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7/03/02 02:18:14 |
Name | 기아트윈스 |
Subject | 3.1절 기념으로 국뽕이나 한사발 마셔봅시다 |
전 '민족주의' 타이틀이 붙은 건 다 싫어하는 심술쟁이지만 오늘은 특별한 날이니 작정하고 흐콰해볼게요. 다시 생각해도 어이가 음슴으로 음슴체로 가겠음. 1. 애들 등하교 시킬 때면 다양한 학부모를 만남. 여기가 대학도시라 그런지 인종이 각양각색임. 그 중에 히쟙 같은 걸 쓰고 있는 예맨 출신 아줌마가 우리 딸들을 디게 이뻐함. 그러다가 어느날 조심스럽게 내게 '어느나라에서 왔니'라고 물어봄. 나: 한국에서 왔징 아줌마: 어머 정말? 어쩐지 니가 하는 말들이 다 듣기 좋더라(euphonic). 나: ??? 아줌마: 그래서 중국인은 아닐거라고 생각했어. 나: ????? 아줌마: 내가 사실 [쪙구마] 진짜 좋아하거든. 나: [쪙구마]가 뭐지....어? 그거 혹시 [장금아~] 아냐? 아줌마: 맞아! [쪙구마!] 야, 미안한데 한국말로 [쪙구마~]좀 해줄 수 있니? 나: (목소리를 깔고 성우톤으로) [장.금.아♡] 아줌마: 꺄! 2. 동네에 불란서인이 운영하는 빵집이 있음. 그래서 알바생들도 보면 불란서계통이 많음. 악센트로 보건대 불란서에서 온 듯한 흑누나 한 분이 자주 카운터를 보는데 내가 빵을 계산하려고하니 어디서 왔냐고 물음. 나: 한국에서 왔징 누나: 어머 정말? [나 항쿵말 할 줄 아라요] 나: ??? 누나: [빅뱅 짱. GD 짱짱. 너무 져아요] 나: ;;;; 누나: [만나서 방가워요. 나중에 GD얘기 해져요] 나: [네;;;] 3. 동네에 막스&스펜서 라는 슈퍼마켓이 있음. 거기서 장보고 계산대에 줄서있는데 아시안 캐시어 한 분이 대뜸 캐시어: (완벽한 한국어) [어머 아이들이 참 이뻐요. 쌍둥인가요?] 나: [아 네. 하..한국분이셔요?] 캐시어: [아뇨. 저 말레이에서 왔어요.] 나:!? 캐시어:[한국어는 드라마보면서 배웠구요 ㅎㅎ] 나:(드라마만 보고 네이티브가 된거야!?!?) 캐시어:[좋은 하루 되세요~] 4. 어저께 지도교수(네덜란드인) 튜토리얼이 있었는데 중간에 내게 조심스럽게 물어옴 교수: 야, 그 뭐냐, 케이팝 보이밴드 중에 엑..그 뭐시기 있잖아 나: 엑소? 교수: 맞아 엑소! 걔들 좀 유명하니? 나: 열라 유명하지. 아시아권 틴에이져는 대부분 알걸? 교수: 그렇구나. 내 아들 방에 걔들 포스터가 붙었어. 나: !? 교수: 한국말 배우겠대. 한국이 짱이래. 나: ㅋㅋㅋㅋ 교수: 어쩌면 한국인 사위를 들이게 될지도 모르겠군 (아들이 게이) 나: 쩐다 ㅋ 교수: 그 때 되면 한국말 좀 가르쳐줘 ㅋㅋㅋ 나: ㅇㅇ 고백하건대 글쓴이는 한 때 한류 확산을 위해 정부에서 푸닥거리하고 밀어주는 걸 좀... 야트막한 술수? 여튼 별로라고 생각했었음. 그런데 지금 보니 한류로 인해 한국이라는 나라가 어마어마하게 광고가 됐음. 중국인이나 일본인한테는 물어볼 필요조차 없는 수준이고 네덜란드, 영국, 프랑스, 예맨인들 가운데서도 자생적인 팬층이 있는 수준. '한국 방문의 해' 같은 티비광고를 얼마나 쏟아부어야 이정도 수준의 광고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까. 아마 불가능하지 않을까 싶음. 어쨌든, 한류가 없었더라면 내 유학생활은 이래저래 훨씬 힘들었을 게 분명함. 한류 짱짱. 사랑해요 빅뱅, 엑소 옵빠들. 5
이 게시판에 등록된 기아트윈스님의 최근 게시물
|
'코리안 쿨' 이라고 국뽕 거하게 들이마신 책이 있는데 80년대에 한국에서 초등학교를 다니고 미국으로 유학간 이후 20년이 지나서 한국에 돌아와서는 그동안 발전한 한국의 모습을 보고 충격받은 저자가 한국을 찬양 찬양 또 찬양하는 책입니다. 특히 한국의 대중문화가 어떻게 그렇게 큰 성공을 거두었는지에 대해 개인적 생각을 자세히 쓰더군요.
