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6/12 16:27:27
Name   빛과 설탕
Subject   메르스 지역사회감염 의심자
m.news.nate.com/view/20150612n21010?list=edit&cate=tot

평택 경찰로 알려진 메르스확진자가 병원 내에서 메르스 환자와 접촉한 사실이 없다고 하여 지역사회감염이 의심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평택박애병원 응급실에서 52번 환자와 접촉하여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했지만,

평택박애병원에서는 CCTV를 토대로 경찰이 다녀간 후 52번 환자가 왔다 갔고, 52번 환자가 먼저 온 것이 아니기 때문에 52번 환자에게 옮았을 가능성은 없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경찰의 주소지가 국내 첫 메르스 환자가 거주하는 아산이기 때문에 다른 경로도 의심됩니다만 아직까지 확인이 되지 않는 상황입니다.

당장 내일 서울시 공무원시험인데, 이미 시험을 연기하기에는 시간이 촉박하고 오늘 안으로 그 경로가 다 밝혀질 수는 없으리라 생각되므로 시험은 강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이 감염자가 지역사회감염자로 추후 밝혀진다면 '지역사회감염자가 나오면 시험을 연기하겠다'던 박원순 시장이 공격의 화살을 피하기 어려워 보이고 '지역사회감염은 사실상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고 주장하던 보건복지부 또한 입장을 바꿀 수밖에 없기 때문에 난감한 상황입니다.

지역사회감염이 확인된다면 휴교가 더 길어질 가능성도 있고 상권 또한 더더욱 얼어붙으리라고 예상되기 때문에 어느 쪽이든 지역사회감염이 아니기를 바랄 것인데 경로를 얼마나 빨리 밝혀내는지가 관건이 되겠군요.



0


    의리있는배신자
    아... 진짜 지역사회감염은 아니어야 하는데 말이죠.
    빛과 설탕
    안그래도 지역행사도 줄줄이 취소되고 있는데 지역사회감염이면 정부말은 못믿는다는 의심이 확신이 되어버리니 불안감이 엄청날 것 같네요..
    西木野真姫
    http://media.daum.net/issue/636/newsview?issueId=636&newsid=20150612115416501
    이곳도 어제 새벽 확진 이후로 신경쓰이는 상황입니다.
    외근 갔던 공장에서도 입구부터 마스크에 손 소독제는 필수가 되었고 들어갈 때 체온까지 측정을 할 정도이니...
    홍차넷에 오시는 의사분들도 조금씩 불안하다 하시는거 보니 저도 이제 슬슬 걱정이 조금 되더군요.
    최종병기캐리어
    http://news.naver.com/main/read.nhn?oid=001&sid1=102&aid=0007657538&mid=shm&mode=LSD&nh=20150612183818

    \'10세 미만\'의 어린이가 \'지역 감염\'으로 의심된다고 하네요. 3차감염 확진자인 아버지에게 옮은 것으로 보인다네요.

    아무래도 지근거리에 있던 친인척이다보니 위험성이 높은 지역감염은 아니라고 보이지만, 주의해야할듯 합니다...
    西木野真姫
    http://m.media.daum.net/m/media/issue/636/newsview/20150612193617801
    해당 병원에 같이 갔었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래도 위험한 것은 변하지 않지만...
    최종병기캐리어
    어린아이가 메르스에 걸린건 안타까운 일이지만 지역감염의 우려는 적다니 그나마 다행이네요.
    건담마크투
    내용이 또 어떻게 바뀔지 모르겠는데 좀전에 제가 본 기사에서는 보건복지부는 아버지와 같이 병원에 들른적이 있다고 하고 성남시는 그런적이 없다고 하네요.....

    진짜 총체적인 난국입니다....
    최종병기캐리어
    도대체 이놈의 메르스는 어째 발표하는 사람마다 말이 다른건지... 진짜 알 수가 없네요.
    빛과 설탕
    지역감염을 떠나 이렇게 어린 아이가 걸렸다는 사실에 학교 학원가가 당분간 또 술렁이겠네요.
    이서준팬바이브
    지역 사회 감염이 확실하다면 정말 큰일입니다

    대한민국 자체가 대혼란이 올지도 모릅니다
    시로바코
    내일 시험보는 사람들중에서 발병자가 안나오길 바래야죠
    이서준팬바이브
    사망자 2명 늘어서 13명 됬다네요..

