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10/15 12:45:09
Name   마르코폴로
Subject   '또!오해영', 사랑의 재발견.


- 평범한 외모?????



슈테판 츠바이크의 소설 ‘태초에 사랑이 있었다’의 제목처럼 사랑이란 인류의 탄생과 함께 존재한 것일지도 모릅니다. 물론 지금 우리가 받아들이는 사랑의 모습과는 많이 달랐겠지만요. 어쩌면 인류의 태동기에 존재했던 사랑이란 단순히 생식에 대한 본능, 번식을 위한 행위에 지나지 않았을 겁니다. 문명이 배태되기 이전에 인류의 사랑이란, 생식능력과 건강미를 갖춘 이성에 대한 무의식적인 끌림 정도였던 거죠. 그 후로 사랑의 개념은 시대와 문화권에 따라 변화하고 분화합니다. 기독교도의 관점에서 사랑이란 육체적 쾌락과는 철저히 분리된, 구원을 위한 동기였습니다. 한편, 사랑의 기원에 관한 가장 유명한 신화인 그리스 신화 속 안드로규노스 이야기 – 플라톤의 ‘향연’에서 아리스토파네스가 말하는 – 에 따르면 사랑이란 신에게 도전한 형벌로써 둘로 갈라진 인간이 원래의 짝을 찾아 완전한 상태로 돌아가려는 갈망입니다.

사랑의 개념이 우리에게 익숙한 모습으로 변화된 시기는 1774년입니다. 그 해에 괴테의 처녀작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 출간됩니다. 유럽 전역을 휩쓴 이 소설에서 사랑이란, 특별하고 강력한 감정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사랑을 하나의 감정으로 받아들이게 된 것도 이 소설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베르테르는 끊임없이 사르로테를 갈망하고 그 갈망 때문에 고통받습니다. 타자가 자신에게 스며드는 파국적인 경험 앞에서, 정상적인 마음의 균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었겠죠. 정열을 기저에 둔 이 파국적인 경험, 로맨틱한 환상은 현대에 이르기까지 사랑에 대한 하나의 준거로서 존재합니다.

한편, 세속화된 자본주의 사회, 현재의 세계에서 앞서 언급한 강렬한 사랑의 의미는 위협받고 있습니다. 아니, 어쩌면 이미 파국적인 경험의 사랑은 절멸한 것일지도 모릅니다. 칼 폴라니의 지적처럼 인간(노동)도 자연(자본)도 시장 안에서 상품화된 이 사회에서, 사랑만이 시장 밖에서 홀로 독야청정 하길 바라는 것은 순진한 기대일 수도 있겠지요. 애초에 사랑이란 불능의 경험입니다. 타자의 본질은 이질성, 나와 다름이고 이 다름은 필연적으로 불능, 내 마음대로 무엇도 이뤄지지 않는 상태로 이어집니다. 긍정의 힘, 성과의 달성이 최고의 목표가 된 이 사회에서 좀처럼 살아남기 힘든 개념이죠. 개인주의, 모든 것이 숫자로 환원되는 사회 안에서 온전히 자신을 타자에게 던지는, 앞뒤 가리지 않는 사랑이란 이미 사라져 흔적만 남은 화석 같은 것일지도 모릅니다.



‘또! 오해영’ 속 이야기의 주인공, 오해영은 그런 의미에서 희귀한 존재입니다. 적어도 지금의 사회에서는 말이죠. 그녀에게 사랑은 이미 사라져버린, 이제는 흔적만이 남아있는 베르테르의 경험입니다. 갈망하고 고통받고 로맨틱한 환상 속에 황홀해 하죠. 그래서 그녀는 자신을 있는 그대로 내던질 수 있습니다. 간 보고, 재지 않죠. 돈키호테가 미몽 속에서 풍차를 향해 돌진한 것처럼 말입니다. 극 중 망설이고 오락가락하는 남자주인공을 보면 그녀는 말합니다. ‘왜 참니 ? 참아지니? 보고 싶은데 뭘 그렇게 재니?’ 그녀에게 사랑이란 그런 것입니다. 자신의 의지로 어떻게 할 수 없는 것, 어떤 조건부도 허락하지 않는 것이죠. 모든 한정은 부정이라는 스피노자의 말처럼 그녀에게 모든 조건부 사랑은 사랑이 아닙니다. 드라마 속 평범한 캐릭터인 오해영은 그렇게 드라마가 진행될수록 특별해집니다. 사랑이 형해화된 시대에 그녀의 사랑이, 그리고 그녀가 특별한 것은 당연한 일이죠. 드라마의 초반, 파혼과 그 후의 과정을 겪으며 그녀는 깨닫습니다. 부끄러움, 거절의 두려움 때문에 진짜 사랑을 해본 적이 없다는 사실을 말이죠. 사실상 한번 죽었다 살아났음에도 망설이고 고민하는 남자 주인공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죠. 플라톤 식으로 말하자면 어떤 사건으로 인한 깨달음 -진리에 닿는- 이 그녀에게만 온전히 온 거죠. 그래서 사랑이 왔을 때, 그녀는 그것이 사랑이라 확신 할 수 있었습니다. 갈팡질팡하는 남자 주인공과는 다르게 말입니다.

