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2/20 11:32:47
Name   사슴도치
File #1   16832082_1263875807030227_5237990580311847995_n.jpg (81.9 KB), Download : 6
File #2   depth1.jpg (62.9 KB), Download : 6
Subject   [사진]아웃포커싱에 대해 알아봅시다




1. 들어가며

 큰맘먹고 카메라를 사서, 나도 이제 "카메라로 찍은 것 같은" 사진을 찍을 수 있겠다 라는 생각을 할 때 가장 먼저 생각나는 사진기법은 소위 아웃포커싱(정확히는 콩글리쉬고 out of focus 가 정확한 표현)이 아닐까 싶습니다.

 화보나 인터넷에서 보는 것처럼 피사체가 살아나고 배경이 날아가버리는 그런 사진들. 과연 어떻게 찍는 것일까요?

2. 피사계심도란 무엇인가

  카메라에서 초점이 맞은 것으로 인식되는 앞, 뒤의 범위를 말하는 것입니다. 즉, 카메라 렌즈가 향하고 있는 방향으로 얼마나 넓은 범위에 초점이 맞아지는지에 따라 피사계 심도가 얕다, 깊다고 표현하게 됩니다. 피사계 심도가 얕을 수록 초점이 맞은 범위가 좁고 흐린 부분이 넓어지고, 반대로 피사계 심도가 깊을 수록 흐린부분은 좁아지고 초점이 맞은 범위가 넓어지게 됩니다. 

  얕은 심도의, 아웃포커싱된 사진을 찍으면 첨부한 첫번째 사진처럼 나옵니다. 피사체인 까치만 부각되고, 배경인 나무들은 촛점이 전부 날아가버리게 되죠. 

 피사계심도는 촬영자의 의도대로 '무엇을 찍을 것인가'에 대한 주제를 명확히 해준다는 점에서 사진을 찍기 전에 잘 생각해보아야 하는 부분입니다.

 초점면에서 떨어져 있는 물체에는 초점과의 거리에 따라서 물체가 특정한 무늬 모양으로 흐려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를 착란원(circle of confusion)이라 하고 착란원의 모양을 보케(bokeh)라고 표현합니다.

 흔히 '초점을 맞춘다'라는 것은 렌즈를 조정하여 이와 같은 착란원의 크기를 최소로 하여 착란원을 구분하지 못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와 같이 착란원의 크기가 작아진 지점을 "임계초점면"이라고 하구요.

3. 얕은 심도의 사진을 만드는 법

 얕은 심도의 사진을 만들기 위해서는 몇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는데 이를 일별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렌즈의 조리개값(F값)이 낮을수록 
  - 같은 초점거리를 가지는 렌즈라면 최대개방조리개가 클수록 유리하고, 렌즈의 조리개를 한껏 열었을 때 더 심도가 얕은 사진이 나옵니다.
 (2) 렌즈의 촛점거리가 길수록 
  - 같은 조리개값을 가진 렌즈라면 초점거리가 길수록, 즉 망원일수록 더 아웃포커싱이 잘 됩니다.

  → 이는 빛의 회절이라는 특성과 관련이 있는데, 이론적인 설명은 차치하고, 심도는 렌즈의 물리적인 구경이 클수록 얕아집니다. 그래서 (1)의 경우에는 렌즈의 조리개를 최대개방할수록 물리적인 구경이 커져서 더 얕은 심도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것입니다.

  (2)의 경우에는 F값은 초점거리와 렌즈의 구경으로 정해지는 것인데 같은 F값이라면 초점거리가 길수록 렌즈의 구경이 커지게 되는 결과가 되어 더 얕은 심도의 사진을 찍을 수 있게되는 것입니다.

 그 외에 위치적인 조건을 살펴보면,  (3) 렌즈와 피사체가 가까울수록 (4) 피사체와 배경이 멀수록 
 얕은 심도의 사진이 나오게 됩니다.  (3), (4)번은 스마트폰으로 얕은 심도의 사진을 찍을 때 매우 유용한 방법이지요.

4. 판형은 상관이 없나요?

  풀프레임이 아웃포커싱하기 쉽다는 말이 있는데 판형은 상관이 없나요? 라는 물음이 들 수도 있는데, 엄밀히 말하면 풀프레임 판형과 크롭 판형간에 피사계심도차이는 사실 없습니다. 엄밀히는 말이죠.

 즉 같은 거리의 같은 피사체를 판형만 달리하여 같은 렌즈로 찍게된다면 같은 심도의 사진을 건질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같은 거리의 같은 피사체를 판형을 달리하여 찍게 된다면 지난번에 말씀드렸다시피 사진이 크롭됩니다. 

