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11/22 01:27:19 |
Name | Leeka |
Subject | 판타지매니아들 10년의 협박이 행운으로 찾아온 케이스 |
은행나무는 한 판타지 소설을 아래와 같이 출간하게 됩니다. - 1996년에 나온 외국의 한 판타지 소설을 2000년에 1부 / 2001년에 2부를 출간. 그 당시 기준으로 번역비만 4천만원을 넘게 쓸 정도로 공을 들였으나 2000부중 1500부가 반품될정도로 제대로 망함.. - 출판사는 적자를 크게 봤기 때문에 3부를 출간하지 않겠다고 공지 - 그러자 1,2부를 구매했던 매니아들이 돈만아는 출판사, 독자와의 약속을 무시하는 출판사를 비롯해서 공격을 하기 시작 1년동안 전화, 방문을 비롯해서 조직적으로 출판사에 항의를 진행했고 결국 1년뒤.. 은행나무는 백기를 들고 3부를 출간하겠다고 말합니다 - 긴 절차와 번역이 끝나고 2005년에 결국 3부를 출간한 뒤.. 출판사의 적자는 어느덧 2억을 넘겼습니다. 그렇지만 매니아들은 이 기세를 몰아서 4부 출간을 푸시하기 시작합니다. 출판사에서는 적자를 줄이기 위해.. '4부에서는 더 싼 번역가로 바꿔서 번역비를 1/2로 절감하는 안을 마련하고 실행하게 됩니다' - 그리고 싼 번역가를 쓴 결과.. 4부는 '매니아들이 격렬하게 번역에 항의하고 다시 맹공격'을 퍼붓는 사태가 발생하고.. 결국 출판사는 백기를 들고 판매중지후 독자들과 토론회까지 진행하여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4부를 재출간 하게됩니다. 기존 구매자들에겐 무상 교환까지 정해진 기간 내에 진행해주는 출혈을 감수하면서.. - 이렇게 출혈을 감수하면서 낸 4부는 역시나 2000권 팔렸습니다... 호기롭게 출간한 한 판타지 소설이 매니아들의 공습으로 인해 10년간 수억이 넘는 적자와 신경을 계속해서 쓰게 만드는 프로젝트가 되었죠.. - 그리고 2011년. 그 소설을 바탕으로 한 드라마가 방송되기 시작하면서 상황이 반전됩니다. 해당 드라마는 엄청난 히트를 치게 되고. 한국에서도 다양한 경로로 시청한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원작 소설의 판매량이 껑충 뛰기 시작했습니다. - 5부가 나오기 전인 2014년 기준.. '30만권' 이나 한국에서 팔리는 큰 성과를 거두면서 10년간의 골치덩어리가 회사 최고의 복덩이중 하나로 탈바꿈하게 된 것이죠.. 그것도 워낙 안팔려서 4권까지의 선 인세는 저렴한 수준이였습니다. 5부부터는 선인세가 오르긴 했습니다만.. 기존에 출판사의 노력을 감안해서 크게 인상되진 않는 선으로 협상되면서 계속되는 복덩이로.. 위 내용을 보고 아시는 분들은 이미 무슨 소설인지 아셨을것 같은데요. 소설의 이름은 얼음과 불의 노래. 드라마의 이름은 왕좌의 게임.. 입니다. 그리고 이 복덩이로 변한 소설은 번역을 교정한 개정판이 1부부터 다시 출간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3
이 게시판에 등록된 Leeka님의 최근 게시물
|
아직도 책꽂이에 고이 모셔놓고 있습니다. ㅋㅋ
번역 얘기들 많이 하지만... 스토리 이해만 가능하면 되는거 아닌가 싶고, 일단 다솜미디어판 실마릴리온을 읽은 다음에는 어떤 번역판이든 좋다는 생각이 들어서 말입니다.
