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7/02/11 14:21:37 |
Name | 눈시 |
Subject |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 대한 새로운 해석 |
툰수넷, 불량만화, 프리랜서로 살아남는 법, 악플러 만화. 기억하는 분들 있으시겠죠. 30 후반까지도 결혼 못 하는 솔로부대의 대부셨건만 지금은 프리랜서도 아니고 중국인 미녀 잘 만나서 아들 키우고 있으시죠 ㅠ 문득 생각나서 찾아봤더니 블로그에서 활동하고 계셨네요. 추억에 젖어서 보다가 상당히 재미있는 시리즈를 보게 됐습니다 http://blog.naver.com/megadoll/220570737708 옮겨보자면... 엄석대 = 전두환 과거의 한병태 = 6월항쟁에 참여한 지식인들 현재의 한병태(화자) = 작가 5학년 담임선생님 = 미국(방관) 6학년 담임선생님 = 미국(적극적인 개입) 반 아이들 = 대한민국 국민들 으로, 작가가 6월 항쟁을 평가한 거라는 해석입니다. 그것도 아주 부정적인 쪽으로 말이죠. 독재를 비판한 게 아니라 오히려 독재를 옹호하는 내용이라는 거구요. 2005년판에서 작가의 말을 통해 다른 결말을 보여줬는데, 사실 그게 작가의 진엔딩이라는 겁니다. 기존의 엔딩으로 간 건 민주화가 진행되는 상황이라 책 팔아먹기 위해서 현실과 타협한 거라는 거구요. 한병태를 통해 나약한 지식인의 모습을 보여주고 아이들의 행동변화 역시 긍정적으로만 그리진 않은 거야 확실하긴 하죠. 그런데 이런 해석까지 가능하다니 재밌네요 저도 이제 막 본 참이라 어떻다 평가는 못하겠지만, 깊게 생각해 볼만한 해석인 것 같습니다. '-')/~ 추천드려요~ 지금은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에 대한 재해석을 올리고 있으시네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눈시님의 최근 게시물
|
본 내용말고 결말부는 흐릿하게만 기억하고 있었는데, 두 가지 다른 결말이 무척이나 대비되네요.
6월 항쟁과 그 과정에 대한 비판이라 읽는 것도 흥미로운 해석이라 생각해요. 권력의 민낯, 권력을 마주한 인간의 민낯에 대한 우화라는 점에서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넓겠다만, 작가가 글을 발표한 시점과 글을 읽은 사람들이 마주했던 정치적 사건을 고려하면 6월 항쟁과 연결하여 읽는 것은 타당하다 느껴요. 지금 이 시점을 살아가는 우리가 박근혜-최순실을 떠올리는 것도 마찬가지이고요. 물론 단순히 6월항쟁 비판으로만 단정짓기는 힘든 모호한... 더 보기
6월 항쟁과 그 과정에 대한 비판이라 읽는 것도 흥미로운 해석이라 생각해요. 권력의 민낯, 권력을 마주한 인간의 민낯에 대한 우화라는 점에서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넓겠다만, 작가가 글을 발표한 시점과 글을 읽은 사람들이 마주했던 정치적 사건을 고려하면 6월 항쟁과 연결하여 읽는 것은 타당하다 느껴요. 지금 이 시점을 살아가는 우리가 박근혜-최순실을 떠올리는 것도 마찬가지이고요. 물론 단순히 6월항쟁 비판으로만 단정짓기는 힘든 모호한... 더 보기
본 내용말고 결말부는 흐릿하게만 기억하고 있었는데, 두 가지 다른 결말이 무척이나 대비되네요.