극의 후반에 그녀는 자신의 로맨틱한 환상을 현실에서 실현해 냅니다. 사실 저는 이 드라마의 결말이 해피엔딩이 아니길 바랐습니다. 역경과 고난을 이기고 행복한 결혼에 골인하는 결말이 아니라 사회와 규범보다 더 큰 장애, 사랑하는 이의 죽음이라는 운명 앞에 선 그녀와 그녀의 사랑 이야기가 더 궁금했거든요. 시청률로 먹고사는 TV 드라마엔 너무 가혹한 기대였는지 드라마는 행복한 결말로 끝을 맺었습니다. 기대와는 다른 결말이지만, 드라마를 보고 나서 ‘내 지난 연애가 왜 실패했는가?’ 에 대한 작은 실마리를 얻은 것에 만족했습니다.



사족. 서현진 씨는 연기를 참 잘하시더군요. 영화나 드라마 같은 영상 매체를 자주 접하는 편이 아니라서, 연기의 잘잘못을 평가할 깜냥은 못됩니다. 하지만 어떤 기예든 일정 경지 이상의 성취를 이루면 문외한에게도 그 대단함이 전달되는 것 같아요. 드라마를 보는 내내 오해영 배역 뒤의 서현진 씨가 보이지 않더군요. 오로지 극 중에서 오해영으로서 존재하는 그 연기가 놀라웠습니다. 평범한 역을 맡기엔 너무 미인이라는 것 외에는 흠잡을 구석이 없더군요. 다른 유형의 배역을 맡았을 때의 연기도 기대가 됩니다.


사족2. 촬영 장소, 대부분이 눈에 익은 동네더군요. '저쪽에 주차하면 안 되는데', '저기로 가면 막다른 골목인데' 하며 보는 재미가 쏠쏠했습니다. 자주 지나다니는 동넨데, 촬영하는 동안 한 번도 못 본게 아쉬웠습니다.