'한국이 어디 쿨하지 않은 데가 있나요? 세련된 전자기기, 다리 긴 아름다운 여자들, 근육도 있고 남자답게 생긴데다가 감정도 풍부한 잘생긴 남자들의 나라 아닙니까'
'범아시아적 영향력을 ... 더 보기
'한국이 어디 쿨하지 않은 데가 있나요? 세련된 전자기기, 다리 긴 아름다운 여자들, 근육도 있고 남자답게 생긴데다가 감정도 풍부한 잘생긴 남자들의 나라 아닙니까'
'범아시아적 영향력을 ... 더 보기
'코리안 쿨' 이라고 국뽕 거하게 들이마신 책이 있는데 80년대에 한국에서 초등학교를 다니고 미국으로 유학간 이후 20년이 지나서 한국에 돌아와서는 그동안 발전한 한국의 모습을 보고 충격받은 저자가 한국을 찬양 찬양 또 찬양하는 책입니다. 특히 한국의 대중문화가 어떻게 그렇게 큰 성공을 거두었는지에 대해 개인적 생각을 자세히 쓰더군요.
'한국이 어디 쿨하지 않은 데가 있나요? 세련된 전자기기, 다리 긴 아름다운 여자들, 근육도 있고 남자답게 생긴데다가 감정도 풍부한 잘생긴 남자들의 나라 아닙니까'
'범아시아적 영향력을 발휘한 다른 나라들은 정치적으로 나쁜 역할도 했습니다. 중국과 일본은 과거의 제국주의 강대국이었고 식민주의 내지는 최소한 주변지역에 권력자로 여겨졌습니다. 한국은 다른 경로를 따랐어요. 무력이 아니라 소비재로 아시아를 장악했습니다. 한세대 전만 해도 한국은 신흥 시장이었지만 이제 한국은 아시아 시장에 근사한 소비재를 가져다 줍니다. 그것은 경제적 점령군의 느낌이 아닙니다. 아이폰은 비쌌지만 삼성의 핸드폰은 저렴했습니다. 삼성과 LG가 만든 냉장고와 식기세척기는 사람들이 스스로 중산층으로 여길 수 있는 세련된 디자인 감각을 보여줬어요. 한국의 소비재는 희망과 신분상승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성장을 위해 분투하고 있는 아시아시장은 한국을 자신을 돕는 대부라기보다는 성공한 형제로 여깁니다. 무의식중에 느끼는 문화적 감각이에요.'
'케이팝은 그 자체로 특별히 획기적이진 않습니다. 오히려 기발함이 부족한게 매력이에요. 표준화된 성과물을 내죠. <섹시하되 안전한 연예인> <연예의 상품> 성인에게 알맞지만 정도를 벗어나지 않는. 케이팝의 음악적 매력은 부차적입니다. 케이팝을 사며 라이프 스타일을 구매하는거죠.'
'한국이 어디 쿨하지 않은 데가 있나요? 세련된 전자기기, 다리 긴 아름다운 여자들, 근육도 있고 남자답게 생긴데다가 감정도 풍부한 잘생긴 남자들의 나라 아닙니까'
'범아시아적 영향력을 발휘한 다른 나라들은 정치적으로 나쁜 역할도 했습니다. 중국과 일본은 과거의 제국주의 강대국이었고 식민주의 내지는 최소한 주변지역에 권력자로 여겨졌습니다. 한국은 다른 경로를 따랐어요. 무력이 아니라 소비재로 아시아를 장악했습니다. 한세대 전만 해도 한국은 신흥 시장이었지만 이제 한국은 아시아 시장에 근사한 소비재를 가져다 줍니다. 그것은 경제적 점령군의 느낌이 아닙니다. 아이폰은 비쌌지만 삼성의 핸드폰은 저렴했습니다. 삼성과 LG가 만든 냉장고와 식기세척기는 사람들이 스스로 중산층으로 여길 수 있는 세련된 디자인 감각을 보여줬어요. 한국의 소비재는 희망과 신분상승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성장을 위해 분투하고 있는 아시아시장은 한국을 자신을 돕는 대부라기보다는 성공한 형제로 여깁니다. 무의식중에 느끼는 문화적 감각이에요.'
'케이팝은 그 자체로 특별히 획기적이진 않습니다. 오히려 기발함이 부족한게 매력이에요. 표준화된 성과물을 내죠. <섹시하되 안전한 연예인> <연예의 상품> 성인에게 알맞지만 정도를 벗어나지 않는. 케이팝의 음악적 매력은 부차적입니다. 케이팝을 사며 라이프 스타일을 구매하는거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