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10/10 22:48:02
Name   범준
File #1   image.jpeg (60.7 KB), Download : 4
Subject   (뒷북주의) 한글이 파괴된다고요?


어제 한글날을 맞이하야 인터넷 세상에서도 한글의 570돌을 축하했습니다.
그런데 그 중에서 십대들의 신조어를 한글 파괴의 주범으로 몰아가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기사가 지적하고 있는 문제는 주로,
'젊은 세대의 무분별한 신조어 사용이 우리 말과 그 안에 담겨있는 민족의 얼을 파괴한다.'
'자기들만 알아들을 수 있는 말을 사용하여 세대간 차이를 넓힌다.'
이정도인데요.

억울합니다.

한글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우수한 문자입니다만, 우리가 변용하는 것은 한글이 아니고 한국어 입니다. 언어는 시대,장소,집단의 문화등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하는 것입니다. 표준어의 정의만 봐도 교양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이고, 이는 즉 표준어는 그 시대 사람들이 쓰는 말이 바뀌면 표준어도 바뀐다는 거죠. 어차피 변하는 게 당연한 언어인데 젊은 세대가 기성 세대의 언어를 따르지 않는다고 지적하는 것이 불편했습니다.

세종대왕께서 훈민정음을 창제하신 15세기 중세국어와 비교하면 기성세대가 쓰는 언어도 천지가 다섯번은 개벽하고도 남을 수준인데 그럼 현대인들은 전부 세종대왕께 죄송하다고 싹싹 빌어야 한단 말입니까. 심지어 우리는 아래 아를 비롯해서 어두자음군, 반치음같이 소실된 기호들은 발음도 모릅니다. 반성해야 할까요?

오히려 우리가 계속해서 신조어를 만들어 냄으로써 쓰기 불편한 언어들은 자연 도태되고 사용하기에 경제적이고 그 의미를 잘 표현하는 단어들만 남음으로써 한국어가 발전할 수 있겠죠. 이는 또한 세종대왕께서 한글을 창제하신 의도와도 맞는 듯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좋은 신조어를 만들면 만들 수록 한글의 우수성을 증명해주는 것이죠! (외쳐 주모!)

또 기사에선 이런 신조어들을 세대간 소통 불화의 원인으로 지적합니다. 물론 외계어같은 단어들의 향연에 정신이 어지러우신 분들도 있겠습니다. 그래서 세대간 소통을 하려면 젊은 세대들이 먼저 다가가는게 맞겠죠. 그치만 이 또한 억울한 부분이 있습니다.

할아버지와 대화할 때 "할아버지 올해 추석 용돈 대박! ㄹㅇ 통 크신 부분 인정?" ..이러지 않잖아요? 정신 제대로 박힌 사람이라면 당연히 상대방에 맞추어 대화합니다. 다른 세대가 알아들을 수 없는 신조어는 우리끼리만 씁니다. 이것이 문제라고 하면, 의사들 사이에서 의학용어 사용하는 것도 문제가 되겠죠. 하지만 의사분들이 환자들에게 설명할 때 '수술'해야 한다고 하지, '오퍼레이션'이 필요하다고 하진 않잖아요.

그래서 우리는 한글을 파괴한 적도, 세대간 갈등을 조장한 적이 없습니다. 기자들이 섀도우복싱한거죠. 사실 기자들도 알고 있지 않을까요?

어차피 십년 전에 방가방가,하이루 하던 세대도, 이십년 전에 전화선 연결해서 통신하던 세대도 지금 다들 직장에서 기업문화에 잘 적응하며 살아가고 있을 것 아닙니까. 지금 신세대들도 한 때 흘러가는 유행을 소비하는 것일 뿐이니 좋게봐주십쇼 ㅎㅎ

한글날 인터넷 기사보고 분노에 차 폰 두들기다가 하루 삭이고 써봤습니다. 티타임에 제 생각 적어놓은건 처음인 것 같네요. 사실 욕먹는건 괜찮은데 제 수준의 밑천이 드러나서 좀 부끄럽습니다 헤헤.

이거 어떻게 끝내죠?

뿅!



