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2/18 13:58:19
Name   아침
Subject   어떤 학생
어제부터 한 학생에 대한 생각이 머리를 떠나지 않네요.
이 학생의 특징은 은근한 비난이나 비판이 습관이 되어 있다는 것.
저에게 친밀감의 표현으로 말을 걸 때에도
말의 내용은 태반이 은근한 비난이나 비판입니다.

상대방이 마음이 들면 갈군다 - 갈굼을 당한 대상이 여유롭게 받아준다 - 그러한 상대에 대해 친근감을 표현하며 계속 갈구며 관계의 만족감을 추구한다....
라는 것이 이 학생의 머릿속에 있는 커뮤니케이션의 기본틀인 듯 해요.

가르쳐 보면 머리는 좋은 편인데
전혀 훈련이 되어 있지 않아서 결과적으로 성적은 좋지 않고
여기에 대해서 열등감도 심합니다.
전반적으로 열등감이 너무 심합니다.
성적은 나쁘지만 머리는 좋고
배경지식은 부족하지만 꼼꼼히 일 잘하는 스타일이고
(외모에 대한 컴플렉스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살은 쪘지만 기본은 서글한 미인형이고
인간관계에 서툴지만 사람을 좋아하고 마음이 따뜻한 면이 있죠.

열등감에서 나오는 각종 행동들을 싹 제거하고 보면
자질이 좋은 아이죠.
선량하고 사고력도 있고 실행력도 갖춘 썩 괜찮은 인재라고 생각합니다.
인간적으로도 정이 갑니다.
아주 가끔 수다가 통할 때는 재미있고 마음도 맞습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상황에 들어가면
열등감에서 나오는 행동 때문에 의도만큼 잘 해주기가 어렵습니다.
좀 더 깊이 있고 친근한 대화를 하고 싶어도
학생 자신이 '비난-수용-안심'이라는 피상적인 대화틀을
벗어날 생각이 아직 없고
제가 조금이라도 덜 수용적인 태도를 보이면 거부당했다고 느끼거든요.

저도 공부방 선생으로서 여러 학생을 동시에 돌보아야 하고
진도도 빨리 나가야 하는데 과중한 부담에 시달리고 있을 때
이 학생의 태도가 방해가 된다고 느끼면 짜증이 납니다.
그래서 최대한 일대일 시간을 잡지만 수업 시작 전에 부담스럽다는
기분이 들 때도 많지요.
특히 제가 에너지가 별로 없을 때요.

동시에 죄책감도 느낍니다.
그 아이가 저에게 호감을 보여주고 있다는 걸 아는데
저는 그 아이가 바라는 만큼 이 관계가 즐겁지도 편안하지도 않으니까요.
제가 참고 배려하는 면이 있으니
저의 불편함이 죄는 아닙니다만
그래도 좋아해주고 싶은 마음도 크기 때문에
그러지 못하는 자신에 대해서 죄책감도 느끼는 것이지요.


어라. 글이 길어서 티타임으로 넘어가네요.
티타임에 넘길만한 글은 아닌데....

이 학생이 열등감에서 벗어나서 자기 가능성을 꽃 피우면서 재미나게 살았으면 좋겠어요.
가르치지 시작한 지 몇 달 안 되는데도 그 사이에 이 아이가 분노와 괴로움과 의심에 가득 차서
어쩔 줄 몰라하는 장면을 몇 번 보았거든요.
이 학생에게는 당장의 결과를 기대하지 않고 천천히 시간을 들여야할 것 같은데
제가 그런 여유를 가질 수 있을지 걱정되기도 합니다.
학생과 좋은 관계를 가지고 싶다는 기대, 학생이 학업적으로 성취를 이루었으면 좋겠다는 기대는
아주 쉽게 그 기대를 채우지 못하는 학생의 행동과 태도에 대한 비판으로 변질됩니다.
그리고 학생이 잘 되었으면 좋겠다는 기대 속에는 사실 그런 학생을 통해 제 자신이 만족을 느끼고 싶다는 소망이 포함되어 있지요.

이 관계가 선생인 나의 자기만족을 위한 관계가 아니라
본질적으로 학생을 위한 관계가 될 수 있도록 좀 더 여유를 가지고 노련해져야겠다....마 그런 생각을 하는 일요일 오후입니다.










8
  • 좋은 선생님!!
  • 글 넘 잘 쓰세요. 뿅.


