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12/07 23:22:23
Name   눈시
File #1   제목_없음.png (636.3 KB), Download : 6
Subject   IF 놀이 - 만약 그 때 맥아더가


지도 참고하시고...

http://news.joins.com/article/15823407
헨리 키신저의 말부터 듣고 시작하죠 ( '-')





10월 15일, 미국령 웨이크섬에서는 트루먼 대통령과 맥아더 원수의 회담이 열립니다. 맥아더로서는 2차대전 종결 후 처음으로 미국 땅을 밟은 것이었죠. 그 이전부터 트루먼은 맥아더를 여러 차례 불렀지만 전쟁을 지휘해야 된다는 이유로 거부했습니다. 하와이도 안 된다고 하니 별 수 있나요. 맥아더의 상황을 존중하는 의미에서 트루먼이 700km나 떨어져 있는 웨이크섬으로 갑니다. 반면 맥아더가 이동한 거리는 300km 정도였죠. 뭐 어쨌든 그 먼 미국까지 왕복하는 것보단 이 쪽이 합리적이긴 합니다.

여기서 맥아더는 이렇게 말합니다.

"추수감사절(11월 말쯤) 안에 적의 공식적인 저항을 종식시킬 수 있다." "

"중공군의 개입 가능성은 아주 희박하다. 그것은 결정적인 위협이 될 수 있었으나 지금 상황에서는 그들의 개입을 두려워 하지 않는다. 중공은 만주에 30만 명의 병력을 주둔시키고 있다. 그 가운데 10만 내지 12만 5천명이 압록강변에 연하여 배치하고 있으며 이중 5~6만 명이 압록강을 건널 수 있을 것이다. 만약 그들이 한국전쟁에 참전하여 평양으로 진격하려고 시도한다면, 우리는 그들이 보유하고 있지 않는 막강한 공군력으로 최대의 살육전을 펼칠 것이다."


브래들리 보병전투차 (...)

브래들리 합참의장이 다른 나라의 추가 파병이 필요하냐고 하니까 이럽니다.

"그들은 군사적 견지에서 필요가 없다. 그들은 전투를 치러보지도 못할 것이다."

아주 자신만만하죠. ㅡ.ㅡa

당시 UN군은 중국과 소련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북진한계선(맥아더선)을 정해놓고 있었습니다. 그 북쪽으로는 한국군만 보냈죠. 저 회담을 통해 이 제한이 풀리게 됩니다. 17일, 정주-함흥선이었던 걸 선천-성진(현 김책시)으로 끌어올린 거죠. 이어 24일 이것도 깨고 모든 UN군에게 북진하라고 합니다.


이렇게 해서 전쟁을 끝내기 위한 최종공세, 이른바 추수감사절 공세가 시작됩니다. 병력이 많다 해도 저렇게 확 넓어지는 곳에서 마구 북진을 했죠. 북한군은 지리멸렬했고, 그들이 총 쏘지 않으면 무시하고 진격하라는 명령까지 내려옵니다. 결국 6사단이 압록강에 도착하는 감동적이고 드라마틱한 일까지 일어납니다만...


10월 말부터 약 일주일간 대규모의 적을 만나게 됩니다. 중공군이었죠. 아군은 (늘 그렇듯 중공군이 집중해서 노린 한국군 중심으로) 꽤나 놀리고 제법 피해를 입었습니다. 하지만 맥아더를 비롯한 UN군 수뇌부는 긍정적으로 봤습니다. 중공군은 갑자기 들이닥쳤지만 또 갑자기 사라졌거든요. 이게 그들의 한계다는 거였죠. 해봐야 5~6만, 압록강의 다리를 끊어 증원을 막고 한 번만 더 밀면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아군은 못한 보급을 하면서 한숨을 돌리고 다시 최종공세를 계획합니다. 이제는 크리스마스까지는 전쟁을 끝내고 애들 집에 보내주자고 해서 크리스마스 공세(Home-by-Christmas Offensive)로 불리게 됩니다. 때는 11월 24일, 그리고 다음 날에 중공군의 2차 공세가 시작되죠.

결과야 뭐... 아주 영혼까지 탈탈 털렸죠. -_-; 한국군뿐만 아니라 미군까지도요. 장진호 전투를 치른 해병대는 멋졌고, 함흥 철수 작전은 감동적이지만 정말 대패였습니다. 그리고 이 덕분에 위에서 아래까지 다 멘탈이 나갑니다.