 즉 50mm F1.8 렌즈로 같은 거리에서 찍는다면 크롭바디에서는 풀프레임바디보다 확대되서 나오게 된다는 것이죠.

 그래서 크롭바디에서 풀프레임바디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정도로 찍으려면 렌즈를 바꾸지 않고 뒤로 더 떨어져서 찍어야 하고(피사체와 렌즈가 멀어짐), 혹은 렌즈를 같은 화각의 다른 초점거리를 같는 렌즈인 30mm 전후의 렌즈로 찍어야(렌즈의 촛점거리가 짧아짐) 유사한 거리감의 사진을 찍을 수 있고, 이처럼 몇가지 조건이 바뀌어서 심도가 더 깊어지게 되는 특성을 갖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같은 거리감을 가지는 사진을 찍는다면, 풀프레임 판형이 크롭 판형보다 더 얕은 심도를 가져갈 수 있습니다.


5. 아웃포커싱, 과연 필요한가?

 아웃포커싱은 손쉽게 피사체를 부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누구나 접근 가능하고, F값이 낮은 대체로 고가의 렌즈를 사면 어느정도 해결된다는 점에서 꽤 편리합니다. 배경을 날려버리기 떄문에 별 생각 없이 피사체만 생각하면 되거든요.

 저도 싫어하는 표현기법은 아니고 오히려 꽤 매력적인 기법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아웃포커싱이 남발될 경우 사진이 매우 그저 그렇게 보이거나, 식상해보이게 만들고, 고가의 장비에 연연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특히 모든 사진을 보는 안목(+장비를 보는 안목)이 얕은 심도에 올인하게 되는 경향도 나타나구요.

 실제로 팬포커스(전경부터 후경까지 전부 초점이 맞는, 깊은 심도의 사진)은 사진 찍기 까다롭고 신경쓸 것도 많은 것도 이처럼 아웃포커싱을 선호하는 풍조에 일조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사진이란 배경을 지우기 보다는 배경과 피사체를 어떻게 녹여내서 찍느냐 하는 작업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광학렌즈들은 조리개를 한두스탑 조여준 상태에서 최고의 화질을 보여주기도 하구요.

 아웃포커싱은 그럴듯한 사진을 만들어준다는 점 때문에 무척 매력적인 기법이긴 하지만, 여러모로 잘 생각해서 써야 하는 양날의 검이 아닌가 싶습니다. 심도를 조절해가면서 예쁜 사진들을 한번 찍어봅시다.



7
  • 사진 정보글은 추천이야!
  • 사진 글은 추천
  • 강좌는 춫천


열대어
선추천,댓글 및 스크랩 후에 정독하겠습니다ㅎㅎㅎ
감사합니다!
사슴도치
항상 별볼일 없는 글 재밌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DoubleYellowDot
뭉개자!
사슴도치
바로 이겁니다! ㅎㅎㅎ
그렇게 많이 찍어댔는데도 심도에 대한 감은 아직도 좀 부족하네요 ㅎㅎㅎ 그냥 기계적으로 외워서(?) 찍고는 있는데 가끔 아쉬울 때가 생깁니다.
사슴도치
오히려 기계적으로 외워찍는 것이 더 정확한 의도를 전달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기도 합니다 ㅎㅎ 저도 심도에 대한 감은 아직 부족해요 ㅎㅎ
조리개를 열어서 찍는 아웃포커싱하고
거리를 이용해서 찍는 아웃포커싱의 차이가 있다던데...저는 잘 모르겠어요 ㅎ.ㅎ
사슴도치
피사계심도라는 개념 자체가 혼란스러울 수 있어서 본문에는 적지 않았는데 댓글에서 언급해주셨네요 ㅎㅎ

조리개를 열어서 찍을 경우 착란원의 모양이 유지됩니다. 즉 배경에 걸리는 것들이 형태를 유지하면서 서로 착란원이 겹치는 독특한 느낌이 나죠.
렌즈의 망원 특성을 이용해서 촬영할 경우 망원 특유의 압축효과와 함께 배경이 완전히 무너집니다. 색채감 이외에는 거의 남아있는 것이 없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배경은 완전히 죽고 피사체는 확실히 살릴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결국에는 표현법의 차이인데요. 배경의 형태를 어... 더 보기
피사계심도라는 개념 자체가 혼란스러울 수 있어서 본문에는 적지 않았는데 댓글에서 언급해주셨네요 ㅎㅎ