6월 항쟁과 그 과정에 대한 비판이라 읽는 것도 흥미로운 해석이라 생각해요. 권력의 민낯, 권력을 마주한 인간의 민낯에 대한 우화라는 점에서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넓겠다만, 작가가 글을 발표한 시점과 글을 읽은 사람들이 마주했던 정치적 사건을 고려하면 6월 항쟁과 연결하여 읽는 것은 타당하다 느껴요. 지금 이 시점을 살아가는 우리가 박근혜-최순실을 떠올리는 것도 마찬가지이고요. 물론 단순히 6월항쟁 비판으로만 단정짓기는 힘든 모호한 지점이 있다 생각해요. 그런 모호하고 중첩된 단면들이 문학을 삶에 더 닮아있게 만드는 것이 아닐까요. 오히려 저는 블로거 분의 저 주장이 타당하냐 보다는 다른 쪽에 관심을 두었어요.
후기까지 읽어보니 블로거 분은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형식교육 내에서 문학이 한 쪽으로만 해석되는 것이 아쉽다고 느껴 이런 작업을 하셨더라고요. 종종 제기되는 문제의식이기는 한데, 직접 만화를 그려 자신의 해석을 전달했다는 점이 독특하네요. 만화는 글보다 파급력/수용성이 더 높다고 생각하는데, 본인의 경력을 넘어서 논의를 확산시키고자 하는 마음도 담겨있지 않았을까 싶네요.
6월 항쟁과 그 과정에 대한 비판이라 읽는 것도 흥미로운 해석이라 생각해요. 권력의 민낯, 권력을 마주한 인간의 민낯에 대한 우화라는 점에서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넓겠다만, 작가가 글을 발표한 시점과 글을 읽은 사람들이 마주했던 정치적 사건을 고려하면 6월 항쟁과 연결하여 읽는 것은 타당하다 느껴요. 지금 이 시점을 살아가는 우리가 박근혜-최순실을 떠올리는 것도 마찬가지이고요. 물론 단순히 6월항쟁 비판으로만 단정짓기는 힘든 모호한 지점이 있다 생각해요. 그런 모호하고 중첩된 단면들이 문학을 삶에 더 닮아있게 만드는 것이 아닐까요. 오히려 저는 블로거 분의 저 주장이 타당하냐 보다는 다른 쪽에 관심을 두었어요.
후기까지 읽어보니 블로거 분은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형식교육 내에서 문학이 한 쪽으로만 해석되는 것이 아쉽다고 느껴 이런 작업을 하셨더라고요. 종종 제기되는 문제의식이기는 한데, 직접 만화를 그려 자신의 해석을 전달했다는 점이 독특하네요. 만화는 글보다 파급력/수용성이 더 높다고 생각하는데, 본인의 경력을 넘어서 논의를 확산시키고자 하는 마음도 담겨있지 않았을까 싶네요.
한병태 정도면 나약한거 같지는 않은데.. 여러 현실적인 벽에 부딪혀 굴복하긴 했지만 일반적인 기준으로 그정도 저항 할 수 있는 사람 대한민국 국민의 몇%나 될까요..
엄석대처럼 치밀하진 않아도 초등학교 시절 어느 학급에나 반 전체 지배하는 짱먹는 아이들 있는데 걔네들한테 대항하는 애들이 몇이나 있었는지 생각하면..
소설이 독재를 정당화 했느냐 마느냐보다는 우리 현실이 어떠하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소설과 꽤 닮아있다고 봐요. 어떤 결말이 나오든간에 무서운건 거기까지 가는 과정이죠.. 결국 엄석대에게 힘을 실어준건 아이들 자신이었으니..
엄석대처럼 치밀하진 않아도 초등학교 시절 어느 학급에나 반 전체 지배하는 짱먹는 아이들 있는데 걔네들한테 대항하는 애들이 몇이나 있었는지 생각하면..
소설이 독재를 정당화 했느냐 마느냐보다는 우리 현실이 어떠하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소설과 꽤 닮아있다고 봐요. 어떤 결말이 나오든간에 무서운건 거기까지 가는 과정이죠.. 결국 엄석대에게 힘을 실어준건 아이들 자신이었으니..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