"우리는 새로운 전쟁에 직면했다."

-_-... 맥아더는 28일에 평양과 원산에 방어선을 만들라고 명령합니다. 그리고 4일과 7일 미 육군참모총장 콜린스와 만나서 증원군이 없다는 결정을 듣고 지연전을 펼치며 후퇴한다는 계획을 세웠죠. 하지만 그 때 이미 총퇴각이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현 단계에서 8군을 구하는 유일한 방법은 중공군과 접촉을 단절하는 것뿐이다"

윌튼 워커. 미 8군 사령관으로 낙동강 전선을 마지막까지 지킨 영웅이죠. 워커힐 호텔 등이 이 이름을 딴 겁니다. 하지만 그 역시 정신이 나가버립니다. 방어선을 만들려고 했지만 12월 1일에 철수로 방침을 바꿉니다. 여기에 3일 대규모 중공군이 성천(평양 북동쪽, 저 지도엔 안 나오네요)으로 가고 있다는 정보가 있자 확인도 안 하고 철수, 아니, 도주합니다. 공산군은 도저히 추격할 수 없을정도의 엄청나게 빠른 후퇴였죠.


대동강 철교의 피난민들

평양도 버리고 38선에서 제발 내려오지 말라고 벌벌 떱니다. 워커는 사령부를 대구로 옮기고 이승만에게 다시 부산으로 가라는 건의까지 했죠.


이 과정에서 워커가 사고로 죽고 리지웨이가 후임으로 오면서 분위기가 좀 나아집니다. 하지만 중공군에 대한 두려움을 다 진정시키기엔 부족했죠.


12월 31일, 중공군은 38선을 넘었고 아군은 패배했으며, 리지웨이는 빠른 후퇴를 결심합니다. 1.4후퇴였죠. 이렇게 되면서 진지하게 중국과 협상을 시도하게 됩니다. 하지만 역시 승리의 단맛을 본 중국이 받아줄 리가 없었죠. 이러면서 한국을 포기하는 계획 역시 진지하게 논의되었구요.

이 철군 계획의 시작은 중공군이 금강 방어선에 도달할 때. 뚫리는 게 아니라 오기만 하면 철군한다는 거였습니다. 당시의 방어선에서 불과 50km 후방이었죠.

하지만 예상 외로 중공군은 오지 않았고, 정찰을 통해 무섭기만 하던 그들의 약점을 알게 되었으며, 다시 반격할 수 있게 되었죠. 이렇게 전쟁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구요.


3월 말, 그렇게 겨우겨우 서울을 다시 수복하고 38선 인근까지 도로 밀어붙인 상황에서 맥아더는 잘리구요. 중국 영토까지 확전을 주장하면서 돌출행동을 한 것 때문이었습니다.

-----------------------------------------------------------

자, 그럼 중국 쪽을 보죠.

중국은 국공내전이 끝난 지 겨우 1년이었습니다. 병력이 많다 해도 장비는 많이 부족했죠. 소련의 지원이 필요했습니다. 병력을 빼는만큼 대만을 공격해서 국민당에게 완전승리하는 것도 포기해야 했구요. 수뇌부는 둘로 나뉘어서 싸웠고, 마오쩌둥도 잠을 못 잘 정도로 고민했습니다. 그래도 강행하니까 처음엔 지원 안 한다던 스탈린도 감동 먹고 지원해주기로 했구요. 하지만 반격은 소련의 지원이 다 도착하는 6개월 후로 계획했습니다.

그런데 UN군의 북진이 빨라도 너무 빨랐죠. 안 되겠다 싶어서 일단 30만 대군이 압록강을 건넜습니다. 철저한 기도비닉을 유지했고, 온갖 방법으로 소규모인 것처럼 꾸몄죠. 맥아더를 마냥 깔수만은 없는 게 그가 직접 비행기 타고 정찰했음에도 중공군을 제대로 보지 못 했거든요.

이런 상황에서 넓디넓은 한중국경선으로 마구 북진하니까 아주 제대로 카운터를 먹인 겁니다. 여기서도 정말 잘 싸웠어요. 대군이라 했지만 병력이 막 크게 차이났냐 하면 아닙니다. 한국군이 다수라 해도 UN군도 충분히 많았거든요. 규모를 최대한 감추고, 그들의 특기인 산악행군으로 빈 틈을 비집고 들어가 포위하고, 약한 한국군을 집중 공격했습니다.

