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1/23 22:37:38
Name   레이드
Subject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시 알아두면 좋을 팁.
안녕하세요.  티타임을 살펴보다 문득, 사슴도치님의 고소하면 제가 돈을 받을 수 있나요?라는 글을 보고, 동 주민센터 (혹은 각 면사무소) 방문시 알아두면 좋을 팁을 작성해보면 좋겠다 싶어 이 글을 써봅니다.

1. 등,초본이란? 그리고 발급시 필요한 준비물은?

가장 많은 분들이 주민센터를 방문하시게 되는 이유이자, 가장 많이 떼는 서류중에 하나 입니다. 등본은 현재 세대를 이루고 있는 세대원들의 정보가 나오게 되며 (이름, 주민번호 세대주등등) 초본의 경우 그 세대를 이루고 있는 각 세대원 중 한 명에 대한 전출입 정보가 나오는 서류입니다. 등,초본의 경우 광범위하게 쓰이며 특히 아파트 청약(무주택자 확인 등)의 필수 서류입니다.  
필요한 준비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본인의 등초본을 발급하는 경우

- 신분증만 지참 하시면 됩니다.

②그 이외의 경우

- 본인의 신분증, 대상자의 신분증과 도장이 있으면 됩니다.


사실 초본의 경우 세대원일 경우나 가족관계가 확인될경우에는 본인 신분증으로 확인하여 발급해드릴 수 있으나 제 3자의 신청이나 이해관계인상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프리패스의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수수료는 각 1통당 400원입니다. 


2. 인감이란? 인감증명서 발급시 필요한 준비물은?


인감 : 대조하여 당사자의 동일성이나 진부(眞否)를 확인하기 위하여 미리 관공서 또는 거래처 등에 제출해 두는 특정한 인영 (출처 네이버 사전)


그리고, 이러한 인영을 증명하는 서류가 인감증명서입니다. 대부분의 거래, 중요한 서류 제출시 반드시 필요한 서류입니다. 인감증명서를 발급하시기 위해서는 우선 인감을 등록해두셔야 하는데 이 인감을 등록 및 변경 하는 곳 거주지 주민센터 (등본상 주소지)가 유일합니다. 다른 곳은 안됩니다. 구청도 안되고 시청도 안되고 다른 읍면동 주민센터도 안됩니다. 반드시 기억해주세요. 등본상 읍면동 주민센터입니다. 하지만 인감을 등록하거나 변경하는 것과는 달리 인감증명서를 발급하는 것은 전국 어느 주민센터를 방문하셔도 가능합니다. 

발급에 필요한 준비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본인의 인감증명서를 발급하시는 경우

신분증만 지참 하시면 됩니다.

② 타인의 인감증명서를 발급하시는 경우

본인의 신분증, 대상자의 신분증과 도장이 있으면 됩니다. *단 본인서명사실확인의 경우 대리 발급이 불가능합니다.


인감의 경우 용도에 따라서 일반용 매도용으로 나뉘게 되는데요. 일반용의 경우 매수자의 인적사항이 필요치 않으나, 매도용(주택 혹은 자동차)의 경우 매수자의 인적사항 (이름, 주민번호, 주소)를 알아오셔야 발급이 가능합니다. 부동산이나 자동차를 파시는데 사용하지 않으실 경우는 모두 일반용입니다. 인감의 유효기간은 따로 정해진 것은 없으나 너무 시일이 오래되셨으면 재발급 받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수수료는 각 1통당 600원입니다.


3. 확정일자 


간단하게 표현해서 임차인이 은행이나 혹은 다른 제3자보다 먼저 보증금을 변제받을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직인입니다. 

임대차 보호법에 따라서 운영되는 제도이며 주민센터외에도 등기소에서도 업무를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보통 전입신고 후 바로 진행하시는 경우가 많으며 전입신고, 확정일자, 중도금지급이 완료되면 임대차 보호법의 보호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확정일자에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오시는 분 신분증, 계약서 원본


확정일자의 경우, 반드시 임차인이 오지 않아도 진행가능하며 임차인의 배우자나 대리인 (보통 공인중개사)이 오셔도 진행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확정일자의 경우 계약서상의 자료를 정확히 입력해드려야 하므로, 계약서를 꼼꼼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계약일자 계약일 임차인 임대인 주소 

확정일자는 계약서 원본상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가능합니다 (수정하였습니다). 잊지마세요. 타 시군구 읍면동에 가셔도 확정일자 받지 못합니다. 

수수료는 한 건당 600원입니다.


4. 전입신고 


전입신고는 거주지를 옮겨 내가 이곳에 살겠다는 걸 밝히는 걸 말합니다. 원칙적으로 이사온 후 14일 이내에 해야 하는 작업입니다. 전입신고 후에는 관할 주민센터가 바뀌게 되므로, 이전 주소지 주민센터에서 인감대장 및 본인에 관한 비밀 서류가 넘어오게 됩니다

전입신고에 필요한 준비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본인이 세대주인 경우 혹은 따로 나와 세대주가 되는 경우

신분증만 지참 하시면 됩니다.

②그 이외의 경우 (세대 편입, 혹은 세대주이외의 분이 신고하시는 경우)

-  본인의 신분증, 대상자의 신분증과 도장이 있으면 됩니다.


전입신고의 경우 신고가 가능한 사람이 따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그 케이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세대주의 위임을 받은 세대주의 배우자 

세대주의 위임을 받은 세대주의 직계혈족(ex 세대주의 성년 자녀)

세대주의 위임을 받은 세대주의 배우자의 직계혈족 (형제자매x)

세대주의 위임을 받은 세대주의 직계혈족의 배우자

기숙사나 여러 사람이 동거하는 숙소의 관리자

기숙사나 여러 사람이 동거하는 숙소의 거주민


 위의 경우에 들어가야만 전입신고가 가능합니다. 잘 알아보시고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전입신고 수수료는 없습니다.