0


    기아트윈스
    나와 다른 세대는 외국이나 다름 없어요. 외국인에게 우리말 쓰라고 강요하면 안 되지 않겠어요 ㅎㅎ.
    그렇네요 강요 없는 사회를 원합니다..
    세계구조
    일겅 이런거 보면 한글의 새로운 쓰임새라 재밌는 것 같아요.
    맞아여 야민정음도 그렇고..
    쁑 > 부부가 공위에 올라온거
    홋 > 모자 쓴 사람
    이런거두 재밌구요 ㅋㅋ
    쬲 = 존좋
    뀼 = 굿굿 도 있어요 ㅋㅋㅋㅋㅋ
    라이카
    매년 한글날마다 우수성 타령하며 국뽕에 취하는 거랑 세종대왕님 울고 계신다며 인터넷 유행어 한글 파괴 지적하는 것도 한두 해여야지 십여 년 넘게 보니 창의력 부족 같아요. 언어 문자 제대로 구별 못하는 것도 지치고...ㅋㅋ
    맞아요!!!
    생각해보니 이것도 꽤 옛날부터 똑같은 n년 전 떡밥인데 물려서 파닥파닥댔네요.
    나방맨
    여기에 언어 순화한다고 시덥잖은 고유어 창작하는 걸 끼얹으면 금상첨화죠.
    Ben사랑
    고유어 순화, 하니까 얼마 전에 어떤 기사가 떠오르네요. 지금 검색해도 못 찾겠지만 대충 내용이 한자어들을 서서히 없애고 이걸 기존에 있던 고유어로 그 쓰임을 대체하자라는 건데

    대체 '의미'라는 말을 없애고 '뜻'이라는 말만 쓰자고 하는 녀석들은 어떻게 뇌구조가 생겨먹은 놈들인지 궁금해요.

    제가 제일 좋아하는 말이 '의미'인데. 이건 '뜻'과는 또다른 뉘앙스이거든요.
    댓글 읽다가 갑자기 1984의 'newspeak'가 떠오르는건 우연일껍니다 아마.
    Ben사랑
    사전 찾아보니

    speech or writing that uses words in a way that changes their meaning especially to persuade people to think a certain way

    라고 뜻 정의가 되어 있네요. 흐음..
    나방맨
    일겅 입니다 (국어교육과 졸)
    저도 국교과 가고싶습니다.. ㅇㄱㄹㅇ
    저런 방송을 보면 '그럼 21세기에도 나랏말쌰미 듕귁에 달아 이러라는건지' 이런 생각을 합니다 :(
    기아트윈스
    그 옆에 성조 표시 점도 찍어주면 금샹텸화.
    상치를 상추로 바꾸고 쌍동이를 쌍둥이로 바꿨을때 표준어란거 참쓸데없는거구나 하고 느꼈습니다.
    불과 몇달전에 저거 받아쓰기 틀려서 손바닥 맞았는데 니들맘대로 바꿔버릴거 왜때렸는지 억울해서 그럼 검둥이는 앞으로 검동이겠네요 라고 개드립쳤다가 싸대기 또맞은 기억이 생생하네요.
    Ben사랑
    '젊은 세대의 무분별한 신조어 사용이 우리 말과 그 안에 담겨있는 민족의 얼을 파괴한다.'
    -> '젊은 애들 신조어 사용이 꼴보기 싫다'

    '자기들만 알아들을 수 있는 말을 사용하여 세대간 차이를 넓힌다.'
    -> '젊은 애들 무슨 말을 하는지 따로 우리는 공부해서 알기 싫다. 너네가 우리에게 맞춰.'

    ...뭐 대충 이런 식으로 코딩해서 이해하죠, 저는.
    뒷짐진강아지
    그냥 쿨타임이 온거죠 ㅋㅋㅋ
    구밀복검
    문제라면 초성체 활용 같은 것은 문어에서는 효율적이지만 구어에서는 활용하기 어렵다는 것...
    이 점은 알파벳으로 표기되는 언어들이 좋기는 하죠. 언어적 시대착오에 사로잡혀 병적일 정도로 한자어 활용에 집착하는 군대조차도 GOP, PRI 같은 알파벳 약칭들을 오래 전부터 일상적으로 썼는데, 그 역시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라이카
    자음 글자 이름을 초성 쓰임 종성 쓰임 다 보여주려고 2음절씩으로 지어놔서... 이게 글자와 소리의 관계를 정확하게 배우기에는 좋은데, 말씀처럼 입말에서 초성만으로 간단한 약어 만들기에는 확실히 아쉽죠.ㅎㅎ
    구밀복검
    네...말씀하신 특성상 약칭이 철저하게 문어로만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데, 애초에 약칭이란 것이 문어적이기보다는 구어적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반편 약칭이라고 봐야죠. 그만큼 생명력과 지속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Ben사랑
    이태백(이십대 태반이 백수) 같은 사례가 있긴 하지만, 알파벳 계열의 언어보다 이런 식의 조어가 힘들죠.
    "자기들만 알아들을 수 있는 말을 사용하여 세대간 차이를 넓힌다." 전 이 부분에 대해서는 실제로 세대간 언어 차이가 벌어지고 있다고 봅니다.
    불특정 다수에게 뜻을 전하고 싶을 때는 특정 집단에서만 사용하는 어휘를 쓰기보다는 가급적 정중한 어휘를 사용하는 게 예의바른 언어생활이 아닐까 합니다.