하지만 중공군 자신의 한계도 뚜렷했습니다. 그들의 공세는 1주일 정도였고 그게 끝나면 한달은 준비해야 했습니다. 무기는 물론 각종 군수품도 부족했고, 겨울은 그들에게도 가혹했습니다. 1, 2차 공세에서 중공군의 피해를 6만에서 10만까지 잡기도 합니다. 아군이 평양-원산선으로 후퇴했을 때 그들 역시 더 이상의 공세를 할 여력이 없었죠. 극심한 추위에 시달리고 미군의 강력한 화력을 겪으면서 사기도 떨어져 있었구요.

애초에 그들의 부족함을 알기에 처음의 계획은 북진해오는 UN군을 밀어낸 후에 방어선을 반드는 거였습니다. 두 차례의 공세 후에도 UN군이 평양-원산선을 지킬거라 생각하고 선천-숙천선에서 멈췄죠.

뭐 이쯤되면 결론을 아실 겁니다. -_-a

----------------------------------------------------

10월에 평양-원산선, 혹은 청천강을 방어선으로 안주-함흥 정도에서 멈췄으면 그런 대패는 없었을 겁니다. [그리고 한방 먹은 다음에라도 그렇게 했으면 마찬가지였을 거구요. 마지막으로, 멘붕하지 않고 평양-원산선이라도 지켰으면 역시 결과는 달랐을 겁니다.] 방어할 지역만 해도 압록-두만강 라인이 1300km라면 여기는 200km입니다. 지금의 휴전선이 250km 정도니까 방어하기 훨 쉽죠. 괜히 통일신라가 여기까지만 온 게 아닌거죠.

+) 이 부분은 불가능하다는 반론을 받았고, 그게 맞네요. 아래 댓글 참고해주세요

정말 잘 했다면 중공군도 밀어내고 통일 달성, 그게 아니더라도 이 라인에서 오르고 내리고 하다가 휴전을 했겠죠. 이렇게 되면 한국은 한반도 대부분의 인구를 차지하게 됩니다. 그랬다면 지금 북한이 남아있더라도 인구가 천만이 되긴 했을까 싶죠.

이 정도였으면, 김일성이 아무리 날고 기어도 소련이 망할 때 역시 무너질만 합니다. 참 낙관적인 시나리오예요. 대통령이 신격화 되는 건... 어쩔 수 없겠지만요. 아 그럼 중국이 북한 먹지 않았을까 싶은데, 중국이 필요한 건 완충지역이고, 동해에 진출하는 건 소련도 싫어했을테니 그럴 것 같진 않습니다. 지금까지도 통일이 안 됐다면 또 모르겠지만요. 근데 이런 상태면 한국의 국력도 지금보다 강할 건데...

개인적으로 이 IF가 한국사, 특히 한국근현대사에서 제일 현실성 있고 긍정적인 IF라고 봅니다. 미국은 중공군의 개입을 걱정했고, 맥아더도 걱정했긴 했으니까요. 그리고 맥아더 혼자, 혹은 그 수뇌부만 조금 더 신중했으면 결과를 바꿀 수 있었거든요. 물론 북진을 원하는 한국의 입장도 있고, 승리병에 빠진 건 맥아더뿐만이 아니긴 합니다만 그래도 다른 IF들보다는 낫죠.

+) 반대로 인천상륙작전을 결국 못 했다면? 도 그렇겠네요. 역시 맥아더 개인만 막으면 되니까... 이런 걸 보면 참 독불장군이고 드라마 좋아하는 양반입니다. 이 경우에는 10만명까진 아니라도 피해가 더 컸을 거고, 38선까진 어떻게 가도 그 이상 북진은 힘들지 싶어요.

가령 조선이 일본 수준의 근대화를 한다는 건 왕 한두명 수준으로 안 되고, 여운형이 대통령 되는 건 서로 입장이 극과 극이면서도 여운형을 노리던 자들이 다 그를 대통령으로 인정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이승만이 대통령이 안 됐더라도 한국은 우익이 잡았을거라 보구요. 박정희가 없었으면 경제가 ~~~~ 는 변수가 많아도 너무 많죠. 소수의 결단으로 결과가 가장 크게 바뀔 수 있겠다 싶은 건 이거네요.

음... 그 외에 10.26이 IF를 넣기는 참 좋은데요. 역시 변수가 너무 많네요. 독재가 계속됐을수도 있고, 두번째 혁명이 성공할수도 있으니까요. 재밌긴 이게 더 재밌게죠? -_-; 그 외에 13대 대선 때 양김의 분열도 좋긴 하겠네요. 근데 이건 IF놀이로 하기엔 너무 최근이고 피부로 느낄 수 있는 거라서... 뭐 얘기하면 재밌긴 하겠습니다만.