처음엔 가볍게 팁정도로 쓰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길어졌네요. 아직 쓸 내용이 좀 더 있는데, 너무 길어지면 안될 거 같아서 이만 쓸까합니다. 어깨도 아프구요 ㅎㅎ.. 대체적으로 모든 서류는 본인 신분증과 필요하신 분 신분증 및 도장이 있으면 프리패스로 발급이 가능하다는 점, 그리고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만 가능한 업무가 있다는 점을 알아주셨으면 해요 ㅎㅎ


이외에도 궁금하신 게 있다면 덧글 혹은 쪽지로 남겨주시면, 아는대로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11
  • 주민센터는 춫천
  • 이런게 꿀팁아니겠습니까 흐흐
  • 꿀팁은 추천! 스크랩해놔야겠네요!
  • 여러분! 공무원을 소중하게 다뤄주세요!


춫천춫천... 제가 이삼년 전에 주민증을 잃어버려서 새로 만들었는데요, 요즘은 지문을 기계에도 인식시켜 전산 등록하더라고요. 근데 제 손가락이 미쳤는지 아무리 해도 인식이 안 됐어요. 난투 끝에 포기하고 주민센터 담당자분이 본인 지문을 찍어서 절차를 끝내 주셨는데 혹시 그것 때문에 문제되는 일이 있을까요..?
레이드
지문관련해서 문제 생기는 경우는 실상 거의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문제라면 무인발급기를 통해서 서류를 떼실 때 지문이 안나오면 발급받기 어렵다 정도에요. 그 외엔 큰 쓰임이 없으니 걱정하지않으셔도 됩니다^^
아 고마워요! :D 주민센터의 그분에게 민폐 안 끼치게 강력범죄만 안 저지르도록 조심하면 될라나요.;;
Dr.Pepper
빠진 내용 살짝 첨부합니다.
저도 자동발급기에 지문이 거의 읽히지 않아서 주민센터를 꽤 방문하게 되어 알게된 내용입니다.
가족관계 증명서는 본인 기준으로 받게되면 자기 직계 부모 및 자신의 부양가족만 나옵니다.
따라서 형제/자매에 대한 내용을 뽑고 싶으면 본인의 부모님 기준으로 뽑아야 나오게 되겠죠.

간혹 헷갈리시는 분들이 계서서 써봤습니다.
요즘 주민센터도 참 좋아져서 어지간한건 본인 신분증 한 장만 있으면 거의 처리되더라구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979 의료/건강의사는 어떻게 사고하는가 - 3. 치료 13 세란마구리 19/11/12 6452 17
9028 의료/건강의사는 어떻게 사고하는가 - 2. 진단=사후확률Up & 진단의 두 축 6 세란마구리 19/04/03 4978 10
8983 의료/건강의사는 어떻게 사고하는가 - 1. 단어 정의 19 세란마구리 19/03/21 6070 14
10814 의료/건강의사 만나서 상담하고 왔습니다. 13 덕후나이트 20/07/25 6556 10
3094 일상/생각의사 '선생님' 이란 용어는 적절한가? 69 Zel 16/06/22 8266 0
13650 사회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권리도 없는 걸까요? 23 강세린 23/03/20 3767 0
11255 사회의류수거함 입을 수 있는 옷으로 넣어줍시다 10 과객A 20/12/21 4037 3
6187 정치의료정책에 대한 무지렁이 회원의 생각... 53 tannenbaum 17/08/28 4551 3
14757 경제의료의 이슈에 대한 경제 관점(?)의 잡썰 22 Leeka 24/06/20 2646 0
14222 일상/생각의료와 관련된 행위는 항상 의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합니다. 10 큐리스 23/10/25 2635 1
6324 의료/건강의료기관 잠복결핵에 대한 추가 기사 30 Zel 17/09/23 5530 2
11994 의료/건강의료기관 방문시 신분증명의 필요성 및 중요성 19 떡라면 21/08/19 5107 6
1760 의료/건강의료건강 관련 팟캐스트 2회까지 진행해본 소감; 27 damianhwang 15/12/13 8880 1
13947 댓글잠금 사회의료/의사/의과대학에 관한 생각들 38 Profit 23/06/04 4831 11
1725 의료/건강의료, 건강 및 의약품 관련 팟캐스트를 하나 새로 시작했습니다. 56 damianhwang 15/12/07 7586 6
2401 의료/건강의료 이용자가 궁금해 하는 의료 정보?? 58 동네의사 16/03/14 5452 0
6315 의료/건강의료 소모품 수액줄에 벌레가 발견된 것에 즈음하여 3 Beer Inside 17/09/21 4613 9
3496 꿀팁/강좌의료 및 의학 관련 질문을 올릴 때 24 리틀미 16/08/11 6195 4
14906 정치의료 대란 - 출구전략은 없다. 43 JJA 24/09/08 2496 0
11734 사회의도하지 않은 결과 21 mchvp 21/05/30 5911 19
10809 일상/생각의도치 않게 입은 혜택에 대해서도 갚아야할 도덕적 의무가 존재할까? 21 ar15Lover 20/07/23 5655 4
14580 사회의대 증원과 사회보험, 지대에 대하여...(펌) 42 cummings 24/04/04 6747 37
14204 의료/건강의대 증원 논쟁에 대한 잡상 42 meson 23/10/16 3793 1
8130 의료/건강의느님 홍차클러님들을 위한 TMI글 - 아나필락시스 사망사건과 민사소송 21 烏鳳 18/08/28 7325 10
2210 방송/연예응팔 블루레이를 결국 질렀습니다.. 4 Leeka 16/02/12 6597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