조리개를 열어서 찍을 경우 착란원의 모양이 유지됩니다. 즉 배경에 걸리는 것들이 형태를 유지하면서 서로 착란원이 겹치는 독특한 느낌이 나죠.
렌즈의 망원 특성을 이용해서 촬영할 경우 망원 특유의 압축효과와 함께 배경이 완전히 무너집니다. 색채감 이외에는 거의 남아있는 것이 없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배경은 완전히 죽고 피사체는 확실히 살릴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결국에는 표현법의 차이인데요. 배경의 형태를 어느정도 살리고자 할 때는 조리개값이 낮은 렌즈로 배경을 유지시키면서 피사체를 부각시키는 방법으로, 배경이 너무 산만할 경우에는 망원으로 처리하는 방법으로 사용하면 좀 더 효과적인 촬영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구나...좋은 글 감사합니다.
요런게 조리개를 여는 스타일 (캐논 350d, 85mm f1.8, 제가 찍음...) 이고요

싸이에게 포커싱이 맞아서 배경이 날아가면서도 대략적인 무대나 백댄서의 형태는 알아볼만큼은 남아있죠. 무대에서의 one of them 으로서의 느낌이고요.
요게 망원을 이용한 스타일 (기기/렌즈 불명이나 최소 300mm 이상 렌즈일듯, 신문기사 사진) 입니당.

저 공간에 오직 차두리 혼자만 있는 듯한 느낌이죠. 배경은 거의 색채만 남고요.
사슴도치
좋은 예제사진 감사합니다 ㅎㅎ
별말씀을요 ㅎㅎㅎ
차이가 크네요.
사진으로 보면 확 감이 옵니당 ㅎㅎ
Beer Inside
인체도 아웃포커싱이 되는데 이걸 노안이라고 하지요.... 응?
사슴도치
그건 포커싱이 안맞는 ...ㅋㅋㅋ
난커피가더좋아
이런거 말씀하시는거죠? ㅋㅋㅋㅋ (길 가다가 '노안'이라는 콘셉으로 찍었는데 뭐 딱히 재미도 없고 매력도 없어서 지워버린 줄 알았는데 어딘가에 남아있던 사진입니다).
난커피가더좋아
아웃포커싱의 가장 큰 중요성은, 사알못들을 사진의 매력에 빠지게 하는 것이죠. 그러다가 '날리는 게 다가 아니구나'라는 걸 깨닫고 한 단계 자신의 실력을 업그레이드 하거나, 장비병이 생겨 이것저것 장비를 바꾸거나, 카메라를 장롱에 처박거나.....셋중 하나의 길로 가게 되지요 ㅋㅋㅋㅋ
쩜팔을 사서 날려봄
-> 오오 F값이 작으면 더 간지날듯
-> 삼식이를 삼
-> 겁나 쩌는데
-> 근데 망원 보케 개간지 ㅎㄷㄷ
-> 70-200 삼
-> 근데 70-200에 크롭바디 물리긴 좀 민망하니 5디 삼
-> 써보니 쩜팔이고 삼식이고 간에 풀프레임엔 쩜투지!! -> 50.2 삼
-> ㅎㄷㄷ 여친생기고 나서 85.2도 삼

보통 이렇게 되던데 ㅋㅋㅋ
난커피가더좋아
이거 너무 할부노예 테크트리 아닙니까?
카드 한도가 저만큼이라도 되면 다행 아닙니까? ㅋㅋㅋㅋ
난커피가더좋아
생각해보니 그러네요...ㅋㅋㅋㅋ
*alchemist*
인물사진 예쁘게 찍겠다고 심도 얕게 해서 시도하다가
귀에 초점 맞고 눈이랑 머리 뒤는 흐려지는 그런 시츄에이숑도 많이 일어나죠...

언젠가 제가 써보고 싶다고 생각했던 사진 강좌를 이렇게 깔끔하게 이해 쉽게 써주시니
저는 그냥 이걸 보고 사슴도치님이 다 하시라고 하고 저에게 이런 글솜씨가 없음에 좌절하렵니다 ㅋㅋㅋㅋㅋ;
사슴도치
진짜 장망원 쓸때는 저도 막 촛점 다 날리고, 눈은 맞췄는데 귀가 날라가고, 최대개방해서 색수차 폭발하고ㅠㅠㅠ. 그래서 그때 조이는 법도 배운 것 같아요.ㅎㅎ

사진에 대해서 막연하게 그렇다라기 보다는 왜 그런지 그 이유도 함께 해서 더 쉽게 쓰고 싶었는데 저도 배움이 많지가 않아 더 쉽게 잘 안써지네요. ㅎㅎ그래도 즐겁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 제가 틀린 부분이 있거나 잘못 알고 있었던 부분들이 있다면 기탄없이 지적해주시기 바랍니다 ㅎㅎ

