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12/31 01:23:15 |
Name | Leeka |
Subject | 계란값. 중간상인들은 정말 폭리를 취하는 걸까? |
정부에서 본인들이 대응을 제대로 실패해서 몇천만마리의 닭이 생죽음을 당했다는걸 뒤집어 씌우려고 하는지 중간상인들의 폭리.. 라는 이야기가 최근 많이 나오는데요. 과연 그런것인지.. 아래 예시로 한번 생각해 봅시다. - 계란을 유통하는 돈은 한달에 10만원이 고정비로 나간다고 칩시다. 기존 : 계란을 개당 100원에 사와서 200원에 팔고 있었습니다. 10000개를 팔면.. 100만원을 벌고.. 거기서 10만원 고정비를 빼면 90만원이 남습니다. 현재 : 계란을 개당 100원에 사와서 200원에 팔고 있습니다. 1000개를 팔면 10만원을 벌고.. 거기서 10만원 고정비를 빼면 0원이 남습니다. 그럼 이 상인은 계란을 이제 개당 얼마에 팔아야 될까요? 위 케이스에서 적정 계란값을 생각해보신다면 가격이 왜 확확 오르는지는 이해가 가실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유통 고정비 같은건 수량이 1/10으로 준다고 해서 고정비가 그렇게 변하는 업종이 아니기 때문에 수량이 줄면 가격이 생각외로 많이 뜁니다. (차에 계란 1000개 넣어서 가나.. 2000개 넣어서 가나.. 한번에 옮길수 있는 양이라면 유통비 변화는 거의 없습니다..) 문제는 우리나라의 유통업이 1단계면 좋겠지만.. '농장부터 시작해서 중간 유통부터 최종유통까지.. 그 모든 단계에서 저 공식이 적용되는지라...' (동네 과일가게만 생각해봐도.. 고정비는 늘 똑같은데 물건이 1/10만 들어오면 마진을 더 남겨야 수지타산이 맞겠죠..) 그 단계마다 저 공식을 대입해보시면 엄청난 속도로 가격이 뛰는이유는 쉽게 알 수 있.. 습니다. 심지어 계란은 준 필수품.. 으로 사는곳이 많다는 점 (빵집이 대표적이죠) + 오래 보관이 안된다는 점 이 겹쳐져서 오르는 속도가 가속화 되긴 했습니다만.. 문득 이런저런 커뮤니티들에서 이야기가 나오길래 짧게 총총.. p.s 사실 한국에서 이게 폭리로 변하는건... '나중에 정상화 되었는데도 가격이 예전으로 안돌아가는' 게 폭리긴 합니다. -.-;; 뭐 그래도 계란에 있어선 안정화 되려면 최소 1년은 잡아야 된다고 하니까....... 2
이 게시판에 등록된 Leeka님의 최근 게시물
|
IT는 그 사람들의 필요성 자체가 없지만..
(애초에 IT에서 유통이라는게 마케팅&운영&QA 같은걸 대신해줄 퍼블리셔 빼고 필요가 없죠.. )
계란은 예를들면
'한국은 대형농가 몇개가 계란을 생산하는게 아니라 다수의 소형 농가에서도 계란을 생산합니다'
'계란은 유통기간이 길지 않고, 소형 농가들은 그 계란을 오래 보관하기 어렵습니다'
'즉 중간 상인이 다수의 소형 농가를 돌면서 계란을 빠르게 수거해서 물량을 만들어냅니다'
'그 물량을 주요 유통점에 넘기고 그 주요 유통점이 다시 또 다른곳에 넘기거나 본인들이 팝니... 더 보기
(애초에 IT에서 유통이라는게 마케팅&운영&QA 같은걸 대신해줄 퍼블리셔 빼고 필요가 없죠.. )
계란은 예를들면
'한국은 대형농가 몇개가 계란을 생산하는게 아니라 다수의 소형 농가에서도 계란을 생산합니다'
'계란은 유통기간이 길지 않고, 소형 농가들은 그 계란을 오래 보관하기 어렵습니다'
'즉 중간 상인이 다수의 소형 농가를 돌면서 계란을 빠르게 수거해서 물량을 만들어냅니다'
'그 물량을 주요 유통점에 넘기고 그 주요 유통점이 다시 또 다른곳에 넘기거나 본인들이 팝니... 더 보기
IT는 그 사람들의 필요성 자체가 없지만..