    정말 안타깝기도 하고 무섭기도 하고..

    답답합니다
    지역감염은 제발 되지 않아야 할텐데요 ㅠㅠ

    제발!! 정부에서 일하시는 분들 일 좀 제대로 부탁드립니다.. 더이상 제가 불안해 지지 않도록요...
    애시당초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서 14번환자가 발병했을때, 이 기간에 응급실 및 외래에 온 인원들, 그리고 간병인과 방문객들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필요했었습니다. 그런데 환자는 몰라도 사실 방문객은 병원측에서도 알기가 힘들다 말이죠. 등록이 되어있는것도 아니고, 기껏해야 CCTV 확인인데.. 병원이란데가 생각보다 CCTV가 또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의료법상 환자 진료실 내부에는 CCTV 설치가 안되게 되어있죠. 응급실은 조금 애매합니다.) 출입문과 복도 정도기 때문에 사각지대가 많아요.

    이 부분에 대해서 병원과 서울시, 그리고 방역당국이 합심해서 정보공유와 국민홍보를 했었어야 하는데.. (기간 ... 더 보기
    애시당초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서 14번환자가 발병했을때, 이 기간에 응급실 및 외래에 온 인원들, 그리고 간병인과 방문객들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필요했었습니다. 그런데 환자는 몰라도 사실 방문객은 병원측에서도 알기가 힘들다 말이죠. 등록이 되어있는것도 아니고, 기껏해야 CCTV 확인인데.. 병원이란데가 생각보다 CCTV가 또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의료법상 환자 진료실 내부에는 CCTV 설치가 안되게 되어있죠. 응급실은 조금 애매합니다.) 출입문과 복도 정도기 때문에 사각지대가 많아요.

    이 부분에 대해서 병원과 서울시, 그리고 방역당국이 합심해서 정보공유와 국민홍보를 했었어야 하는데.. (기간 중 응급실 방문자는 모두 자진신고 등등의) 이 골든타임에 쓸데 없는데에만 공방이 오갔죠. 그래서 제가 무증상의 잠복기 35번 의사의 행적에 대해서 관심이 집중되는걸 비판했던 겁니다. http://redtea.kr/?b=3&n=210&c=3125 행정력이란게 제한되어 있으니.. 뭐 이미 이때 걸린분들의 발병은 거의 끝나가고 있고, 이제 또다른 슈퍼전파자를 막아야 하는 것만 남아 있는데.. 삼성서울병원같이 전국구로 퍼져나갈 가능성은 적어서 그렇게 임팩트가 커질 것 같지는 않습니다. 지역사회 감염이 문제가 되긴 하는데, 지금이라도 지역사회감염의 우려가 있는 경찰과 접촉한 인원에 대해서 철저히 격리를 해야 할 겁니다.
    그리고 삼성서울병원 왜 폐쇄를 안시키느냐고 묻는 분이 주변에도 있는데. 사실 이유가 없습니다. 화재로 치면 여기가 불이 시작한건 맞는데 불이 다 나고 다 타버린 재밖에 없어요. 지금 번지는건 다른데라서 의미도 없습니다. 삼성병원 욕을 많이 하지만 제가 봐서는 나름 삼성병원의 위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솔직히 전 삼성병원이 이 정도 티어의 병원이라고 생각하진 않았습니다. 항상 아산과 서울대 병원 아래라고 생각해왔어요.) 게다가 폐쇄 한다면 그 입원환자를 이송시켜야 하는데.. 빅4의 입원환자들은 중증도가 높아요. 반은 암환자고 나머지... 더 보기
    그리고 삼성서울병원 왜 폐쇄를 안시키느냐고 묻는 분이 주변에도 있는데. 사실 이유가 없습니다. 화재로 치면 여기가 불이 시작한건 맞는데 불이 다 나고 다 타버린 재밖에 없어요. 지금 번지는건 다른데라서 의미도 없습니다. 삼성병원 욕을 많이 하지만 제가 봐서는 나름 삼성병원의 위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솔직히 전 삼성병원이 이 정도 티어의 병원이라고 생각하진 않았습니다. 항상 아산과 서울대 병원 아래라고 생각해왔어요.) 게다가 폐쇄 한다면 그 입원환자를 이송시켜야 하는데.. 빅4의 입원환자들은 중증도가 높아요. 반은 암환자고 나머지 상당수는 불안정한 환자이므로 이송도 안되고.. 또 다른데서 받기도 힘듭니다. 암 등등으로 수술 예정환자들은 더 답이 없고요.