二ッキョウ니쿄
이런걸 잘 표현해주시면 될거같아요. 제가 비슷한 케이스였어서.
마음은 공자맹자페스탈로치...현실은 걍 욱하는 공부방 선생이라서 조심스러워용~
무엇을 하던지 기다림이란 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
니쿄님이 말씀하셨다시피 잘표현하시면서 기다려주시면 언젠간 그 학생이 부응해주지 않을까요...
그렇지요. 저 자신 누군가의 기다림 속에서 성장했는데도 막상 제가 기다려줄 때가 되니 쉽지 않음이 새삼 느껴지네요.
제 경험을 빗대어 생각해보면, 사회에 대한 불신이나 열등감이 강렬했던 시기에는 타인의 이야기가 귀에 안들어옵니다. 내가 인지하고 있는 어두운 세상만이 내 세계의 전부예요. 시간이 쌓이며 다른 세상도 존재한다는 것을 체감하기 전에는 내가 있는 춥고 차가운 세상만이 전부인 현실에서 벗어날 수 없어요.

너무 단정적으로 이야기하는 것 같지만,과하게 밝은 어린시절을 지나 어둡다고 느끼던 사춘기시절-지나고 나서 생각해보니 객관적으로 그다지 어두운 환경은 아니었지만 스스로는 어둡다고,나보다 힘든 사람은 없다고 생각하던 시절-을 지나서 지금... 더 보기
제 경험을 빗대어 생각해보면, 사회에 대한 불신이나 열등감이 강렬했던 시기에는 타인의 이야기가 귀에 안들어옵니다. 내가 인지하고 있는 어두운 세상만이 내 세계의 전부예요. 시간이 쌓이며 다른 세상도 존재한다는 것을 체감하기 전에는 내가 있는 춥고 차가운 세상만이 전부인 현실에서 벗어날 수 없어요.

너무 단정적으로 이야기하는 것 같지만,과하게 밝은 어린시절을 지나 어둡다고 느끼던 사춘기시절-지나고 나서 생각해보니 객관적으로 그다지 어두운 환경은 아니었지만 스스로는 어둡다고,나보다 힘든 사람은 없다고 생각하던 시절-을 지나서 지금에 와서 생각해보니 선생님의 탓도 아니고 결국 자기 자신의 문제가 되더란 말입니다..

따라와주면 좋지만 따라올 의지가 없이 세상에 저주를 퍼붓고 있다면 그에 따른 반대급부는 개인이 짊어져야 할 문제이지 보조역할을 하는 사람이 책임감을 느낄 부분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더 넓은 세상이 있다는 걸 보여주는 정도면 충분, 그걸 보고 무엇을 느끼느냐는 그 학생 개인의 선택입죠.
저도 그랬지만 자기 감정에 빠져있는 시기에는 정말 남 얘기가 안 들리는 것 같아요. 그런 면에서 가장 심약하면서도 가장 견고한 시기죠. 근데 어떻게 그런 시기를 빠져나오셨는지 언제 한 번 스토리 풀어주시죠 ㅎㅎ
하하..딱히 대단한 스토리가 있는것은 아니구요.;;
현대 사회에서 비정상적이라고 느껴질 만큼 개인의 시간을 길게 가졌었어요. 생계활동도 안하고 뭔가를 배우고 있지도 않았고. 그..히키코모리라고 하던가요. 그 생활을 거의 9개월?(..) 하고 나니까 내 자신의 위치나 생각이 스스로 정리가 되서 내가 인지하지 못하는 다른 세상이 존재한다는 걸 체감하게 되었었어요. 아마 더 시간을 많이 가졌었다면 평행세계까지 생각의 넓이가 넓어졌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그 이후로 나름 자아성찰을 하면서 산다고 생각을 하는데, 제 인생의 공백기이던 이 시간이 지나고나니 저한테 큰 도움이 되었더라구요. ㅎㅎㅎ
헐. 9개월 칩거 끝에 자아성찰 얻으셨으면 비용대비 효과가 아주 좋네요. 저는 사방팔방 삽질을 했는데ㅎㅎ
자아성찰이라고 인지하게 된건 몇년 안됬어요 ㅎㅎ 이제와서 보니까 그때 그 고민과 생각들이 성찰이구나 하는 그런 딱지를 붙일만 하겠구나 싶은거지.. 역설적이게도 그 생각을 완성시킨건 신해철의 죽음이었어요. 죽음에 대해 두려워하고 고민하던 사람이 실제 죽고난 그 이후에 고스트스테이션이라던가 생전에 남긴 방송이라던가를 찾아보면서 얇게 알던 생각들이 선명하게 되었다고 할까요.