    당장 저는 '일겅'이 무슨 뜻인지 따로 검색 해 보고 알았습니다.
    야민정음은 이전에 검색 해서 알아둔 바가 있어 조사하지 않아도 되니 다행이네요.
    전 이런 종류는 대중적인 유행어 보다는 은어에 가깝지 않나 생각하는데, 사전에서 은어를 적당히 찾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더 보기
    "자기들만 알아들을 수 있는 말을 사용하여 세대간 차이를 넓힌다." 전 이 부분에 대해서는 실제로 세대간 언어 차이가 벌어지고 있다고 봅니다.
    불특정 다수에게 뜻을 전하고 싶을 때는 특정 집단에서만 사용하는 어휘를 쓰기보다는 가급적 정중한 어휘를 사용하는 게 예의바른 언어생활이 아닐까 합니다.

    당장 저는 '일겅'이 무슨 뜻인지 따로 검색 해 보고 알았습니다.
    야민정음은 이전에 검색 해서 알아둔 바가 있어 조사하지 않아도 되니 다행이네요.
    전 이런 종류는 대중적인 유행어 보다는 은어에 가깝지 않나 생각하는데, 사전에서 은어를 적당히 찾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0020900
    은어 : 어떤 계층이나 부류의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이 알아듣지 못하도록 자기네 구성원들끼리만 빈번하게 사용하는 말.
    예) 요즈음 청소년들의 은어는 나이 든 세대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거레알', 'ㅇㄱㄹㅇ', '일겅' 순서로 변형되는 것을 별도의 학습 과정 없이 바로 이해 할 수 있을까요?
    저도 '이거레알 까지는 신조어, 유행어 범주에 넣는 데 거부감이 없습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단자음체나 야민정음은 배경 지식을 공유하는 집단에서만 소통 가능한 은어라고 생각합니다.

    위에서 많은 분들이 이야기 하시던 것과 마찬가지로 세대간 언어 분화가 생기는 게 요즘 들어서야 생긴 현상도 아니고 저도 그게 잘못된 건 아니라 봅니다.
    은어가 자생하고 사용되는 것도 마찬가지인데, 새로 생긴 언어가 다 정답이라 세상이 거기에 바로 따라가야 하는 것도 아닐겁니다.
    위에서 기아 트윈스님 께서는 "나와 다른 세대는 외국이나 다름 없어요. 외국인에게 우리말 쓰라고 강요하면 안 되지 않겠어요 ㅎㅎ." 라고 하셨는데, 이 태도는 신/구 양쪽 모두에게 적용 해야지요.
    Ben사랑 님께서 번역하신 '젊은 애들 무슨 말을 하는지 따로 우리는 공부해서 알기 싫다. 너네가 우리에게 맞춰.' 이런 태도가 보기 싫으시다면
    '꼰대들 말투 쓰기 싫다. 우리 편할데로 쓸 테니 너네가 알아서 찾아보고 해석해라.' 와 같은 태도도 마찬가지로 지양해야 할 겁니다.

    뭐 두괄식인 듯 하면서 장황하게 리플을 달았지만, 제게 깊은 뜻이나 주의 주장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실은 제가 유행어 알아보기 어렵다 보니 수상한 표현을 보면 뜻을 짐작 해 보고 맞는지 검색 해 보는 게 귀찮으니 쓰지 말거나 무슨 뜻인지 주석을 같이 달아 줬으면 싶은 겁니다.
    전 유행어와 은어 섞어가며 쓴 글 읽다보면 재미는 있는데 외국어처럼 한 단계 더 해석해야 하는 것이 무슨 국한문 혼용체 세로쓰기 무협지 읽는 심정입니다.
    Ben사랑
    저도 '일겅'은 뭔 소리인지 몰랐네요.

