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7/02/01 19:12:05 |
Name | 기아트윈스 |
File #1 | 청어노걸대,_삼강행실도_(BL).jpg (69.3 KB), Download : 10 |
Subject | 18세기 외국어교재 - 청어노걸대(清語老乞大) |
노걸대의 老는 우리말 '선생' 정도의 의미요, 걸대는 키타이, 즉 '거란(契丹)'이에요. 거란이 세계사에 준 충격은 꽤 대단한 것이어서 나라 자체가 망한 후에도 북중국인을 가리키는 말로 널리 자리잡았대요 (참고로 항공사 케세이 퍼시픽의 Cathay도 이 '키타이'에서 온 말이에요. 케세이 퍼시픽 = 거란 태평양 항공....). 그래서 '노걸대'라는 제목은 '중국인양반 (Mr. Chinese)' 정도로 해석할 수 있어요. 이거시 무슨 책인고하면, 고려때 만들어진 중국어 교과서예요. 중국인들과 만날 일이 많은데 말은 다르니까 통역사가 필요했어요. 그런데 통역사는 보통 아쉬운 쪽에서 양성하지요. 그래서 조정에서는 양성소를 만들고 굴리는 데 투자를 꽤 해야 했고, 여기서 학생들을 가르치려고 만든 교과서가 노걸대와 박통사(朴通事: 통역사 박씨)예요. 노걸대 첫 부분을 한 번 시험삼아 보자면, 大哥, 你從那裏來: 형씨는 어디서 오셨소? 我從高麗王京來: 나는 고려 왕경에서 왔소. 如今那裏去: 이제 어디로 가시려고 하오? 我往北京去: 난 북경으로 갈 거요. 你幾時離了王京: 당신은 언제쯤 왕경을 떠나오셨소? 我這月初日離了王京: 나는 지난 달 초에 왕경을 떠나왔소. 재밌쥬? 외국어 교재 내용이랄께 뭐 특별한 게 있겠어요. 결국 잡담인데, 천년이 지나도 잡담 내용은 그게 그거지요 ... 'ㅅ' 이 책들은 고려시대를 넘어 조선시대에 들어서서도 계속해서 업데이트됐어요. 중국어도 한국어도 계속 바뀌니까요. 그러다가 한 번 크게 갱신된 게 영조 즈음이었어요. 국제 정세의 변화로인해 이 때 몽골어와 만주어 버젼 노걸대를 편찬했거든요. 이 두 버젼의 노걸대를 각각 몽어노걸대(蒙語老乞大), 청어노걸대(淸語老乞大)라고 하고 구버젼의 노걸대를 한어노걸대(漢語老乞大)라고 불러요. 이 친구들은 수요가 제법 있던 텍스트여서 그런지 이런저런 판본이 꽤 많이 보존되어있어요. 중세 한국어, 몽골어, 만주어, 중국어 음운 연구에 있어 매우매우매우 중요한 자료들인데 참 다행한 일이지요. 그 중 청어노걸대는 이 세상에 딱 세 질이 존재하는데 하나는 일본에, 하나는 프랑스에, 그리고 마지막 하나가 런던의 대영도서관 (BL) 에 보관되어 있어요. 얼마 전에 일이 있어 비엘에 다녀왔는데 저걸 보여주더라구요. 한 편으론 직접 보게 되어 반가우면서도 다른 한 편으론 조선놈이 흘러흘러 이역만리에 와있는 모습이 꼭 저를 닮았다는 생각이 들어서 기분이 개진개진했어요. 사진해설: 좌측이 청어노걸대, 우측이 17세기판 삼강행실도예요. 좌측 놈은 특이하게도 좌에서 우로 읽는데 그 내용이.. "이것흔 흙구들에 엇지하여 자리오? 만일 집자리 잇거든 여러닙 가져오라. 내집의 삿자리 업슴애 이세 낫집자리를 보내니 너희 하룻밤 의지하여 살라. 주인아 네블므드라. 내일 오경시에 일가리라. 오냐 그리하쟈. 나그네를 쉬라 내 문을 보삺히고 자리라. 오라 아직 가지 말라." 대충대충 이해가 되네요. 이제 적당히 말이 통한다는 걸 알았으니 타임슬립해도 안심. 6
이 게시판에 등록된 기아트윈스님의 최근 게시물
|
음란마귀야 물럿..흠흠..
