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5/06/11 12:39:40 |
Name | 눈시 |
Subject | 이런 좀비물은 어떨까요? |
뭔가 해야 될 게 눈 앞에 닥치니 현실도피하는 느낌입니다만 -_-a 문득 떠오른 설정입니다. 메르스가 퍼지는 거랑은 당연히 관련 없습니다 ( ..) 좀비물이고 바이러스가 퍼져서 감염되는 식인데, 그 증상이 특이합니다. 일단 이성은 잃게 되고 본성에 사로잡히게 되는데, 그 본성이 바로 식욕이죠. 신진대사가 어쩌고 하면서 공격적이 되고, 신체적인 능력도 엄청나게 향상되고... 그게 다 식욕으로 가는 거죠. 먹는 양도 식신 수준으로요. - 어떤 병원에서 환자가 걸신들린 듯이 먹음. 전염성은 낮아서 주변 의료진과 가족 정도에게나 옮고, 그저 특이한 증상 정도로만 여겨짐 - 이게 퍼져가고 차츰 이성을 잃어 감. 관리의 문제든 운의 문제든 이리저리 퍼지기 시작 - 정부와 의료진의 삽질만 계속됨. 환자의 가족들은 '어쨌든 먹을 것만 많이 주면 되는 거 아니냐?'면서 치료 및 격리를 거부하고 집에 가두게 됨. - 아직까지 그저 특이한 병 중 하나로 여겨지던 상황에서 변종 발생, 폭발적인 전염으로 이어짐. 이성을 잃은 환자들에 의해 슈퍼든 대형마켓이든 먹을 것이 있는 곳이 털려감 - 경찰부터 군 병력을 동원하지만 아직 사살은 결정나지 않음. 가족과 인권단체 등에서 아직은 먹을 것만 주면 안 되냐로 나서고 그 사이에 기하급수적으로 퍼져버림 - 도시에서는 먹을 것이 다 떨어짐. 환자들은 마침내 사람을 공격하기 시작. 이유는 단 하나. 먹기 위해서. (농촌의 상황은 미정) - 남은 사람들은 집에 숨기 시작, 결국 (많이 약화되긴 했겠지만) 군이 출동해서 환자들을 사살하게 됨. ... 어떤가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눈시님의 최근 게시물
|
좀비의 핵심은 그 좀비의 설정이 뭐건 전염되고 그것 떄문에 인간성을 잃는다는 공포입니다. 나머지는 좀 잔가지라고 할 수 있겠죠.
좀비가 음식을 먹건 안 먹건 현실적인 좀비물에서는 기본적으로 사람들이 식량난에 부딪힙니다. 고립되니까요. 좀비랑 사람을 싸우는 데 집중시키려고 대형마트나 식량 창고같은 반칙 설정을 도입해서 이런 현실적 문제를 안다룰 뿐.... 식욕이 폭발한다는 설정은 그렇게 돋보이지는 않구요. 기본적으로 논리는 전염 속도가 무지막지한 28일 후나 월드워 Z랑 비슷하네요.
오히려 이 설정에서 핵심은 좀비가 피아의 구분... 더 보기
좀비가 음식을 먹건 안 먹건 현실적인 좀비물에서는 기본적으로 사람들이 식량난에 부딪힙니다. 고립되니까요. 좀비랑 사람을 싸우는 데 집중시키려고 대형마트나 식량 창고같은 반칙 설정을 도입해서 이런 현실적 문제를 안다룰 뿐.... 식욕이 폭발한다는 설정은 그렇게 돋보이지는 않구요. 기본적으로 논리는 전염 속도가 무지막지한 28일 후나 월드워 Z랑 비슷하네요.
오히려 이 설정에서 핵심은 좀비가 피아의 구분... 더 보기
좀비의 핵심은 그 좀비의 설정이 뭐건 전염되고 그것 떄문에 인간성을 잃는다는 공포입니다. 나머지는 좀 잔가지라고 할 수 있겠죠.
좀비가 음식을 먹건 안 먹건 현실적인 좀비물에서는 기본적으로 사람들이 식량난에 부딪힙니다. 고립되니까요. 좀비랑 사람을 싸우는 데 집중시키려고 대형마트나 식량 창고같은 반칙 설정을 도입해서 이런 현실적 문제를 안다룰 뿐.... 식욕이 폭발한다는 설정은 그렇게 돋보이지는 않구요. 기본적으로 논리는 전염 속도가 무지막지한 28일 후나 월드워 Z랑 비슷하네요.
오히려 이 설정에서 핵심은 좀비가 피아의 구분이 애매한 상태에 놓여있는 점이네요. (그런데 이 설정도 기존의 좀비물에 있을 겁니다. 바탈리언 3가 자신의 여자친구가 좀비가 되어도 이를 숨겨놓고 몰래 사육...하는 설정일 거에요) 그런데 이게 사회적인 현상이 되면 해당 상태의 사람들을 좀비로 구분하지 않기가 어려울 거에요. 그리고 본문의 설정을 따라가면 가족이나 인권단체가 적이 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이걸 균형 감각을 맞추면서 딜레마로 활용하기가 어렵네요. 관객들은 어떻게든 그 가족이나 인권단체를 답답하다고 느낄 테니까요.
그냥 좀비로 해도 될 겁니다. 굳이 좀비의 식욕 같은 설정을 안 넣어도 주인공들을 쫄쫄 굶게 해서 굴리면 되겠죠. 마트 같은 데는 이미 다 털려있는 상태로 하고. 무정부 상태에서 식량을 구하는 건 굉장히 어려운 일입니다. 오히려 인간들이 마트를 털어갔다고 해야 좀비물에서 고찰하는 인간성의 상실을 다루기 쉽지 않을까 싶네요.
좀비가 음식을 먹건 안 먹건 현실적인 좀비물에서는 기본적으로 사람들이 식량난에 부딪힙니다. 고립되니까요. 좀비랑 사람을 싸우는 데 집중시키려고 대형마트나 식량 창고같은 반칙 설정을 도입해서 이런 현실적 문제를 안다룰 뿐.... 식욕이 폭발한다는 설정은 그렇게 돋보이지는 않구요. 기본적으로 논리는 전염 속도가 무지막지한 28일 후나 월드워 Z랑 비슷하네요.
오히려 이 설정에서 핵심은 좀비가 피아의 구분이 애매한 상태에 놓여있는 점이네요. (그런데 이 설정도 기존의 좀비물에 있을 겁니다. 바탈리언 3가 자신의 여자친구가 좀비가 되어도 이를 숨겨놓고 몰래 사육...하는 설정일 거에요) 그런데 이게 사회적인 현상이 되면 해당 상태의 사람들을 좀비로 구분하지 않기가 어려울 거에요. 그리고 본문의 설정을 따라가면 가족이나 인권단체가 적이 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이걸 균형 감각을 맞추면서 딜레마로 활용하기가 어렵네요. 관객들은 어떻게든 그 가족이나 인권단체를 답답하다고 느낄 테니까요.
그냥 좀비로 해도 될 겁니다. 굳이 좀비의 식욕 같은 설정을 안 넣어도 주인공들을 쫄쫄 굶게 해서 굴리면 되겠죠. 마트 같은 데는 이미 다 털려있는 상태로 하고. 무정부 상태에서 식량을 구하는 건 굉장히 어려운 일입니다. 오히려 인간들이 마트를 털어갔다고 해야 좀비물에서 고찰하는 인간성의 상실을 다루기 쉽지 않을까 싶네요.
목록 |
|