    세대간 격차뿐만 아니라, 같은 세대 내에 있는 사람도 어떤 특정 영역에 있는 사람들의 말을 이해하려고 따로 공부해야 하는 것 같아서 힘들었어요.
    "이런 것까지 공부해야 한다니!"하는 짜증남, 같은 거..
    오... 예리한 지적이십니다. 그럼 이 문제는 "못 알아들음"의 문제가 아니고 "못알아들어서 [기분나쁨]"의 문제가 아닌가 생각이 들어요. 그래서 기자들/구세대/못알아 듣는 분들이 "젊은 것들이 한글 파괴하고 있네 ㅉㅉ" 하면서 후려치는 것일 수도 있구요..
    알지 못해서 "이게 무슨뜻이야?" 라고 물었을때 상냥히 "응 이건 ~~라는 말이야." 라고 답이 돌아오면 어느누구도 꼰대나 버릇없는 젊은이가 되지 않고도 해결될 수 있을 것 같아요 :) 근데 그러면 결국은 인터넷문화/에티켓이 바뀌어야 한다는 이야기이니 어렵네요 ㅠㅠ

    모르는 것이 부끄럽거나 수치스러운 일이 아니게 되면 더 적극적으로 물어보고 제대로 알려는 사람들이 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근데 실현될 수 있을지는 모르겠네요 ㅠㅠㅠㅠㅠ...
    Ben사랑
    못 알아들어서 '그걸 알아듣기 위해 공부씩이나 해야 해서' 기분나쁨
    -이 아닐까 싶어요.

    별 대단한 것도 아닌데 이걸 찾아보고 공부한다는 것 자체, 이걸 물어본다는 것 자체가 에너지 낭비라..
    그냥 개발자에게 프로그래밍 언어 같은거죠.
    내가 쓰는 언어 말고 다른걸 공부하면 좋은거지만 안해도 크게 불편함 없는.
    하지만 왠지 궁금한데 귀찮고 알아두면 더 많은걸 알 수 있을거 같은 그정도?
    Ben사랑
    적절한 비유네요.
    로오서
    기사를 직접 본건 아니라서 정확하게 말하기는 어렵겠지만, 문제는 항상 정도와 속도에 있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전 신조어라고 해야할지 외계어라고 해야할지 잘 모르겠는 문자의 남용들을 너무 많이 봐와서 사실 좀 지쳐있거든요. 물론 제가 어릴때도 존재하긴 했습니다.. 허걱, 헐 이런말들이 한창일때였죠. 하지만 제 개인적인 견해로는 요즘 사용되고 있는 신조어중에는 그 정도가 심한게 꽤 존재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글쓴이님 말대로 친구들이랑 집단에서만 그런 언어를 사용하고 상대에 맞춰서 조절할줄 알고 있으면 이미 문제는 아닐거예요. ... 더 보기
    기사를 직접 본건 아니라서 정확하게 말하기는 어렵겠지만, 문제는 항상 정도와 속도에 있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전 신조어라고 해야할지 외계어라고 해야할지 잘 모르겠는 문자의 남용들을 너무 많이 봐와서 사실 좀 지쳐있거든요. 물론 제가 어릴때도 존재하긴 했습니다.. 허걱, 헐 이런말들이 한창일때였죠. 하지만 제 개인적인 견해로는 요즘 사용되고 있는 신조어중에는 그 정도가 심한게 꽤 존재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글쓴이님 말대로 친구들이랑 집단에서만 그런 언어를 사용하고 상대에 맞춰서 조절할줄 알고 있으면 이미 문제는 아닐거예요.
    문제는 그렇지 않은 상황에서 발생하는거겠죠.

    이런 현상이 어느수준까지는 괜찮고 그 이후는 안된다고 선을 긋기는 어려운 문제이지만, 개인적으로는 언어의 선택과 탈락이 재미라는 요소로 결정되지는 않았으면 합니다.
    포켓몬사냥꾼
    속도에 관해서도 개인차가 심하지 싶습니다.
    내가 못받아들일 때 - 남용라는 프레임은 고려시대에도 기록이 있죠. ( 요즘 젊은이들은 ㅉㅉ 등등)

    언어의 선택은 재미는 젊은 세대들의 선택 기준에 물론 포함되어 있을 것 같아요. 당연히 재미있는 말들이 인상 깊어서 살아남을 것 같구요.
    로오서
    네. 제가 그러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일뿐입니다.
    한달살이
    결국 말과 글은
    어떤 주체가 되는 대상의 머릿속의 내용을 전달하거나, 감정을 전달하거나 하는 도구 중 하나죠.

    저 또한 아재라서 초성체, 이모티콘, 은어, 비어등을 쓰는것을 좋아라 하진 않습니다만,

    그런 사용에 대한 것보다 더 싫은것은..

