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2/01 19:12:05
Name   기아트윈스
File #1   청어노걸대,_삼강행실도_(BL).jpg (69.3 KB), Download : 10
Subject   18세기 외국어교재 - 청어노걸대(清語老乞大)


노걸대의 老는 우리말 '선생' 정도의 의미요, 걸대는 키타이, 즉 '거란(契丹)'이에요. 거란이 세계사에 준 충격은 꽤 대단한 것이어서 나라 자체가 망한 후에도 북중국인을 가리키는 말로 널리 자리잡았대요 (참고로 항공사 케세이 퍼시픽의 Cathay도 이 '키타이'에서 온 말이에요. 케세이 퍼시픽 = 거란 태평양 항공....). 그래서 '노걸대'라는 제목은 '중국인양반 (Mr. Chinese)' 정도로 해석할 수 있어요.

이거시 무슨 책인고하면, 고려때 만들어진 중국어 교과서예요. 중국인들과 만날 일이 많은데 말은 다르니까 통역사가 필요했어요. 그런데 통역사는 보통 아쉬운 쪽에서 양성하지요. 그래서 조정에서는 양성소를 만들고 굴리는 데 투자를 꽤 해야 했고, 여기서 학생들을 가르치려고 만든 교과서가 노걸대와 박통사(朴通事: 통역사 박씨)예요. 노걸대 첫 부분을 한 번 시험삼아 보자면,


大哥, 你從那裏來: 형씨는 어디서 오셨소?
我從高麗王京來: 나는 고려 왕경에서 왔소.
如今那裏去: 이제 어디로 가시려고 하오?
我往北京去: 난 북경으로 갈 거요.
你幾時離了王京: 당신은 언제쯤 왕경을 떠나오셨소?
我這月初日離了王京: 나는 지난 달 초에 왕경을 떠나왔소.


재밌쥬? 외국어 교재 내용이랄께 뭐 특별한 게 있겠어요. 결국 잡담인데, 천년이 지나도 잡담 내용은 그게 그거지요 ... 'ㅅ'
이 책들은 고려시대를 넘어 조선시대에 들어서서도 계속해서 업데이트됐어요. 중국어도 한국어도 계속 바뀌니까요. 그러다가 한 번 크게 갱신된 게 영조 즈음이었어요. 국제 정세의 변화로인해 이 때 몽골어와 만주어 버젼 노걸대를 편찬했거든요. 이 두 버젼의 노걸대를 각각 몽어노걸대(蒙語老乞大), 청어노걸대(淸語老乞大)라고 하고 구버젼의 노걸대를 한어노걸대(漢語老乞大)라고 불러요.

이 친구들은 수요가 제법 있던 텍스트여서 그런지 이런저런 판본이 꽤 많이 보존되어있어요. 중세 한국어, 몽골어, 만주어, 중국어 음운 연구에 있어 매우매우매우 중요한 자료들인데 참 다행한 일이지요.

그 중 청어노걸대는 이 세상에 딱 세 질이 존재하는데 하나는 일본에, 하나는 프랑스에, 그리고 마지막 하나가 런던의 대영도서관 (BL) 에 보관되어 있어요.

얼마 전에 일이 있어 비엘에 다녀왔는데 저걸 보여주더라구요. 한 편으론 직접 보게 되어 반가우면서도 다른 한 편으론 조선놈이 흘러흘러 이역만리에 와있는 모습이 꼭 저를 닮았다는 생각이 들어서 기분이 개진개진했어요.



사진해설: 좌측이 청어노걸대, 우측이 17세기판 삼강행실도예요. 좌측 놈은 특이하게도 좌에서 우로 읽는데 그 내용이..

"이것흔 흙구들에 엇지하여 자리오? 만일 집자리 잇거든 여러닙 가져오라. 내집의 삿자리 업슴애 이세 낫집자리를 보내니 너희 하룻밤 의지하여 살라. 주인아 네블므드라. 내일 오경시에 일가리라. 오냐 그리하쟈. 나그네를 쉬라 내 문을 보삺히고 자리라. 오라 아직 가지 말라."