혹시 좋은 팁 있으면 함께 나눠주세요!!
*alchemist*
저는 기술적인 부분말고 사진 찍을 때의 마인드와 사진 없이 사진 찍는(?) 법을 한 번 올린 적이 있습니다 ㅎㅎ
추게에 있으니 검색해보시면 나올거에요 ~_~;;
사슴도치
아 글을 보니 알겠네요. *alchemist*님 글이었군요! [프레임없이 연습하기]항목이 특히 인상깊어서 기억에 남아있습니다 ㅎㅎㅎ
결국엔 마인드셋이 중요한 것 같아요. ㅎㅎ
*alchemist*
저의 사진 보는 눈을 왕창 키워준 훈련 기법(?) 이지 말입니다 크크크
4번. 사상적 배경도 좀 더 하고 싶었는데 실력이 후달려서 못했네요.. 크크;
사슴도치
다음에 좀 더 써주세요! 많이 배우겠습니다 ㅎㅎ
*alchemist*
아니 사슴도치님같은 고수님이 지금 뭘 갈쳐달라고 그러시는 겁니콰.. ㅠ_ㅠ
저를 좀 갈챠주세요.. 굽신굽신
*alchemist*
http://redtea.kr/?b=12&n=114
친절한 링크서비스!! ㅋㅋ;
제친구가 삼식이로 저를 찍었는데 코에 초점이 맞고 얼굴이 다 날아가버렸던 기억이 나네요....
1일3똥
아-웃-포-커-싱
핸드폰으로 아웃포커싱을 하고 싶으시면 아이폰7+를 사세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54 꿀팁/강좌뽑기 공략 #2 2 빠른포기 17/03/21 8100 2
5177 꿀팁/강좌나무위키 올바르게 활용하기 8 이슬먹고살죠 17/03/14 6834 4
5152 꿀팁/강좌유해 조수의 포획 방법 #1 4 빠른포기 17/03/12 5680 5
5097 꿀팁/강좌여자사람에게 선물을 해 보자 58 열대어 17/03/07 17693 8
5080 꿀팁/강좌[사진]음식사진 예쁘게 찍어봅시다 7 사슴도치 17/03/05 5052 3
5074 꿀팁/강좌[사진]Nightview Challange - 야경을 찍어봅시다. 4 사슴도치 17/03/04 5039 3
5073 꿀팁/강좌종각역 젊음의 거리(피아노거리) 주차공간 8 Toby 17/03/04 10317 8
5060 꿀팁/강좌[사진]어떻게 하면 사진에 잘 나올까 - 인물사진 포즈 16 사슴도치 17/03/03 14834 3
5050 꿀팁/강좌[사진]나온지 좀 되었지만 괜찮아! - 70만원미만 컴팩트 카메라 30 사슴도치 17/03/02 6840 6
5033 꿀팁/강좌[사진]카메라를 읽어봅시다. 47 사슴도치 17/02/28 5323 8
5021 꿀팁/강좌스마트폰 사진의 GPS 정보 10 Liebe 17/02/27 5415 0
5008 꿀팁/강좌[사진]렌즈의 초점거리에 따른 원근감의 변화를 알아봅시다. - 원근 왜곡 11 사슴도치 17/02/25 14731 4
4983 꿀팁/강좌[사진]렌즈를 읽어봅시다. 33 사슴도치 17/02/24 6054 7
4975 꿀팁/강좌재미난 짤 모아봅시다 (데이터 주의) 110 Toby 17/02/23 12136 1
4973 꿀팁/강좌[사진]도전! 맑은 날 인물촬영! 15 사슴도치 17/02/23 5474 3
4970 꿀팁/강좌[사진]색채를 재현하는 요소들에 대해 알아봅시다 - 화이트밸런스, 다이나믹레인지, 계조 11 사슴도치 17/02/23 6620 4
4953 꿀팁/강좌[사진]노출(exposure)에 대해 조금 더 살펴봅시다(노출보정과 측광). 41 사슴도치 17/02/21 9278 5
4943 꿀팁/강좌[사진]아웃포커싱에 대해 알아봅시다 33 사슴도치 17/02/20 6397 7
4938 꿀팁/강좌(아이폰) 메신저 앱 리뷰 18 elanor 17/02/20 5228 0
4899 꿀팁/강좌[사진]초점거리와 화각에 대해 알아봅시다. 13 사슴도치 17/02/17 9650 5
4889 꿀팁/강좌[사진]판형에 대해 알아봅시다. 30 사슴도치 17/02/16 9612 10
4875 꿀팁/강좌[사진]노출의 3요소와 PSAM 27 사슴도치 17/02/15 8942 13
4801 꿀팁/강좌사진찍으러 갈까요? 20 사슴도치 17/02/07 6885 28
4769 꿀팁/강좌인간의 일 22 moira 17/02/04 6173 14
4758 꿀팁/강좌한국에서 건강하게 먹는 법 12 Rosinante 17/02/03 5913 6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