    저것은 입에서 나온 말이고, 저것은 분명 글자인데.. 설득력도 없고, 해석도 안되는 말도 안되는 것을 억지로 주장하는게 더 싫습니다.
    대표적으로는 그분이 계시죠.

    뭘 사용했느냐가 아니라, 설명해주고, 느끼게 해주고, 전달이 잘 되고, 대화가 잘 되느냐가 문제인데..
    ... 더 보기
    결국 말과 글은
    어떤 주체가 되는 대상의 머릿속의 내용을 전달하거나, 감정을 전달하거나 하는 도구 중 하나죠.

    저 또한 아재라서 초성체, 이모티콘, 은어, 비어등을 쓰는것을 좋아라 하진 않습니다만,

    그런 사용에 대한 것보다 더 싫은것은..

    저것은 입에서 나온 말이고, 저것은 분명 글자인데.. 설득력도 없고, 해석도 안되는 말도 안되는 것을 억지로 주장하는게 더 싫습니다.
    대표적으로는 그분이 계시죠.

    뭘 사용했느냐가 아니라, 설명해주고, 느끼게 해주고, 전달이 잘 되고, 대화가 잘 되느냐가 문제인데..
    그건 개인 성향이 너무 큰 듯 합니다. 그냥 개개인이 다르기 때문에 느끼게 되는 거겠죠.

    상상력 한번 발휘해서..
    요즘의 기발하고 천재급인 고등학생이 타임머신 타고, 조선 중기쯤 가서 성향이 맞는 또래 사학자랑 대화를 할때..
    은어, 비어, 줄임말 등이 문제가 되리라 생각은 안되네요.
    처음엔 무슨말인가 싶어서.. 물어보고, 황당해 하겠지만.. 대화가 되리라 봅니다.

    그런데, 또래 사학자가 아니고 본인의 증조 할아버지께 타임워프되서 간다면 ..
    장담은 못하겠지만서도..대화는 잘 안될거 같네요.

    이 또한 저의 생각입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저 또한 줄임말, 초성체, 은어, 비어등의 사용을 그리 좋아하진 않습니다.
    그런데, 중요한건 그것보단 저것이라고 생각하네요.

    휘리릭~
    파란아게하
    선비분들만 어려운 한문 쓰던 시절
    백성들을 긍휼히 여겨
    아무나 편히 쓰라고 만들어주신게 한글이죠
    잘 쓰고 있는 거여용
    라이카
    10년 전 유행하던 인터넷 은어 중 지금 살아남은 게 얼마나 있는지 생각해 보면... 요새 하삼체 쓰면 아재 취급 받고 버로우하게 되겠죠. 은어는 은어이기에 유행하기도 하지만 그 한계 역시 뚜렷해서 이걸 가지고 언어생활에 대해 크게 걱정할 필요가 있을까 싶어요.

    전에 구밀복검님이 다른 글에서 인용하신 적 있는 자료인데, 인터넷에서 드립각만 보이면 귀신처럼 파고들어 소위 언어 파괴한다는 유행어로 낄낄거리며 노는 청년층의 문해력이, 요즘 애들 언어 올바르게 못 쓴다고 쯧쯧 혀차는 세대를 압도하는 게 실상이라...

    ... 더 보기
    10년 전 유행하던 인터넷 은어 중 지금 살아남은 게 얼마나 있는지 생각해 보면... 요새 하삼체 쓰면 아재 취급 받고 버로우하게 되겠죠. 은어는 은어이기에 유행하기도 하지만 그 한계 역시 뚜렷해서 이걸 가지고 언어생활에 대해 크게 걱정할 필요가 있을까 싶어요.

    전에 구밀복검님이 다른 글에서 인용하신 적 있는 자료인데, 인터넷에서 드립각만 보이면 귀신처럼 파고들어 소위 언어 파괴한다는 유행어로 낄낄거리며 노는 청년층의 문해력이, 요즘 애들 언어 올바르게 못 쓴다고 쯧쯧 혀차는 세대를 압도하는 게 실상이라...

    http://ppss.kr/archives/66923

    '(2012년 oecd 조사에 따르면) 16-24세의 경우 292.94점으로 세계 4위 (일본, 핀란드,네덜란드에 이어) 인데, 55-65세의 성적은 244.10으로 뒤에서3등(스페인, 프랑스 겨우 제낌)에 불과하다. 45-54세의 경우에도 뒤에서 4등.(이태리, 스페인, 프랑스). 젊은층이 벌어놓은 점수를 50-60대가 다 까먹고 있는게 현실이다.