대충대충 이해가 되네요. 이제 적당히 말이 통한다는 걸 알았으니 타임슬립해도 안심.




6


    Beer Inside
    걸대가 키타이군요.....

    키타이족하니 스키타이족도 생각이 나고.....

    어릴 때 어디서 본것 같은데.......
    기아트윈스
    스키타이는 아마 중동쪽 사람들일 거래요. 자세한 건 제 전공이 아니라 잘..
    Beer Inside
    그렇겠죠...

    그냥 말이 비슷해서.....
    줄리엣
    만주어 교재를 샀는데 아직 다이칭 구룬 밖에 못봤네요. 크
    기아트윈스
    어서 마스터하셔서 저 사진에 나온 것좀 해석을...굽신
    러시아말로 키타이가 중국인데 그게 거란을 가리키는 말이군요. China는 진나라에서 온 거 맞죠?
    책 사진 잘 찍으셨네요. 이역만리에서 동포를 만난 그 기분 알 거 같아요.
    기아트윈스
    마르코폴로도 자기 여행기에서 중국인을 키타이라고 불렀어요. 중국은 북중국과 남중국이 유럽쪽에 다른 방향으로 알려졌는데, 위쪽은 주로 유목민의 형태로, 아래쪽은 주로 남중국 무역항에서의 상업활동의 형태로 알려졌지요. 그래서 무역하러 중국갔다온 사람들은 주로 '칸톤 (광동)' 다녀왔다는 말을 한 반면 북경 등등 북중국까지 다녀온 사람들은 키타이(거란) 다녀왔다고 말했다고 해요.

    차이나는 진나라가 맞을 거예요.
    아 그렇다 마르코폴로도 키타이라고 불렀군요. 나무위키 보니까 폴로는 원나라가 다이렉트로 통치하지 않는 남쪽 지역은 싸잡아 남만이라고 불렀다는데 광동 사람들이 알았으면 화냈겠어요.
    April_fool
    흔한(?) 노걸대언해 이야기인 줄…

    딴 이야기인데, 저녁에 밥 먹으러 내려가니까 식당 아줌마가 중국어로 막 잡담하고 있더라고요. 아마도 조선족이었나봐요. 평소에 워낙 한국어를 잘해서 눈치를 못 채었는데 말이죠. 그러고 보면 옛날에는 Bilingual이 참 희귀한 존재가 아니었을까 싶네요. 참고로 오늘 저녁은 짜장면이었습니다. 이상 잡담 끝.
    기아트윈스
    전 오늘 아침에 시간이 비어서 와이프랑 카푸치노를 한 잔씩 마셨고, 오후에 한국에서 손님이 와서 접대하면서 아메리카노를 한 잔씩 마셨고, 그 후에 영키랑 약속이 있어서 차를 한 잔 마셨습니다. 카페인에 취해서 정신이 오락가락하네요. 날씨는 오랜만에 좋았구요. 이상 잡담 끝 헤헤.
    전기장판
    옛날의 외국어 교재도 요즘의 '쉽게 배우는 중국어'와 별로 구성 면에서 달라지지 않은 거 같군요(...) 고등학생 때 배운 야매 중국어와 저 한자가 별 차이가 없는 걸 보니 신기합니다. 흫흫 생각해 보면 예전 한반도의 외교관들은 참 힘들었겠어요. 별 이민족이 다 있으니까 알아야 할 언어도 한두개가 아니었을 거 같네요. 외교관 극한직업설
    기아트윈스
    그렇쥬. 듣기로는 왜어노걸대도 있었다고 하는데 (미스터 챠이니즈 재패니즈!?) 지금은 남아있지 않다고 해요. 언어 넘나 어려운 것.
    삼공파일
    대영 박물관에 있으면 언제 털어간 걸까요? 프랑스에서 건너온 걸까요? 영국놈들 어지간히 털어갔군요. 왠지 저도 찝찝...ㅠㅠ
    기아트윈스
    ㅠㅠ
    사실 노걸대가 저기 남아있는 건 그래도 이해가 가요. 저건 조선에선 그리 귀하게 친 책이 아니기 때문에 아마 한 질 구하기도 쉬웠을 거예요. 또, 해외에 반출되지 않았더라면 아예 다 사라졌을 가능성도 높구요. 다 떼서 벽에 바른다거나.... 불쏘시개로 쓴다든가...