    첫 환자 국내 최초 진단도 이 병원에서 했고, 27-29일 응급실감염자 외에 몇명의 의료진 감염이 있었어도 이 의료진에서 부터 발생하는 3차감염도 없고, 실제로 메르스 환자들이 많이 입원해 있지만 병실에서의 전염도 전혀 없습니다. 이 당시 응급실의 환자 중 상당수가 입원했을텐데에도 불구하고, 그 입원환자들에게서 재차 감염이 발생안했다는건 병실내 격리가 완벽했다는 이야기에요. 게다가 격리병상이 몇개 있는 지는 모르겠지만, 현재 전국의 메르스 환자 중 상당수 중증환자들이 삼성으로 이송되고 있습니다. 에크모등등 설비와 의료진 수준을 생각해 보면 저라도 의료원급에 있는거 보다 삼성에 가겠습니다. 외래 환자 한명이 감염된건 좀 미스테리컬 하나, 그 기간에 응급실에 14번 슈퍼전파자가 있었고 접촉이 가능했다는 점에서 현재 외래가 위험할 거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6월에 이 병원에서 신규로 감염된 환자는 없기 때문에 지금 폐쇄시킬 이유가 없습니다.
    지역사회감염...정말 큰일인데요...
    초반에 제대로 대응했으면 이렇게 까지 크게 번졌을까 싶기도하네요..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0 기타메르스 (35번 환자분 사망은 오보라네요) 21 이서준팬바이브 15/06/11 8083 0
    311 기타배우 크리스토퍼 리 사망 9 레지엔 15/06/11 8640 0
    312 기타시스템과 부패(corruption) 9 기아트윈스 15/06/11 8254 0
    313 문화/예술레코딩의 이면 그리고 나만의 레퍼런스 만들기 30 뤼야 15/06/12 9862 0
    314 기타[영화] 쥬라기월드 소감 (스포일러 주의) 3 존코너 15/06/12 8488 0
    315 기타저딴 것도 교수인가 - 홍익대 기말고사 사건 28 바코드 15/06/12 9254 0
    316 기타살벌했던 한 응원 포스터 9 kpark 15/06/12 8313 0
    317 기타메르스 지역사회감염 의심자 17 빛과 설탕 15/06/12 9710 0
    318 음악요즘 듣고 있는 해외앨범 3(Mika의 새앨범 No Place In Heaven) 8 김치찌개 15/06/12 10052 0
    319 기타44년만에 정권교체한 이야기 - 정치얘기 주의 8 이젠늙었어 15/06/13 7146 0
    320 기타참으로 좋아했던 레슬링 20 지니 15/06/13 7447 0
    321 기타메르스 지역전파 우려 4 soul 15/06/13 7991 0
    322 기타한국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움직이는 10명 6 Leeka 15/06/13 7447 0
    323 기타[나기홍석2탄]'역오디션 현상'과 맹기용 17 난커피가더좋아 15/06/13 8763 0
    324 기타삼성서울병원, 부분폐쇄 - 외래/입원/수술 중단 (언론보도자료 추가) 17 kpark 15/06/13 8154 0
    325 기타에프킬라,홈매트.jpg 12 김치찌개 15/06/14 19813 0
    326 음악요즘 듣고 있는 해외앨범 4(Jason Derulo 새 앨범 Everything Is 4) 2 김치찌개 15/06/14 9310 0
    327 기타연장자 공포증 12 이젠늙었어 15/06/14 7989 0
    328 기타문학을 사랑하는 고등학생께 7 니생각내생각b 15/06/14 8113 0
    329 기타집들이 잘다녀왔습니다~ 10 지니 15/06/14 6839 0
    330 기타수학과 물리가 싫었던 아이 20 ORIFixation 15/06/14 8468 0
    331 기타흔한 경제학자의 미래 예측 7 낭만토토로 15/06/15 9427 0
    332 도서/문학금서(禁書)읽기 - 장정일 [내게 거짓말을 해봐] 25 뤼야 15/06/15 21074 1
    333 기타인간을 가장 인간답게 만드는 말...왜?...Why?... 15 neandertal 15/06/15 9017 0
    334 기타박인비선수 메이저 3연패 23 지니 15/06/15 8576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