(애초에 IT에서 유통이라는게 마케팅&운영&QA 같은걸 대신해줄 퍼블리셔 빼고 필요가 없죠.. )
계란은 예를들면
'한국은 대형농가 몇개가 계란을 생산하는게 아니라 다수의 소형 농가에서도 계란을 생산합니다'
'계란은 유통기간이 길지 않고, 소형 농가들은 그 계란을 오래 보관하기 어렵습니다'
'즉 중간 상인이 다수의 소형 농가를 돌면서 계란을 빠르게 수거해서 물량을 만들어냅니다'
'그 물량을 주요 유통점에 넘기고 그 주요 유통점이 다시 또 다른곳에 넘기거나 본인들이 팝니다'
대강 요런 구조라서 없어지기 쉽지 않습니다.
저게 없어지려면 보통 중간 상인 대신 '정부가 그냥 직접 사버리는 쌀 같은 방법' 이나
아니면 그냥 빠바같은 고정적으로 필요한 대형 업체들이 직접 농장단위 계약을 하거나.. 인데 사실 이번엔 빠바조차 고정 업체들에게 받는거론 물량이 부족할 정도로 심하게 초토화 시켜서..
(실제로 보편적으로 AI로 닭이 죽을땐 계란값이 그렇게 크게 안변했다는걸 떠올린다면..)
보통 이런 케이스에서 직접적으로 가격이 크게 오르는건 '유통기한이 짧고 고정 소비처가 있는 물품' 인데.. 계란이 딱 그 조건을 만족시켜서..
(유통기한이 짧은 물품일수록 생산자가 고정적으로 계속 와서 정해진돈에 사갈 고정 유통상.. 즉 거래처를 만들수밖에 없는 구조가 됩니다.. 생산된걸 빨리 팔아야 되니까요.
빨리 못팔수록 가치가 떨어지고.. 보관도 해야 되고.. 여러 문제가 생기죠.
그 고정 유통상을 정부가 해서 줄이지 않는한은.. 나머지는 한국의 현실에선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
큰 대형 유통상 몇몇이 나와서 한다고 치면.. 사실 거기서 담합해서 올리면 또 똑같고
지금처럼 소형 유통상이 많으면 위 예시처럼 먹고 살아야 되서 또 올라가는 등등.. 이 순환의 반복이라..)
(애초에 IT에서 유통이라는게 마케팅&운영&QA 같은걸 대신해줄 퍼블리셔 빼고 필요가 없죠.. )
계란은 예를들면
'한국은 대형농가 몇개가 계란을 생산하는게 아니라 다수의 소형 농가에서도 계란을 생산합니다'
'계란은 유통기간이 길지 않고, 소형 농가들은 그 계란을 오래 보관하기 어렵습니다'
'즉 중간 상인이 다수의 소형 농가를 돌면서 계란을 빠르게 수거해서 물량을 만들어냅니다'
'그 물량을 주요 유통점에 넘기고 그 주요 유통점이 다시 또 다른곳에 넘기거나 본인들이 팝니다'
대강 요런 구조라서 없어지기 쉽지 않습니다.
저게 없어지려면 보통 중간 상인 대신 '정부가 그냥 직접 사버리는 쌀 같은 방법' 이나
아니면 그냥 빠바같은 고정적으로 필요한 대형 업체들이 직접 농장단위 계약을 하거나.. 인데 사실 이번엔 빠바조차 고정 업체들에게 받는거론 물량이 부족할 정도로 심하게 초토화 시켜서..
(실제로 보편적으로 AI로 닭이 죽을땐 계란값이 그렇게 크게 안변했다는걸 떠올린다면..)
보통 이런 케이스에서 직접적으로 가격이 크게 오르는건 '유통기한이 짧고 고정 소비처가 있는 물품' 인데.. 계란이 딱 그 조건을 만족시켜서..
(유통기한이 짧은 물품일수록 생산자가 고정적으로 계속 와서 정해진돈에 사갈 고정 유통상.. 즉 거래처를 만들수밖에 없는 구조가 됩니다.. 생산된걸 빨리 팔아야 되니까요.
빨리 못팔수록 가치가 떨어지고.. 보관도 해야 되고.. 여러 문제가 생기죠.
그 고정 유통상을 정부가 해서 줄이지 않는한은.. 나머지는 한국의 현실에선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
큰 대형 유통상 몇몇이 나와서 한다고 치면.. 사실 거기서 담합해서 올리면 또 똑같고
지금처럼 소형 유통상이 많으면 위 예시처럼 먹고 살아야 되서 또 올라가는 등등.. 이 순환의 반복이라..)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