    사실 진짜 속쓰린 건 순조가 혜경궁 홍씨에게 바치는 진찬의궤 (1809년)라든가, 대동여지도라든가 하는 걸 이놈들이 소장하고 있다는 거예요. 이건 조선 당시에도 민간에 돌아다닐 수 없는 물건들인데 대체 어떻게 구해서 가지고 있는지 이해가 안감.
    삼공파일
    학교 다닐 때 병인양요는 프랑스, 신미양요는 미국으로 외웠던 기억이 나고 이 때 문화재를 엄청 털어갔다더라 했던 기억도 나요. 영국놈들 이집트만 털어간 줄 알았더니 조선은 언제...
    기아트윈스
    거문도 불법 점거 사건이 있지요. 그런데 거문도에 의궤가 있었을 리는 없고, 아마 밀수꾼에게 샀거나 아니면 수집가에게 기부를 받았거나 했을 가능성이 높아요. 아니면 프랑스에가서 가져왔거나 (...) 등등.
    삼공파일
    벽에 바른다거나 불쏘시개로 쓴다든가 하는 말을 곱씹다가 생각난 건데... 해커스 토익이 200년 뒤에 비슷한 취급을 받겠네요ㅋㅋ (썰렁)
    기아트윈스
    사실 바로 딱 아주 정확하게 저도 해커스 토익 생각을 했어요. 우리 입장에선 그냥 처치곤란 재활용품 취급이지만 우리나라에 놀러온 일본인이 보기에는 귀중한 기념품이 될 수 있지요.
    해외 박물관에 있는 우리 걸 보셨다니 =ㅅ=a 그러셨겠네요
    노걸대 박통사 이름만 들어봤는데요 '-'a
    기아트윈스
    저도 사실 안지 얼마 안 됐...'ㅅ';
    나방맨
    노걸대언해, 번역박통사 같은 것들은 국어과 중등교원임용시험에도 종종 나오지요.
    기아트윈스
    오옷. 몰랐슴미다.
    BL하니 왜 이상한 생각부터...흠흠
    그런데 옛날중국에선 먼 지방 사람들끼리 말이 얼마나 통했을까요? 글자로야 다 통했겠지만 말은 지금도 차이가 나니까 엄청 차이났을텐데 그런 애로에서 오는 ep같은게 뭐 있나요/? 지배층들은 다 별 상관없이 대화할 정도였을까요
    기아트윈스
    음란마귀야 물럿..흠흠..

    이미 2200년 전에 작성된 맹자에 요런 이야가 나와요. 대충 요약하자면 "초나라 귀족이 자제에게 제나라 말을 가르치려고 초나라 사람 하나를 가정교사로 고용했다. 하지만 아무리 해도 애가 제대로 말을 못배웠다. 이유가 뭐겠느냐. 선생이랑 제나라 말을 한 번 할 때 다른 모든 이들과 초나라 말을 아홉 번 하는데 그게 될 리가 있나. 제나라 말을 가르치려거든 임치(제나라 서울)에 가져다 던져버리는 게 낫다."

    후에 제정시대 (진한 이후)에 접어들면 대강 관화官話 라고 해서 조정에서 쓰는 표준어 같은... 더 보기
    음란마귀야 물럿..흠흠..