    요약하면, 16-24세는 최상위권에서 놀다가 40-60대의 문해력은 바닥으로 떨어지는… 한국인의 문해력이 바닥이라는 것은 적어도 특정 연령 계층에나 해당되는 이야기라는 결론이다.'
    Ben사랑
    배운 만큼 문해력이 늘고 생각도 깊어지는거죠.
    바코드
    어째 집현전 학자놈들이 지껄였던 논리와 비슷합니다?
    이런들저런들
    이런 기사야 십여년전부터 같은 포맷을 계속 우려먹는거라고 봅니다만, 요새 게임 채팅은 참 인상적이긴 하더군요. '니애미 창녀'같은 욕을 수시로 보게 될줄은 몰랐죠.
    요즘 젊은 층의 언어 중 인상적인 것은 패드립을 현실에서도 종종 쓰는 거고 '애미 없는 놈 ㅋㅋ'식의 장난질? 두번째로 인상적인 것은 서로 '씨발년이'이라고 서로 친근감을 표시하는 것인데 보통 구세대(?)였다면 '이 새끼가 ㅋㅋ'할 맥락에서 자주 쓰이더군요. 사실 이 씨발년이라는 욕은 다분히 여혐의 냄새도 납니다만..
    추적해보이 결국 롤이 그 핵심에 있고 특히 북미서버 시절에 미국식 욕을 어설프게 배워와서 (암걸린다 류의 표현은 확실히 북미에서 유래했더군요) 번져나간게 문제인 듯 하더군요.
    이것도 언어의 변화라면 변화지만 그리 좋아보이진 않더군요.
    Ben사랑
    게임 채팅은 가면갈수록 심해질듯 합니다..ㅠ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3027 7
    15433 사회중대재해처벌법은 악법인가 13 당근매니아 25/05/08 822 18
    15432 방송/연예백종원 사태에 대한 생각 16 Daniel Plainview 25/05/07 1104 17
    15431 정치덕수옹은 대체.. 16 Picard 25/05/06 1459 0
    15430 방송/연예2025 걸그룹 2/6 15 헬리제의우울 25/05/05 529 15
    15429 음악오늘 유난히도 다시 듣게 싶어지는 곡들 이이일공이구 25/05/05 404 0
    15427 육아/가정광명역에서 세 번의 목요일, 그리고 어머니 22 그런데 25/05/05 693 48
    15426 정치운석은 막을 수 없다: 정상성(Normality)의 관점에서 8 meson 25/05/05 631 13
    15425 정치내각제와 대법원 4 당근매니아 25/05/04 551 13
    15424 정치한국현대사에 파시즘 정권이 존재했는가? 10 meson 25/05/04 521 2
    15423 스포츠[MLB] 김혜성 LA 다저스 콜업 김치찌개 25/05/04 286 0
    15422 정치당연히 이재명이겠거니 하는 공유된 태도 29 명동의밤 25/05/03 2139 19
    15421 일상/생각옛생각에 저도 suno로 하나 만들어봤어요. 1 큐리스 25/05/02 489 0
    15420 정치양비론이 가소로워진 시대 1 meson 25/05/01 769 11
    15419 게임(ChatGPT게임) 2025 콘클라베 - 루이스 안토니오 타글레 시뮬레이션 똘빼 25/05/01 362 0
    15418 도서/문학백종원과 신창섭 사이에는 무슨 관계가 있을까? 2 구밀복검 25/05/01 714 6
    15417 정치오늘의 일에 부쳐 영원한웬디 25/05/01 625 3
    15416 오프모임서양근대사 세미나에 참여하실 회원을 모집합니다 3 영원한웬디 25/05/01 568 1
    15415 창작탐라를 지키는 100명의 회원들 MV 13 수퍼스플랫 25/05/01 672 11
    15414 기타노트북LM으로 만들어본 팟캐스트 16 토비 25/04/30 636 9
    15413 일상/생각나아가고 있겠죠? 9 골든햄스 25/04/29 758 28
    15412 음악탐라를 지키는 100명의 회원들 68 토비 25/04/29 1691 38
    15411 오프모임(급벙)칡이 광주에 내려온다 4.30 22 25/04/29 776 8
    15410 도서/문학쳇가씨 답정너 대담 백치 1 알료사 25/04/28 425 2
    15409 요리/음식옛 중국집에 관한 환상? 15 당근매니아 25/04/28 988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