그럼 이상입니다 '-')/



2


    Beer Inside
    인천상륙작전도 1.4후퇴도 할만해서 한 것일겁니다.

    인천상륙작전은 북한군의 너무 빠른 진격에 따른 보급의 붕괴 그리고 낙동강전선에서
    미군이 어느정도 반격할 힘을 가지고 있어서 한 것이라고 보고 그냥 서서히 밀고 올라갔었어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을 수도 있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듯이,

    1.4 후퇴도 중공군의 승리와 이에 따른 미군의 전열 정비가 필요했는데, 한국은 현대전에서는 전열정비하기에는 너무 좁다고 할까요.

    평양, 원산라인을 지켰으면 좋았겠지만, 빠른 후퇴로 피해를 줄이고 다시 중공군의 보급선을 늘어뜨려서 방어를 할 수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결과적으로 그렇게 됐죠. 그런데 다시 내려오니까 도로 못 올라간 아쉬움에 이런 IF가 나오는거죠 뭐
    그리고 인천상륙작전은 확실한 근거를 가지고 밀어붙인 것임에 반해 이 때의 후퇴는 정말 공황상태에서 무작정 도망쳤다는 차이도 있구요. 오지도 않았는데 낙동강 방어선까지 후퇴하려고 했고, New Korea 계획도 너무 비관적으로 세웠고... 이런 상태를 리지웨이 혼자 막았다는 평까지 나오구요
    옆동네에서 반론 들어왔는데, 산으로 막혀있고 거기에 있는 게릴라 부대가 동쪽의 10군의 후방을 위협했고 (흥남철수) 이 때문에 서쪽 미 8군도 위협받는 상황이라 방어선 형성은 불가능하다고 하는군요. 제가 이 부분을 간과했고 말씀대로 할만해서 한 게 됐습니다. ㅠ 이런 놀이에 너무 심취했나봐요
    마침 러일전쟁 연재하고 계시니 말씀 드리는거지만 전 봉천회전 이후에도 일본이 적 야전군 격멸을 목적으로 계속 진군했다면 하는 IF가 궁금합니다.
    육군이 만주 지나서 시베리아로 들어간다면 돌아오긴 힘들테니 짜르의 마지막 함대가 녹건 말건 샌프란시스코 강화 회담에서 입장이 바뀔 거 같은데,
    그럼 러시아는 피해는 있어도 대외 위신을 높였으니 공산화도 어찌 될 지 모르고, 이어지는 양차 세계대전도 모양이 많이 바뀌지 않을까 싶어서요.
    요상하게 풀리면 서탈린 대원수가 고려인들의 피라도 스탈린그라드에 뿌려서 막으라고 지시를 하게 될 지도 모르지만 말이죠.
    다 죽는거죠 뭐. 적백내전 때도 일본군은 별 성과 없었으니... =_=a 말씀하신대로 강화회담의 입장이 바뀔 수준일 거 같습니다. 그런 상태로 만주를 계속 가지고 있었다면 국내의 불만도 줄어들었을 거구요. 중요한 부분은 공산화될것인가 아닌가겠죠? 이러면 1차 세계대전까지 연결돼 버리네요 ㅋㅋ
    반대로 러시아 육군이 다시 공세로 나왔다면 어땠을까가 궁금하긴 합니다
    레지엔
    6.25 관련된 IF 중에 제일 흥미있게 봤던 건 '진짜 핵을 썼더라면'하고, 미군 정보부 내에서 제기되었던 '이승만 저거 하야시키고 당분간 미군정 체제로 가죠?' 두 개 였습니다. 특히 후자는 정말 매력적이지 않을 수 없는 IF...
    Beer Inside
    1. 핵을 만주에 썼었다면 중국과 미국은 총력전을 했겠지요. 아마 압록강과 평양주변에서 한국전쟁을 5년정도 더 했을지도..