1


    Ben사랑
    아, 그래서 서현진씨가 에릭씨에게 그렇게 적극적이었던 거군요. 몇몇 단편적인 키스신만 봐서 맥락이 이해가 안 갔었는데..
    마르코폴로
    그건 에릭씨가 잘 생겨서.. 흐흐흐
    드라마 안 봤는데 내용이 급 궁금해짐. 나무위키에서 찾아봐야겠어요. 저는 드라마 속에서 진짜 사랑 같은 사랑은 양동근 이나영 나왔던 <니 멋대로 해라> 이후로 못 봤어요.
    아 그때는 내가 어려서 그랬나...
    마르코폴로
    '네 멋대로 해라' 이후에 완결까지 다 본 첫 한국드라마가 또!오해영 입니다. 대략 15년만인 것 같아요. 흐드드
    어릴적 기억 속에 미화된 탓인지 '네멋' 만은 못했어요. 더군다나 두 드라마의 분위기가 많이 다르기도 하고요. 네 멋대로 해라가 당시에 꽤 충격적인 작품이긴 했나봐요. 아직도 기억나는 걸 보면.
    와 15년이나 됐네요 진짜 진짜 시간이 빨라요. 아니 내가 드라마를 디기 안 보고 살았던 것일 수도...;;;
    나무위키를 봤는데 그곳 설명만으로는 드라마의 매력 포인트를 발견하기 힘드네요. 생각해 보니까 예전에도 한번 찾아봤다가 흠 별론갑다 하고 잊어버렸던 거 같아요. 역시 개인 리뷰가 좋앙 :D
    마르코폴로
    오랫동안 드라마를 안 보셨다면 한번쯤 볼 만 합니다. 굳이 남녀의 사랑얘기에 집중하지 않고 보더라도 흥미로운 점이 많거든요. 드라마가 누구의 시선으로 말하고 있는가, 를 보면 티비라는 대중매체에 한해서는 확실히 여성이 권력우위에 있다는 게 느껴졌습니다. 또 직장과 결혼에 대한 담론이 확실히 20대에서 30대로 넘어 왔다는 것도 흥미롭고요. 이제 청춘물의 주인공들은 연기자나 배역이나 대부분 30대 초중반이더라고요. 오해영도 극 중에서 32로 나오거든요.
    Blueruin
    에릭정도가 되면 저도 극중 오해영처럼 할까 싶기도 하지만, 현실에선 오히려 더 다가서기 힘들겠지요ㅎㅎ 상처가 두려우니까요. 또 오해영은 재밌게 봤어요. 작가의 낡은 세계관이 눈에 밟혀서 거부감이 들기도 했지만 흡입력 있는 전개와 두 배우의 케미는 부인할 수 없이 매력적이었던 것 같아요. 엔딩까지 다 보지 못했던건 전개가 뻔할거 같아서ㅎㅎ 글 잘 읽었습니다.
    마르코폴로
    뒤로 갈수록 힘이 빠지긴 하더군요. 그래도 서현진 씨가 워낙에 극을 잘 이끌어가서 완결까지 다 봤네요.16회 정도에서 끝냈으면 더 좋았을 듯 해요.
    파란아게하
    서현진양 사랑합니다
    마르코폴로
    저도 사랑합니다. 혹시 아는 분이면 제 맘을 좀 전해주세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474 방송/연예김광석. 그의 21주기. 11 Bergy10 16/12/29 4673 5
    4450 방송/연예오늘은 권진아양의 데뷔 100일째 되는 날입니당 6 Ben사랑 16/12/27 4962 0
    4443 방송/연예소사이어티 게임 파이널 전 후기 7 Leeka 16/12/25 5123 0
    4438 방송/연예팬텀싱어 - 7화 2 tannenbaum 16/12/24 5160 0
    4391 방송/연예썰전 생방 온에어 링크입니다. 16 Bergy10 16/12/15 7708 0
    4316 방송/연예일본 예능에 나온 유전되는 이야기 14 빠른포기 16/12/07 6555 0
    4304 방송/연예왕좌의 게임 시즌 1~6 블루레이 감상 후기(스포 X) 2 Leeka 16/12/06 5670 0
    4292 방송/연예신규예능 다이제스트 12 헬리제의우울 16/12/04 4460 0
    4236 방송/연예그것이 알고 싶다-악의 연대기 6 님니리님님 16/11/26 5075 0
    4232 방송/연예귀가 호강하는 프로그램 - 팬텀싱어 3회 3 tannenbaum 16/11/26 5393 0
    4215 방송/연예'촛불', '정윤희', '인터페론' 11 Beer Inside 16/11/23 6671 5
    4211 방송/연예11월 갤럽 예능 선호도순위와 코멘트 6 노드노드 16/11/22 4117 0
    4200 방송/연예소사이어티 게임 6화 후기 7 Leeka 16/11/20 4824 1
    4188 방송/연예왕좌의 게임 블루레이 세트 구입! 5 Leeka 16/11/19 6565 0
    4175 방송/연예JTBC 팬텀싱어를 소개합니다. 5 tannenbaum 16/11/17 7049 0
    4141 방송/연예신계 싸이가 2개의 기록을 추가했습니다. 4 Leeka 16/11/12 3698 0
    4135 방송/연예11월 09일, Ben님을 만나고 온 후기 3 Ben사랑 16/11/11 5549 0
    4126 방송/연예잔잔하고 편안하게 볼 수 있는 캐드(캐나다 드라마)를 소개합니다. 13 tannenbaum 16/11/10 5339 1
    4100 방송/연예오늘 밤, 지구별 2(Planet Earth 2)가 발표됩니다. 19 기아트윈스 16/11/06 5837 0
    4088 방송/연예그알의 패기 5 elanor 16/11/05 4594 0
    4030 방송/연예10월 갤럽 예능 선호도순위와 코멘트 3 노드노드 16/10/29 4364 0
    3921 방송/연예161015 신규예능들 8 헬리제의우울 16/10/15 4295 0
    3917 방송/연예'또!오해영', 사랑의 재발견. 10 마르코폴로 16/10/15 7468 1
    3914 방송/연예대도서관이 아프리카에서 정지를 당했습니다. 8 Leeka 16/10/15 4324 0
    3903 방송/연예9월 갤럽 예능 선호도순위와 코멘트 3 노드노드 16/10/14 4425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