예문판 반지전쟁은 중학생때 초판이 나와서 읽었는데, 번역은 개인적으로 지금 나온 번역판보다 더 윤문이 잘 되어있다고 생각합니다. 고풍스러운 맛이 더 살아있다고나 할까요. 그리고 솔직히, 너른골, 깊은골보다는 리벤델, 로리엔이 더 간지나고, 골목쟁이네보다 배긴스가 더 낫지 않나 싶은데요. 아닌가...;;;
반지전쟁... 더 보기
번역 얘기들 많이 하지만... 스토리 이해만 가능하면 되는거 아닌가 싶고, 일단 다솜미디어판 실마릴리온을 읽은 다음에는 어떤 번역판이든 좋다는 생각이 들어서 말입니다.
예문판 반지전쟁은 중학생때 초판이 나와서 읽었는데, 번역은 개인적으로 지금 나온 번역판보다 더 윤문이 잘 되어있다고 생각합니다. 고풍스러운 맛이 더 살아있다고나 할까요. 그리고 솔직히, 너른골, 깊은골보다는 리벤델, 로리엔이 더 간지나고, 골목쟁이네보다 배긴스가 더 낫지 않나 싶은데요. 아닌가...;;;
반지전쟁... 더 보기
아직도 책꽂이에 고이 모셔놓고 있습니다. ㅋㅋ
번역 얘기들 많이 하지만... 스토리 이해만 가능하면 되는거 아닌가 싶고, 일단 다솜미디어판 실마릴리온을 읽은 다음에는 어떤 번역판이든 좋다는 생각이 들어서 말입니다.
예문판 반지전쟁은 중학생때 초판이 나와서 읽었는데, 번역은 개인적으로 지금 나온 번역판보다 더 윤문이 잘 되어있다고 생각합니다. 고풍스러운 맛이 더 살아있다고나 할까요. 그리고 솔직히, 너른골, 깊은골보다는 리벤델, 로리엔이 더 간지나고, 골목쟁이네보다 배긴스가 더 낫지 않나 싶은데요. 아닌가...;;;
반지전쟁이란 제목은 나름 번역가가 고심해서 결정한 제목이고 나쁘지 않은 제목이라고 생각합니다. 소설 내용은 중간계 역사에서 보면 2차 반지전쟁이니까요. 지금의 제목, 반지의 제왕은 the lord of the ring이 사우론을 의미하는데 사우론이 제왕이 되는 아이러니가 발생합니다. 반지의 지배자, 또는 반지의 군주..정도가 적절한데, 영화 개봉할때 배급사에서 임팩트 문제로 반지의 제왕이라고 최종결론냈었죠.
번역 얘기들 많이 하지만... 스토리 이해만 가능하면 되는거 아닌가 싶고, 일단 다솜미디어판 실마릴리온을 읽은 다음에는 어떤 번역판이든 좋다는 생각이 들어서 말입니다.
예문판 반지전쟁은 중학생때 초판이 나와서 읽었는데, 번역은 개인적으로 지금 나온 번역판보다 더 윤문이 잘 되어있다고 생각합니다. 고풍스러운 맛이 더 살아있다고나 할까요. 그리고 솔직히, 너른골, 깊은골보다는 리벤델, 로리엔이 더 간지나고, 골목쟁이네보다 배긴스가 더 낫지 않나 싶은데요. 아닌가...;;;
반지전쟁이란 제목은 나름 번역가가 고심해서 결정한 제목이고 나쁘지 않은 제목이라고 생각합니다. 소설 내용은 중간계 역사에서 보면 2차 반지전쟁이니까요. 지금의 제목, 반지의 제왕은 the lord of the ring이 사우론을 의미하는데 사우론이 제왕이 되는 아이러니가 발생합니다. 반지의 지배자, 또는 반지의 군주..정도가 적절한데, 영화 개봉할때 배급사에서 임팩트 문제로 반지의 제왕이라고 최종결론냈었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