    2. 미군정이였다면, 우리는 푸에토리코가 되어 있었을지도... 미국에서 한국의대로 유학오고 레지엔님은 하와이에서 레지던트 하려고 열심히 공부했을지도...
    레지엔
    2번은 역시 매력적이다...
    전자는 정말 무시무시할 거 같아서 -_-; 소련이 어디까지 참전할지도 문제죠
    두번째는 과연 한국 내의 불만을 어떻게 누를 것인가가 크겠네요. 이번엔 언제나 돌려줄 것인가 아니면 아예 미국령으로 편입할 것인가. 이승만이 신격화 될것인가 아니면 그 정반대일 것인가 + _+)
    레지엔
    하긴 근데 생각해보면 그 때 이승만 숙청했다 쳐도 후임자는 신성모나 이기붕일 가능성이 낮지 않겠군요. 노선은 반공노선 따라가면서 말은 더 잘 들을 호구들이니... 핑크빛이 잿빛이 되고 있다...
    그렇죠 뭐 ㅠ 그게 아니더라도 조병옥 신익희... 뭐 이승만보다는 나으려나요
    조봉암도 후보긴 한데... 을 이 때 미국이 어떻게 평가하고 있었을지가 걸리겠네요
    Beer Inside
    그래서 푸에르토리코라고 하는 것이지요

    사실 이승만이 아니라도 미군정이나 다름 없는 시절을 보냈으니까요

    그래도 한국은 미군정으로 유일하게 선진국 반열에 올라선 미군정의 모범국가로 해외파병시에 미국말 잘 들으면 한국처럼 될수 있다라는 증거로 따라다니고 있지요
    하니남편
    사실...미국말 잘들어서 잘된 유일한 케이스 아니겠습니까??

    유대인들이 잴로 부지런하고 독한줄 알았는데 한국놈들은 더해...이말을...양말 5개 들고 출근하는 대기업 연구개발팀에 있는 친구보면서 진짜구나 했지요.
    저도 후자 떡밥에 한 표 ㅎㅎ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004 역사일본의 다도(茶道)가 재미있는 점 5 눈시 17/02/25 6416 4
    4958 역사붉은 건 [ ]다 12 눈시 17/02/22 5569 11
    4934 역사전국시대 세 자매 이야기 (2) 8 눈시 17/02/19 6540 5
    4921 역사솔까 절세미남 자랑 좀 하겠습니다 19 파란아게하 17/02/18 7634 56
    4868 역사전국시대 세 자매 이야기 (1) 6 눈시 17/02/14 5734 9
    4741 역사18세기 외국어교재 - 청어노걸대(清語老乞大) 25 기아트윈스 17/02/01 6406 6
    4713 역사월남 전때 한국군의 의해서 베트남 민간인 거의 1만명 학살됬다고 합니다. 4 mathematicgirl 17/01/28 5162 5
    4661 역사여요전쟁 - 완. 귀주대첩 7 눈시 17/01/20 5534 6
    4638 역사여요전쟁 - 6. 싸우기 전에 이긴다 8 눈시 17/01/16 4704 9
    4610 역사여요전쟁 - 5. 이걸로 끝이 아니다 6 눈시 17/01/12 4871 14
    4606 역사컬트. 짐 존즈. 2 은머리 17/01/12 4773 2
    4575 역사여요전쟁 - 4. 개경 함락 7 눈시 17/01/08 4625 4
    4574 역사여요전쟁 - 3. 의군천병 2 눈시 17/01/08 5040 3
    4520 역사여요전쟁 - 2. 강조의 정변 8 눈시 17/01/03 5030 5
    4512 역사스트렐카와 벨카 12 은머리 17/01/02 8973 5
    4505 역사늦깎이 사이버대학생의 마지막 시험. 그리고 1년 후. 6 Credit 17/01/01 5333 1
    4491 역사여요전쟁 - 1. 썩지 않은 세 치 혀 17 눈시 16/12/31 5187 6
    4488 역사여요전쟁 - 0. 피할 수 없는 한 판 8 눈시 16/12/31 4646 2
    4447 역사러일전쟁 - 완. 포츠머스 조약 4 눈시 16/12/26 5278 7
    4435 역사러일전쟁 - 쓰시마 해전 6 눈시 16/12/23 5612 8
    4418 역사러일전쟁 - 제독의 결단 6 눈시 16/12/21 5892 5
    4399 역사러일전쟁 - 펑톈 전투 4 눈시 16/12/16 5002 5
    4377 역사러일전쟁 - 203고지, 점령 11 눈시 16/12/14 8585 3
    4322 역사IF 놀이 - 만약 그 때 맥아더가 14 눈시 16/12/07 5741 2
    4317 역사IF 놀이 - 만약 그 때 이순신이 13 눈시 16/12/07 3843 3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