    이미 2200년 전에 작성된 맹자에 요런 이야가 나와요. 대충 요약하자면 "초나라 귀족이 자제에게 제나라 말을 가르치려고 초나라 사람 하나를 가정교사로 고용했다. 하지만 아무리 해도 애가 제대로 말을 못배웠다. 이유가 뭐겠느냐. 선생이랑 제나라 말을 한 번 할 때 다른 모든 이들과 초나라 말을 아홉 번 하는데 그게 될 리가 있나. 제나라 말을 가르치려거든 임치(제나라 서울)에 가져다 던져버리는 게 낫다."

    후에 제정시대 (진한 이후)에 접어들면 대강 관화官話 라고 해서 조정에서 쓰는 표준어 같은 게 정립이 되지만 지방에선 여전히 각자 지방말을 썼지요. 그래서 파견된 관료들은 통역이 없으면 실무를 보지 못할 정도였어요. 범중국어 사용권에서 만다린 (현대중국표준어)을 오늘날 만큼 많이 쓴 일이 중국 역사상 단 한 번도 없었다능 ㄷㄷ
    흐흐 가정교사까지 고용해서 가르치려할 정도였군요 ..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004 역사일본의 다도(茶道)가 재미있는 점 5 눈시 17/02/25 6373 4
    4958 역사붉은 건 [ ]다 12 눈시 17/02/22 5523 11
    4934 역사전국시대 세 자매 이야기 (2) 8 눈시 17/02/19 6492 5
    4921 역사솔까 절세미남 자랑 좀 하겠습니다 19 파란아게하 17/02/18 7591 56
    4868 역사전국시대 세 자매 이야기 (1) 6 눈시 17/02/14 5686 9
    4741 역사18세기 외국어교재 - 청어노걸대(清語老乞大) 25 기아트윈스 17/02/01 6358 6
    4713 역사월남 전때 한국군의 의해서 베트남 민간인 거의 1만명 학살됬다고 합니다. 4 mathematicgirl 17/01/28 5111 5
    4661 역사여요전쟁 - 완. 귀주대첩 7 눈시 17/01/20 5488 6
    4638 역사여요전쟁 - 6. 싸우기 전에 이긴다 8 눈시 17/01/16 4661 9
    4610 역사여요전쟁 - 5. 이걸로 끝이 아니다 6 눈시 17/01/12 4818 14
    4606 역사컬트. 짐 존즈. 2 은머리 17/01/12 4731 2
    4575 역사여요전쟁 - 4. 개경 함락 7 눈시 17/01/08 4581 4
    4574 역사여요전쟁 - 3. 의군천병 2 눈시 17/01/08 4990 3
    4520 역사여요전쟁 - 2. 강조의 정변 8 눈시 17/01/03 4973 5
    4512 역사스트렐카와 벨카 12 은머리 17/01/02 8919 5
    4505 역사늦깎이 사이버대학생의 마지막 시험. 그리고 1년 후. 6 Credit 17/01/01 5290 1
    4491 역사여요전쟁 - 1. 썩지 않은 세 치 혀 17 눈시 16/12/31 5140 6
    4488 역사여요전쟁 - 0. 피할 수 없는 한 판 8 눈시 16/12/31 4596 2
    4447 역사러일전쟁 - 완. 포츠머스 조약 4 눈시 16/12/26 5222 7
    4435 역사러일전쟁 - 쓰시마 해전 6 눈시 16/12/23 5572 8
    4418 역사러일전쟁 - 제독의 결단 6 눈시 16/12/21 5846 5
    4399 역사러일전쟁 - 펑톈 전투 4 눈시 16/12/16 4961 5
    4377 역사러일전쟁 - 203고지, 점령 11 눈시 16/12/14 8543 3
    4322 역사IF 놀이 - 만약 그 때 맥아더가 14 눈시 16/12/07 5696 2
    4317 역사IF 놀이 - 만약 그 때 이순신이 13 눈시 16/12/07 3796 3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