이미 2200년 전에 작성된 맹자에 요런 이야가 나와요. 대충 요약하자면 "초나라 귀족이 자제에게 제나라 말을 가르치려고 초나라 사람 하나를 가정교사로 고용했다. 하지만 아무리 해도 애가 제대로 말을 못배웠다. 이유가 뭐겠느냐. 선생이랑 제나라 말을 한 번 할 때 다른 모든 이들과 초나라 말을 아홉 번 하는데 그게 될 리가 있나. 제나라 말을 가르치려거든 임치(제나라 서울)에 가져다 던져버리는 게 낫다."
후에 제정시대 (진한 이후)에 접어들면 대강 관화官話 라고 해서 조정에서 쓰는 표준어 같은... 더 보기
이미 2200년 전에 작성된 맹자에 요런 이야가 나와요. 대충 요약하자면 "초나라 귀족이 자제에게 제나라 말을 가르치려고 초나라 사람 하나를 가정교사로 고용했다. 하지만 아무리 해도 애가 제대로 말을 못배웠다. 이유가 뭐겠느냐. 선생이랑 제나라 말을 한 번 할 때 다른 모든 이들과 초나라 말을 아홉 번 하는데 그게 될 리가 있나. 제나라 말을 가르치려거든 임치(제나라 서울)에 가져다 던져버리는 게 낫다."
후에 제정시대 (진한 이후)에 접어들면 대강 관화官話 라고 해서 조정에서 쓰는 표준어 같은... 더 보기
음란마귀야 물럿..흠흠..
이미 2200년 전에 작성된 맹자에 요런 이야가 나와요. 대충 요약하자면 "초나라 귀족이 자제에게 제나라 말을 가르치려고 초나라 사람 하나를 가정교사로 고용했다. 하지만 아무리 해도 애가 제대로 말을 못배웠다. 이유가 뭐겠느냐. 선생이랑 제나라 말을 한 번 할 때 다른 모든 이들과 초나라 말을 아홉 번 하는데 그게 될 리가 있나. 제나라 말을 가르치려거든 임치(제나라 서울)에 가져다 던져버리는 게 낫다."
후에 제정시대 (진한 이후)에 접어들면 대강 관화官話 라고 해서 조정에서 쓰는 표준어 같은 게 정립이 되지만 지방에선 여전히 각자 지방말을 썼지요. 그래서 파견된 관료들은 통역이 없으면 실무를 보지 못할 정도였어요. 범중국어 사용권에서 만다린 (현대중국표준어)을 오늘날 만큼 많이 쓴 일이 중국 역사상 단 한 번도 없었다능 ㄷㄷ
이미 2200년 전에 작성된 맹자에 요런 이야가 나와요. 대충 요약하자면 "초나라 귀족이 자제에게 제나라 말을 가르치려고 초나라 사람 하나를 가정교사로 고용했다. 하지만 아무리 해도 애가 제대로 말을 못배웠다. 이유가 뭐겠느냐. 선생이랑 제나라 말을 한 번 할 때 다른 모든 이들과 초나라 말을 아홉 번 하는데 그게 될 리가 있나. 제나라 말을 가르치려거든 임치(제나라 서울)에 가져다 던져버리는 게 낫다."
후에 제정시대 (진한 이후)에 접어들면 대강 관화官話 라고 해서 조정에서 쓰는 표준어 같은 게 정립이 되지만 지방에선 여전히 각자 지방말을 썼지요. 그래서 파견된 관료들은 통역이 없으면 실무를 보지 못할 정도였어요. 범중국어 사용권에서 만다린 (현대중국표준어)을 오늘날 만큼 많이 쓴 일이 중국 역사상 단 한 번도 없었다능 ㄷㄷ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