하게 되었고, 네덜란드는 단숨에 과거의 종이투표로 회귀하였습니다.

전자선거, 이점이 많은 제도입니다. 직접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있습니다. 언젠가는 우리 대한민국에도 전자선거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질 날이 올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전자선거가 실시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우리나라는 정보통신선도국가로서 기술적으로 전자선거를 도입, 실행, 관리할 능력이 있습니다. 또한 현행 투표방식을 전자투표로 바꿀 수 있는 경제적인 능력도 갖추고 있습니다. 제한적으로나마 개표시에 사용하는 장치가 있고, 당내경선이나 조합장선거에서는 투표까지 기계를 이용하여 화면을 보고 합니다.
다만 정치적으로, 문화적으로 우리 국민들이 전자투표를 받아들일 것인지는 오랜 기간에 걸쳐 의견을 모을 필요가 있습니다.

여러분, 미래는 어느 순간 곁에 와 있습니다!


//////


다음달은 보선, 그 다음달은 대선! 제가 죽기 전에 이런 선거를 집에서 할 수 있을까요?

이 글은 제가 예전에 써 두었던 것을 지지고 볶아서 재구성하였습니다. 서쪽 나라들과 러시아의 갈등이 심해진 것을 빼면 큰 변화가 없어서 다행인지 불행인지.

긴 글을 읽어줘서 고마워요 :)



3
  •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Cibo & Killy
굉장히 흥미롭네요. 브라질이나 네덜란드 같은 사례가 있다는 사실을 처음 배워갑니다.

우리나라에도 도입이 되었으면 하는 생각을 막연하게 하기는 했지만, 본문에서 언급하신 것과 마찬가지의 이유로 우려가 되기도 했는데, 그걸 실제로 실현시킨 국가가 있고 그걸 취소하고 이전 상태로 되돌아간 나라도 있군요.

말씀하신대로 우리나라에 역시 도입한다고 쳐도 반발도 심할 것이고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할 것 같네요.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가능할텐데. 과연 언제쯤 가능할지도 의문이고요. 꼭 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저조차도 확신이 잘 안 생기네요.
지금 방식으로 이삼백년쯤 선거를 치를 것 같기도 하고, 매일같이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는걸 보니 어느 날 갑자기 전자선거를 하고 있을 것 같기도 하고, 십 년을 준비했던 네덜란드도 다시 종이방식으로 바꾼 걸 보면 아직인가 하고, 궁금증 해결을 위해 더 후대에 태어났어야 했다는 생각도 듭니다 :)
하트필드
해외 사례와 함께보니 좋네요. 기술의 발전과 그것에 대한 사람들의 믿음, 산재한 문제등등. 자동운전차량도 생각나고.
제 개인적으로는 다른 분야에 비해 늦게 도입될거같아요. 거동이 불편하신 분들이랄지 매우 부분적으로 적용은 되겠지만 글쎄요.
말씀하신대로 시간과 장소 비용에관한 문제해결 측면에서 최고라 보는데...그걸 감안해도 부정투표에대한 두려움 영향이 제일 클거같아요. 정치적인 문제도 엮일테고...

결국 AI가 다스릴것입니다. 알파고님 충성충성충성
알파고님, 특이점이 오기 전부터 서약합니다. 충성충성충성 ^^7
은머리
재밌어요. 우리나라는 인프라는 좋은데 불신이 심해서 아직은 전자투표보다는 개인적으로 종이투표가 더 괜찮아 보여요.
사회 구성원간 신뢰도가 높아지면 경제성장률도 올라간다는 글을 읽은적 있습니다. 선거방식따위 어떻게 하든 상관 없으니까 백해무익한 불신이 줄어들면 좋겠어요 :)
April_fool
우리나라에서는 도로 수개표 도입에다가 투표소에서 바로 개표하게 하자는 주장도 있지요.
수개표의 최대 장점은 당락소식을 밤새 기다리는 설렘이지요 ㅎㅎㅎㅎㅎ
부러운아이즈
실험장치도 항상 디지털이 편하고 좋지만
결국 중요한 실험은 항상 아날로그로 하게 되더라구염
좋은글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984 역사백작이랑 공작이 뭐에요? 24 Raute 17/07/20 8202 15
5944 역사 영화 "덩케르크" 의 배경이 되는 1940년 독일-프랑스전투 2 모모스 17/07/14 10463 8
5918 역사삼국통일전쟁 - 6. 안시성에서 멈추다 7 눈시 17/07/09 5195 8
5913 역사중국 상고음(上古音)으로 본 '한(韓)'의 유래 33 기아트윈스 17/07/07 7183 18
5903 역사삼국통일전쟁 - 5. 황제는 요하를 건너고 7 눈시 17/07/06 4093 8
5874 역사삼국통일전쟁 - 4. 642년, 두 거인의 만남 4 눈시 17/07/01 4242 11
5852 역사삼국통일전쟁 - 3. 여수전쟁의 끝, 새로운 시작 11 눈시 17/06/28 5352 7
5841 역사삼국통일전쟁 - 2. 살수대첩 22 눈시 17/06/26 4618 13
5808 역사삼국통일전쟁 - 1. 일백일십삼만 대군 15 눈시 17/06/18 4833 17
5777 역사6세기, 나제동맹의 끝, 초강대국의 재림 36 눈시 17/06/11 5892 13
5688 역사조선왕조의 왕이 한 말 중 가장 멋졌던 말 2 피아니시모 17/05/23 4326 0
5552 역사근로자의 날이 아닌 노동절. 4 와인하우스 17/05/01 4069 9
5528 역사임전무퇴 - 너는 죽었어야 했다 17 눈시 17/04/26 4881 11
5520 역사?? : 백제는 전라도였다고! 6 눈시 17/04/25 4374 1
5423 역사강태공의 이름은 무엇인가. 8 마카오톡 17/04/12 7637 13
5245 역사일본 역사의 남색 문화 16 눈시 17/03/20 10672 6
5191 역사새벽에…… EE 이야기. 2편(결). 9 Elon 17/03/15 3914 3
5190 역사새벽에…… EE 이야기. 1편. 5 Elon 17/03/15 4084 3
5143 역사왕흘 이야기 (부제:나무위키 꺼라) 7 Raute 17/03/11 6310 3
5132 역사전국시대 세 자매 이야기 (완) 2 눈시 17/03/10 6444 5
5046 역사전국시대 세자매 이야기 (3) 6 눈시 17/03/02 7032 6
5010 역사나는 왜 역사를 좋아했는가 2 피아니시모 17/02/25 3618 3
5004 역사일본의 다도(茶道)가 재미있는 점 5 눈시 17/02/25 6203 4
4958 역사붉은 건 [ ]다 12 눈시 17/02/22 5342 11
4934 역사전국시대 세 자매 이야기 (2) 8 눈시 17/02/19 6328 5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