'세상은 더럽고 신뢰는 허상이다' 라는 내 자신을 스스로 가뒀던 틀을 깬지 아직 10년이 채 안된것 같은데.. 그 전과 후가 같은 사람이 맞나 싶을 정도로 많이... 더 보기
자아성찰이라고 인지하게 된건 몇년 안됬어요 ㅎㅎ 이제와서 보니까 그때 그 고민과 생각들이 성찰이구나 하는 그런 딱지를 붙일만 하겠구나 싶은거지.. 역설적이게도 그 생각을 완성시킨건 신해철의 죽음이었어요. 죽음에 대해 두려워하고 고민하던 사람이 실제 죽고난 그 이후에 고스트스테이션이라던가 생전에 남긴 방송이라던가를 찾아보면서 얇게 알던 생각들이 선명하게 되었다고 할까요.

'세상은 더럽고 신뢰는 허상이다' 라는 내 자신을 스스로 가뒀던 틀을 깬지 아직 10년이 채 안된것 같은데.. 그 전과 후가 같은 사람이 맞나 싶을 정도로 많이 바뀌었어요. 아, 생활패턴은 그다지 달라지진 않았습니다(..)
9개월동안의 칩거는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준비를 했던 시간..그러니까 9개월 이후부터 생각의 정리가 시작되었다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아요. 아직도 그 생각은 정리중입니다. 완전히 정리되는 그 끝은 평생 못볼것 같기도 하구요 ㅎㅎㅎ
기아트윈스
댓추!
어헣 감사합니다!!
베누진A
제 이야기인데요?

다른 사람에게 예의 없게 굴고, 열등감에도 가득 차 있고.. ㅠㅠ
다들 마음 한구석은 그렇죠 뭐^^
여우왕
제 이야기인데요?(2)
다들 마음 한구석은 그렇죠 뭐^^ (2)
이런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는 선생님한테 배운다면 결국엔 고쳐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글이네요.


이유가 어떻든 저렇게 굳어져 버린 성격을 바꾸는건 참 힘들죠.


이 정도까지 간 상태면 본인이 스스로 고치는건 쉽지 않고,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가며 고쳐지게 되는데 아침님이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격려해주시는 것 같아서 어쩐지 힘이 나네요. 내일 당장 그 학생과 수업이 있는데 느긋하게 아웅다웅해보죠 뭐^^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063 일상/생각카카오톡 오픈채팅 리뷰와 대화의 목적에 대한 소고 15 니누얼 17/03/03 8159 2
5062 일상/생각수박이는 요새 무엇을 어떻게 먹었나 -2 13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7/03/03 4141 6
5056 일상/생각지하철 예수쟁이(1) 6 맑은샘물 17/03/03 3644 2
5053 일상/생각내 잘못이 늘어갈수록 20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7/03/02 5615 34
5052 일상/생각정상적이지 않은데? 18 세인트 17/03/02 4815 7
5049 일상/생각영화로 본 내 어린시절의 풍경 10 리니시아 17/03/02 6573 1
5047 일상/생각급속냉동 15 elanor 17/03/02 4159 8
5045 일상/생각3.1절 기념으로 국뽕이나 한사발 마셔봅시다 18 기아트윈스 17/03/02 4413 5
5030 일상/생각너무 힘들었던 일이 끝났습니다. 17 마녀 17/02/28 4693 16
5027 일상/생각호구의 역사. 22 tannenbaum 17/02/27 5989 26
5022 일상/생각결혼이야기 3 4 기쁨평안 17/02/27 4382 5
5020 일상/생각10 26 진준 17/02/27 5915 36
5015 일상/생각여친과 헤어진 기념 산책, 서생왜성 9 파사드 17/02/27 4426 6
5000 일상/생각통증 2 이건마치 17/02/25 4761 3
4995 일상/생각꼬마마녀 도레미 7 HD Lee 17/02/24 7166 5
4993 일상/생각누구의 인생이건, 신이 머물다 간 순간이 있다. 22 SCV 17/02/24 6397 15
4990 일상/생각수돗물은 믿지만 배관은 못믿어~ 12 스타카토 17/02/24 4865 0
4987 일상/생각수박이는 요새 무엇을 어떻게 먹었나 -1 30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7/02/24 4560 11
4986 일상/생각예전에 스타 1 하던 이야기 9 기쁨평안 17/02/24 3872 0
4967 일상/생각주제 매너리즘 _ 한 대학원생의 점심식사 8 고양이카페 17/02/22 5539 7
4965 일상/생각어부인이 르사의 스마트폰을 스사 아니면 엑스사껄로 바꾼다고 합니다. 9 집에가고파요 17/02/22 3797 0
4963 일상/생각외로움의 세상에서 차 한잔 7 기쁨평안 17/02/22 4352 25
4959 일상/생각[Ben] 벤양 인터뷰 + 졸업식을 앞두고 당신을 생각하며 5 베누진A 17/02/22 5841 0
4951 일상/생각쓰레기통 만드는 남자 20 소라게 17/02/21 3825 2
4947 일상/생각상처엔 마데카솔 4 아침 17/02/21 4562 14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